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랫폼 경제와 공짜 점심 - 네트워크 경제 입문자를 위한 가장 친절한 안내서
강성호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저자 강성호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KDI 국제정책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국제개발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저자는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를 관찰하고 감독하는 금융위원회에서 근무하는 현직 서기관으로 우리 사회의 경제 질서가 정보혁명을 통해 변해가는 모습을 가장 선두에서 지켜봤다. 우리는 아침에 눈을 뜰때부터 잠들 때까지 인터넷이라 불리는 네트워크 세상에 연결되어 살고있다. 네트워크기술은 이미 지난 30년간우리 삶을 통째로 바꿔놓았다.
경제용어에 친숙하지않거나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쓰여지고 통계나 표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쓰여진 책이다. 단순한 경제서가 아니라 우리사회가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해주는 책이다. 정보와 데이터가 우리 경제를 어떻게 바꾸어나가는지 보여주며, 어떻게 돈을 벌수 있는지 가르쳐 줄 뿐만아니라 사회를 바라보는 우리의 식견을 넓혀주고 미래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카카오, 네이버, 쿠팡 등의 플랫폼 기업들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며 이 기업들이 기업가치를 어떻게 높일 수 있게 되었는지 이책에서 보여준다.
제4차산업혁명이 초연결사회로 진입하면서 지금껏 볼수 없었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비즈니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급속한 변화가 코로나 펜데믹시대 때문에 더 빠르게 진행 되어지는것 같다고 생각해왔는데 실제로도 그렇다고 한다. 세상은 어느새'SNS시대'가 되가고 있는데 , 이제는 SNS시대를 넘어 데이터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이책은 눈치챌수도 없이 빠르게 흘러가고 있는 경제를 간결한 문장과 정확한 개념으로 제시한다.
플랫폼기업들은 새로운 판을 짜고 있다. 정보와 데이터를 무기로 모든것을 연결하려고 한다. 금융네트워크와 정보,데이터 처리 역량에 따라 재편될것이며 새로운 자본주의질서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충 어떠한 플랫폼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쿠팡이 갑자기 쿠팡플레이를 한다고 할때, 카카오가 TV와 맵서비스를 한지 별로안되었는데 요즘 '음'이라는 어플을 개발했다고 들었을때 어떻게 기업들이 경영전략을 짰는지 보여주는책인것 같다.
눈을 뜨자마자 스마트폰으로 어젯밤 뉴스를 확인하며 하루를 시작하고, SNS를 통해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지극히 평범한 일상의 모습이 되었다._P.11 이책도 우리의 평범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의 일상속에 녹아있는 기업들의 행태를 자세히 보여주는 책이다.
PART 1 변화를 몰고 올 네트워크 경제
PART 2 네트워크가 경제 권력을 재편하다
PART 3 이제는 플랫폼 경제 시대다
PART 4 모든 것을 연결하려는 플랫폼의 도전
PART 5 네트워크가 만드는 자본주의 이후의 세계
우리사회를 바꾸어온 정보혁명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네트워크 경제와 플랫폼기업 사이의 새로운 공간과 이론에 대한 이야기를 1장에서 보여준다. 그리고 이제는 바뀌어버린 경제의 흐름에는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이것들에는 무엇들이 있는지 나열한다.2장에서는 유튜브, 네이버쇼핑 등의 플랫폼 기업과 감시자본주의가 등장한 모습들도 보여준다. 3장에서는 플랫폼시대속 비즈니스 전략 노하우들을 알려준다. 일상에 스며든 금융네트워크, 금융네트워크와 금융네트워크가 만났을때의 모습들도 있다. 4장에서는 모든것을 연결하려는 플랫폼의 도전을 보여준다. 그 예시에는 카카오가 있다. 5장에서는 네트워크가 만드는 자본주의 이후의 세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위기에 처한 자본주의가 맞닥뜨린문제들을 플랫포 기업에 어떻게 적용하고 규제할지 , 플랫폼 기업들의 독점에는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이야기한다.
기차역을 배경으로 한 가장 유명한 소설은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다. 이 소설에는 모스크바 기차역이 등장한다. 주인공 안나는 모스크바 기차역에서 알렉세이 브론스키라는 청년을 만나고 사랑에 빠진다. 소설의 결말도 기차역이다. 사랑에 실패한 안나는 기차역에서 생을 마감한다. 플랫폼은 우리나라 영화에도 자주 등장한다. P.28
반대로 자본주의에서는 '경쟁'이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과거 자본주의 시대에는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규모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기업이 일정 규모 이상으로 커지면 관리비용도 덩달아 커지기 때문에 기업이 무한정 성장하기가 어려웠다. P.47
유튜브 사이트는 모두에게 공개되는 공공의 공간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유튜브는 지극히 사적인 공간이 되어버렸다. 이는 유튜브가 내가 어떠한 영상을 즐겨 보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내 취향에 맞춘 콘텐츠를 우선 노출하기 때문이다. 유튜브가 추천하는 영상을 보면 그 사람의 취향이 드러난다. P.81
유튜브 알고리즘, 인스타 관심광고노출, 최근에는 네이버 '영수증 리뷰' 별점 심사의 문제점등 플랫폼은 우리 일상의 모든곳에 분포되어 있다. 이책을 읽으면서 생각해보니 플랫폼의 독점이 어느정도 있지, 그것이 독자들인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하게 되는 시간이었다.
놀면서 돈을 벌수 있는 네트워크 경제세계라는 책의소개가 담겨있는데 플랫폼 기업과 그 기업들의 향후 미래세계의 성장들을 파악할 수 있다면 책제목처럼 플랫폼경제속에서 공짜점심을 먹을 수 있는 가볍고 얕게 생각했던 네트워크시대에 대해 , 새롭고 빠르게 변화되가는 4차산업혁명인 지금의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지침서가 되었던 책이다. 현재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등장해서 흥미로운 부분, 새로 알게된 지식들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