1999년 포춘 지는 ‘20세기 최고 기업가’로 헨리 포드를 선정했다. 그의 포드자동차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기 때문이었다. 1908년 포드자동차는 최초로 일반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모델 T’라는 저렴한 자동차를 출시했다. 이로써 자동차 혁명에 막이 오르고, 위대한 공헌을 한 헨리 포드는 ‘미국을 자동차 바퀴 위에 올려놓은 영웅’으로 추앙받았다.


1903년 6월 16일 17시, 헨리 포드의 자동차 회사가 디트로이트에 설립됐다. 낡은 화물차 생산 시설을 

개조한 공장과 열두 명의 투자자, 몇 가지 공구와 기자재, 계획서, 모형 외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가내수공업과 큰 차이 없는 이 공장에는 설립 직후부터 고비가 찾아왔다. 생산설비와 기술 인력이 부족해 

첫 번째 자동차를 생산할 수 없었다. 다행스러운 점은 헨리 포드 자신이 우수한 기술자였다는 사실이다. 


그는 자금과 설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단순한 구조 자동차를 만들었다. 이 자동차는 열다섯 살짜리 아이도 쉽게 운전할 만큼 조작이 간단했다. 헨리 포드는 그 차를 ‘시장에서 가장 완벽한 자동차’라고 불렀다.

자동차는 쉬운 조작법 덕분에 시카고에 사는 한 박사에게 판매되었다. 첫 번째 자동차가 팔렸다는 사실에 헨리 포드와 주주들은 뛸 듯이 기뻐하며 더 의욕적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헨리 포드와 주주들은 이 자동차 모델을 판매해 적잖은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다른 회사 제품보다 원가가 훨씬 낮은 자동차는 헨리 포드의 운명뿐 아니라 인류 전체의 생활까지 바꿨다.

 


1908년 헨리 포드는 시대에 한 획을 그은 새로운 모델의 소형 세단을 출시했다. 바로 모델 T다. 모델 T의 가장 큰 특징은 원가가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하며 조작이 간편하다는 점이었다. 폭발적으로 인기를 끈 모델 T는 1927년 판매량 1천500만 대를 돌파했다. 단일 모델로는 최대 판매량인 이 기록은 1972년까지 45년간 유지됐다. 모델 T의 출시로 포드자동차 매출은 껑충 뛰었지만, 원가 절감을 중요하게 생각한 포드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았다. 그는 공장에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해 생산량과 작업효율을 크게 높이고 원가도 절감해 수익률을 끌어올렸다.


그 후 헨리 포드는 직원의 사기 충전과 생산효율성 향상을 위해 근무 시간을 여덟 시간으로 단축한 반면 일당은 오히려 시간당 5달러로 올렸다. 동종 업계 직원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것이었다. 포드가 직원들의 근무 조건을 개선하자 사람들은 인건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포드자동차의 인건비는 예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심지어 소폭 하락하기까지 했다. 가장 큰 원인은 직원들의 의욕이 상승했다는 점이다. 덕분에 생산 속도가 올라갔고, 원자재 이용률도 크게 증가했다. 반면 불량품은 감소했다. 더 중요한 사실은 품질이 눈에 띄게 좋아져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아졌다는 것이다.


사실 여덟 시간 근무제는 미국에서 노동운동이 활발했던 1880년대 이미 제기된 것이었다. 당시 미국 기업들이 겉으로는 여덟 시간 근무제를 시행했지만 갖가지 핑계와 수단을 동원해 직원들에게 잔업을 시켰다. 그러나 포드는 근무 시간을 늘리고 인건비는 줄이는 방법이 오히려 낭비를 불러올 뿐이라는 걸 깨달았다. 겉으로는 수익이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낮은 생산성과 자원이용률이 이를 침식했다. 결과적으로 관리 부실로 인해 나타난 낭비를 보완하기 위해 기업이 더 많은 돈을 투입해야 했다. 그래서 헨리 포드는 처우 개선을 통해 직원의 의욕을 고취시키고 이를 수익으로 전환시키는 데 집중했다. 이 방법이 포드자동차가 오랫동안 번영을 유지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비결이다.


따라서 포드자동차의 매출은 언제나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의 폭풍 속에서 세계적인 자동차 기업인 GM과 크라이슬러가 파산했지만, 포드자동차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포드는 저렴한 가격에 튼튼한 자동차를 팔던 과거의 ‘포드’에 머무르지 않고 랜드로버, 머큐리, 링컨, 애스턴마틴, 재규어 등 여러 개 자동차 브랜드로 확장하기도 했다. 이 중 링컨, 애스턴마틴, 재규어 등은 모두 고가의 브랜드로 성능과 설계에서 모두 명품 자동차에 속한다.




 

 

 

디테일 경영의 비용절감 노하우 _ 부자도 절약한다 : 저수익 시대의 성패는 비용이 결정한다.

세계 최고 기업들의 한결같은 수익창출의 해답!『디테일경영』219 페이지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