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컴퓨터 옆에 놓인 커피한잔에게 질문을 해본다. 

넌 어디서 왔니? 

기존에 산 커피원두가 너무 시큼해서, 선물받은 다른 원두와 섞어 내린 그 커피는 인터넷을 찾아보니 중남미와 아프리카 고산지, 라틴 아메리카 커피와 인도네시아 커피가 각각 블렌딩 되어있다고 나와있다.  

공정무역 세계의 복잡다단함을 알게해준 책 "커피정치학"을 읽으면서 멕시코의 커피재배농민이 등장했던 "탁자위의 세계"가 생각나서 펼쳐봤는데,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미국과 가까운 지리적 특성때문인지 둘다 멕시코의 오악사카 지역이야기가 나온다. 커피의 정치학이 연구자의 입장에서 쓰여진 한편의 논문이라면, 탁자위의 세계는 재배농민의 관점에서 서술되는  "시"의 정서를 가지고 있는 글이다. 

  

 

 

 

 

 

 

 

공정무역이 재배농민에게 가시적인 경제적 이익을 제공했다면, 아마 공정무역 커피의 비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을 것이다. 환경친화적이고(나무밑에서 커피나무를 키우는 방식은 녹지를 보호하고 새들에게도  보금자리를 제공한다) 대부분 유기농재배이면서, 중간상인의 착취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는 공정무역이지만, 재배농민은 공정무역제품을 위해 훨씬 많은 노동력을 제공해야 한다.  

God in a cup vs. Devil's cup  

 어떤 커피이길래 커피한잔에서 "신"을 만날 수가 있었을까? 스페셜티 커피 회사의 얘기를 다룬 신의 커피는 매력적이지만, 책에 계속 등장하는 인명과 회사명도 일치하지 않고 들쑥날쑥한 번역이 눈에 거슬린다. 그 반대로 최악의 커피로 끝을 맺는 "커피견문록"은 삐딱선을 탄 커피기행이 흥미롭다.


 

 

 

 

 

 

 

커피 개론서로 읽기시작했는데, 서술이 지루하고 단조로운 편이고 너무 로스팅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는점이 라떼를 만들어서 마시기를 좋아하는 나에게는 아쉬운 책... 

로스팅기계로 커피볶는 과정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얇은 커피 껍질이 날리는 모습을 보니 도저히 집에서는 볶을 엄두가 나지 않았다. 

 

 

 

신맛을 사랑하지만 너무 시큼한 커피 "라바짜 오로",  

집 주위에 맛있는 커피 볶는 집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