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할 때 곁에 두고 읽는 책 - 하루 한 장 내 마음을 관리하는 습관
스칼릿 커티스 지음, 최경은 옮김 / 윌북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만 힘들고 아픈 게 아니에요.” 세상에 나만 홀로 힘들어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 위로를 주는 그런 책이다.


많은 사람이 다양한 이유로, 아니, 어쩌면 아무런 이유도 없이 우울해하고 있다. 그리고 그 사실을 터놓지 못한다. 어쩐지 큰 이유가 있는 게 아니면 안 될 것 같고, 내 편은 없을 것 같고, 강해야만 할 것 같다는 이유 등으로 자신을 계속해서 숨긴다. 가장 큰 용기는 어쩌면 “도와줘”라고 주변에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나를 알아주는 상담선생님을 만난다는 게 생각보다 힘들 수도 있고, 때로는 트라우마를 오히려 헤집는 사람을 만날 수도 있지만 도움을 받기를 포기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우울해하는 사람들 이야기를 들으면 “배가 불렀다, 잘 먹고 사니까 약해진다”면서 아픈 사람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 ‘잘난 사람’이라고 힘들지 않은 건 아니다. 물론 성적 취향이나 인종 등으로 인해 더 힘든 점이 있을 수는 있다. 누가 힘들어 한다고 해서 쉽게 재단하고 비난해서는 안 된다.


특별하지 않은(?) 개개인의 이야기들이 담긴 책이고, 아직까지도 우울함과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서 함께 이겨낼 수 있을 것만 같은 생각이 들게 한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힘들어한다는 사실이 깊게 와닿는다. 힘들 땐, 꼭 도움을 청하자.

다만 이렇게 아름다운 영혼들이 세상을 떠나간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명성과 성공, 숭배로도 추운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엄청난 찬사와 환호를 받으면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도 있지만, 그런 것들이 우리의 중심을 꽉 붙들어줄 수는 없다 - P29

우리 사회에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비난하지 않고 도와주는 게 아니라, 낙인을 찍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 내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 P80

하지만 고통을 비교하는 것은 아무에게도, 특히 자기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여자 친구의 말을 듣고 나는 정신을 차릴 수 있었다 -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라톤 소녀, 마이티 모
레이첼 스와비.키트 폭스 지음, 이순희 옮김 / 학고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자들은 달리기 같은 어려운 운동은 못 한다"는 인식이 만연하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격한 운동을 하면 자궁이 떨어져나가거나 얼굴에 털이 나고, 레즈비언이 된다고 생각하기도 했다고 한다. 여자가 장거리 달리기 대회에 나가는 건 '개는 운전을 할 수 없다'는 말처럼 '당연히 안 되는 일'이었다고 한다. 지금 이런 소리 하면 멍청하단 소리를 듣겠지만 선입견, 그것도 대다수가 지닌 선입견 속에서도 달리기 하나만을 바라보고 열중한 마이티 모(모린 윌턴)의 모습이 인상 깊었다.


'빨리' 달리고 싶어하는 사람은 예나 지금이나 존재한다. 오히려 건강에 신경을 쓰는 요즘이 더 많을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마라톤을 뛰는 여성의 모습을 보더라도(심지어 남자보다 기록이 좋았더라도) 무조건 '여성은 안 된다'고 하거나 남성으로 의심하고, 부정행위를 하지 않았냐고 묻는 일부 몰지각한 대회 관계자 등의 모습에 분노를 금치 못했다. 연습 때도 야유에 둘러싸여 맘 편히 달릴 수 없고, 기록도 공식적으로 인정해주지 않았다.


이런 선입견을 깨기 위해서는 본인 노력뿐 아니라 주변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 물심양면으로 마이티 모가 달리기를 하는 것을 지지해준 부모, 열정적으로 마이티 모를 지도한 사이 코치, 그리고 '여성의 달리기'를 알린 언론까지. 물론 언론은 긍정적 목소리만 낸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주목을 끌어야 '그럴 수도 있구나'라는 생각도 끌어낼 수 있을테니 무관심보다는 낫다 싶다.


세계 기록을 '박살 낸' 모린이 계속해서 달리기를 한 게 아니라는 점은 아쉽지만, 그래도 그 속에서도 뛰고 싶었던 모린의 열정이 인상 깊었다.

모린은 훈련이 힘들긴 했지만, 훈련을 하면서 보람을 느꼈다. 앞으로도 아무런 제약 없이 자신의 기량을 키워 갈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에, 모린은 훈련이 혹독해질수록 더욱 보람을 느꼈다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보다 오늘, 더 성장하고 싶은 너에게
정서연 지음 / 마음시선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나의 길'을 가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본인 경험에 비춰 알려주는 책이다. 인간관계, 회사생활, 경제공부, 성장에 대해 요즘 내가 느끼고 있는 부분을 콕 찝어서 얘기해주는 것만 같다. 고민했던 부분도 비슷하고 결론도 비슷하다. 그래서 곱씹어보기도 좋았다.


저자는 경제전문지에서 기자로 일하다가 공공기관으로 이직했다. 그리고 지금은 대학원을 다니고 책을 쓴다. '좋아하는 일'을 위해 떠나는 '실행력'이 인상적이다. 책 내용도 아주 똑부러진다.


