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 크록(Ray Kroc)이라는 이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그와 특별한 관계가 있는 기업을 대면 누구인지 대번에 알 수 있다.

바로 맥도날드다. 레이 크록은 세계적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날드의 창업자다.

 

 

 



 

전 세계 패스트푸드 시장은 현재 두 기업이 지배하고 있다. 하나는 KFC이고, 또 하나는 레이 크록이 창업한 맥도날드다. 1954년 이미 52세였던 레이 크록은 패스트푸드점을 개업하기로 결심했다. 30년 동안 세일즈맨으로 일한 그는 미 전역 열일곱 개 주를 돌며 수많은 식당에 가보았고, 그러면서 패스트푸드점 경영 노하우를 발견했다. 그는 직접 패스트푸드점을 열면 세일즈맨일 때보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것으로 직감했다. 그는 외식업으로 성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저렴한 가격과 깔끔하고 위생적인 서비스를 꼽았다. 또한 생활리듬이 빨라지는 시대에는 일반 식당보다 패스트푸드점이 낫다고 판단했다.

 

레이 크록의 판단은 정확했다. 그는 외식업의 특징을 누구보다 정확하게 찾아낸 것이다. 마침내 그는 캘리포니아 주에 햄버거와 밀크셰이크를 파는 식당을 개업했다. 그의 식당은 대성공이었고 몇 년 만에 크게 유명해졌다.

 

 

 

 



 

 

창업 후 고속 성장을 지속하던 맥도날드의 매출액이 1961년 적자로 돌아섰다. 게다가 규모는 어마어마하게 컸다. 레이 크록은 면밀한 조사를 거쳐 원인을 찾아냈다. 각 부서의 관리자들이 나태하고 비효율적으로 일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언제나 안락한 가죽의자에 앉아 직원에게 지시만 내렸다. 각 부서는 계획을 세웠지만, 한 번도 제대로 이행한 적이 없었다. 곳곳에서 낭비가 발생하고 있는데도 모두 못 본 척 했다. 바로 그것이 승승장구하던 맥도날드를 적자 기업으로 만든 원인이었다.

 

레이 크록은 결국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부서 관리자들이 사용하는 의자 등받이를 모두 톱으로 자른 것이다. 임원들이 거세게 반발했다. 심지어 몇몇 임원은 대놓고 “미친 사장!”이라고 고함을 질렀다. 하지만 레이 크록은 굴하지 않았고, 결국 자신이 바라던 결과를 얻었다. 회사 임원들이 사무실에서 나와 직접 매장을 돌며 관리하고 문제점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기업 전체에 만연했던 ‘낭비’는 효과적으로 해결됐고, 매출액도 예전 수준을 회복한 것은 물론이고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1963년 맥도날드의 모든 매장 앞에 ‘햄버거 1억 개 판매 달성’이라는 플래카드가 걸렸고, 그로부터 5년 후에는 미국 전역의 맥도날드 매장이 1천 개를 돌파했다. 그 후 40여 년 동안 맥도날드는 미국 시장을 넘어 전 세계 114개국에 진출했다. 그리고 미국 패스트푸드 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50년 넘도록 고속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창업자 레이 크록이 세운 경영이념, 즉 “고객의 시간을 절약해주는 패스트푸드점이 성공한다. 남의 시간을 1분 낭비할 때마다 나의 수익이 1달러씩 준다”는 신념은 지금도 변함없이 맥도날드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자 진리다.

 

 

 





- 낭비를 이익으로 변화시키는 '디테일 경영'(왕중추 지음 허유영 옮김)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