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이 남을 것인가, 내가 남을 것인가
김성한 외 지음 / 좋은땅 / 2023년 11월
평점 :

《일이 남을 것인가, 내가 남을 것인가》는 업무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일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단계별, 상황별로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정리해 놓은 일잘러가 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다. 인공지능이 우리의 일자리를 위협하기 시작한 지금, 인공지능보다 일 잘하는 방법! 《일이 남을 것인가, 내가 남을 것인가》에 담겨 있다.
서점에 가보면 'OO력' 이라는 책들이 눈에 많이 띈다. 기획력, 실행력, 판단력, 창조력 등 다양하기도 하고 또 많다. 마찬가지로 자기 경영, 영업, 마케팅, 의사소통 등에 관한 책도 많다. 그런데 이러한 책들의 공통점은, 주제로 다룬 역량과 주제로 다루지 않는 역량 간 상호 관련성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P.8
인공지능은 끊임없이 우리의 일자리를 압박한다. 이제는 인공지능이 나타나 AI 형태로 우리의 일터로 치고 들어온다. AI의 형태가 우리의 사회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기계가 알아서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이 생겨나면 우리는 점점 기계에게 밀리게 될것이다. 나는 전문직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또 기술직 직업이라, 인공지능의 발전과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산업의 변화가 조금은 무섭다.
일을 잘하고 싶지만, 일을 마음편하게 잘하고 싶다. 경력직이 되면서 업무의 강도가 올라가고 업무의 부담감이 늘고 있다. 어차피 해야하는 일이고, 몇년 후의 내가 하고 있어야 할일인데 지금 배우고 해나가는게 부담스럽고 막막할때가 있다. 그래서 이런 고민이 있는 나에게, 그리고 일에서 직업적 목표를 달성하며 경제적인 보상을 받는 직장인들에게 보다 일에 대한 성취감은 높이고 자신감과 만족감을 느낄수 있게 하고 싶다. 일을 잘 알고 제대로 익혀서 일을 잘하는 사람으로도 인정받고 싶기도 하다.
사실 나는 회사를 다닐때, 그냥 안정적으로 마찰없이 스트레스 없이 조용히 다니고 싶다. 하지만, 직장생활이란 마찰이 생길수도, 사람과 사람사이의 상호관계가 분명 있기에 일을 조용히 하며 지낼 순 없는것 같다. 그러면 일을 하면서 성취감이라도 가져야 일을 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것 같았다. 그래서 <일이 남을것인가, 내가 남을 것인가> 의 책의 제목이 끌렸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기술직이기 때문에, 누구보다 못하면 밀려나는 직업이기도 하다. 경력이 쌓일 수록 할수 있고, 해야할일이 많아지지만 거기서 또 새로 들어오는 신입들의 기술력에서 뒤쳐지면 안된다는것을 요즘 뼈저리게 느낀다.
장면이 구상화되어 떠오르는 것이 goal 구상화 능력이다. 영화나 연극 시나리오를 쓴느 사람이 아직 보지 못한공연 장면과 무대를 상상하며 집필하는 것과 같다. p.43
지식은 그것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매우 효과적이다. p.83
이책에서는
자기일을 파악하고 있는가-업무관과 태도
비즈니스의 처음이자 마지막-전략력(기회력)
남보다 빨리 변화를 읽는다-선견력(예측력)
창조의 시작 욕구, 기능,수요의 구분-창조력(개선력)
실행하고 결단한다-실행력(결단력)
남극에도 일요일을-조정력(설득력)
주장의 품력, 감독의 품격-개성(영향력) 이라고 총 7가지의 oo력을 주제로 이야기를 하며, 14가지의 역량을 나열하며 우리가 좀 더 일을 적극적으로 성취감을 느끼며, 잘할 수 있는 방법과 노하우를 전수해준다.어떤 마음가짐으로 어떻게 사고 해야할지, 일을 하면서 어떻게 대처하고, 의사소통 해야할지, 다양한 구성으로 알려준다. 이 책의 내용을 종종 활용하여 현장에 맞게 일을 척척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만들고 싶다.
*블로거 인디캣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 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일이남을것인가내가남을것인가 #OO력 #일하기 #일하는능력 #성취감 #자신감 #일잘하기 #좋은땅출판사 #도서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