인상적인 부분인 인간관계 부분. 요즘 인간관계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좋은 사람이라고 나랑 맞는 게 아닌데 왜 그랬을까. 저자가 말했듯 공적인 관계에 사적 관계가 혼재하면 문제가 발생하고, 모든 관계에는 유효기간이 있다. 인간관계보다는 나를 보호하는 게 우선이다. 나를 지치게 하면서까지 유지해야 하는 관계는 이제 없어야겠다.


전반적으로는 성장에 방점을 찍었다는 점이 특히 마음에 들었다. 내가 나름 다양한 취미 생활을 하는 이유는 '언젠가는 어딘가에 도움이 되겠지'와 ‘도움이 안 되더라도 현재 즐거우니 충분하다'다. 어떤 방향이든 뭔가를 배워두면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시선이 좋았다.


특별한 사람의 이야기라기보다는 공감이 가는 조언들이라 좋았다. 나랑 같은 결을 갖고 있는데 좀 더 실행력이 뛰어난 사람 같다.

지금은 쓸모없어 보이는 작은 경험일지라도 나중에 어떤 식으로든 도움이 된다 - P35

상충하는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욕심이다 - P74

긍정성과 부정성에는 모두 ‘복리의 마술‘이 적용된다 - P80

어떤 인간관계든 유효기간이 존재한다 - P89

회사에서 남의 연애에 대해 묻는 사람, 말하지 않았다고 서운해하는 사람은 확실히 이상하다. 공적 공간에서는 정제된 언어를 써야 한다. 누군가 나의 사생활을 물어도 대답하지 않을 자유가 있다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분 완성 수프 도시락 - 쉽고 간편한 수프 레시피 60가지
아리가 카오루 지음, 이은정 옮김 / 푸른향기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만들기 쉽고 간편한 수프 레시피 60가지가 들어있다. 정말, 어쩜 이렇게 레시피가 쉬울까 싶을 정도다. 대부분 레시피는 3단계 이내로 끝난다. 10분 완성이라는 제목이 거짓이 아니다. 심지어 재료도 그리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 집에 전혀 없을 거 같은 재료들로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도 마음에 든다.


'몸에도 좋고 만들기도 쉬운 음식'이란 컨셉을 잘 담아낸 듯하다. 몸에 좋은 주재료별로 메뉴를 짜서 파트를 나눈 점도 좋고, 든든하게 먹을 수 있도록 모든 메뉴가 정말 '스프'로만 끝나지 않는 점도 괜찮다. 의외로 리조또도 있고 펜네도 있다. 흔히 생각하는 수프보다는 국, 탕 등을 모두 포함한 메뉴라고 생각하면 될 듯하다.


이 중 가장 내가 좋아할 것 같은 메뉴는 '단호박과 닭고기를 넣은 두유 스튜'다. 단호박은 늘 실패가 없으니까. 가볍게, 하지만 건강하고 든든하게 한 끼를 먹고 싶은 사람에게 좋은 메뉴들이 잔뜩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렌드 코리아 2021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예상했던 올해의 모습을 돌이켜보고, 내년의 소비 트렌드를 또 다시 전망해보는 책이다.


올해 키워드는 ‘나’로 좁혀질 수 있을 듯하다. 개인의 취향을 중심으로 스트리밍, 꽃다발 구독, 패션 추천 및 구매 앱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고, 고객 요청에 의해 닭껍질 튀김과 파맛 첵스 등이 출시되는 등 '바이미 신드롬'까지 나타났다. 중장년층 또한 '팬'으로서 입지를 다졌고, 다양한 나를 표현할 수 있는 '부캐'가 핫한 키워드가 됐다.


2021년 코로나19 속에서, 아니, 끝난 후의 삶은 많이 변화할 수밖에 없다. 책에서는 '브이노믹스' 즉 '바이러스가 바꿔놨거나 바꿀 경제'에 대해 말한다. 사람들은 집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가전, 인테리어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가 늘게 됐다. 건강에 관심이 많아졌다. 비대면이 늘어났지만, 그 와중에서도 서로 소통하는 방법을 찾았다.


자본주의 키즈에 대한 설명도 인상 깊었다. 바람직한 행동을 한 곳은 '돈쭐'을 내주고, 좋은 콘텐츠를 만든 유튜버에게는 '광고를 달아달라'고 하는 등 이미 자본에 익숙해질대로 익숙해진 세대의 이야기다. 그렇다고 돈을 막 쓰는 건 아니고 가성비를 따지고 중고거래가 성행한다. 재미를 위해 돈을 쓰기도 한다.


처음 읽어보았는데 생각보다 와닿는 부분이 많았다. 현재 세상이 어떤지, 어떤 방향이 강화되어가는지를 볼 수 있었다. 책에서 말한 것처럼 현실을 직시하고, 최적의 대처를 하는 데 도움이 될 듯하다.

인간은 질병 앞에 평등하지만, 질병에 노출될 확률은 평등하지 않다 - P169

우리는 ‘나‘라는 존재에 대한 확신을 느끼고 싶어 하지만, 그것을 자기모색으로부터 찾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객관적 지표 혹은 타인의 인정으로부터 얻고 싶어 한다 - P3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