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The Sandman 1 (Paperback) - Graphic Novel
닐 게이먼 외 지음 / Vertigo / 1991년 11월
평점 :
절판


옛날 어느 곳에 (좀 더 정확하게는 1960년대쯤 미국에서) Death 가두어 영원히 살아보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운 사람들이 Death의 소환을 시도한다. 그러나 소환은 실패하여 꿩대신 닭도 아니고 Death대신 Dream이 소환된다. 소환된 이의 정체를 몰랐던 사람들은 Dream의 물건을 빼앗아 나누어 가진 뒤 그를 가둔다. 그러나 그 후로 괴상한 사건이 끊이지 않자 사람들은 Dream을 풀어주지만, 이미 열받을 대로 열도 받고 갇혀있느라 힘도 잃은 꿈 아저씨는 복수와 복귀를 꿈꾼다.

판타스틱에서 닐 게이먼에 관한 기사를 읽다가 그의 만화책 샌드맨 시리즈가 무척 좋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스타더스트를 보고, 또 읽으면서도 그의 글에 딱히 끌리지 않았지만 다양한 신화와 전설이 어우러져 근사한 만화를 완성했다는 내용에 혹해 첫 권만 주문해보았습니다.

결과는 대성공. 무척 재미있었어요. Sandman 1권은 Dream이 복수와 함께 자신이 잃어버린 힘을 되찾는 것이 주된 내용입니다. 그런데 주인공은 Dream이지만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은 때로는 3인칭의 관찰자, 대부분은 Dream과 엮이게 되는 다양한 인물의 시선을 따라갑니다. 그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보여주고, 평범한 사람이 그러하듯 Dream을 만나 놀라기도 하고, 경외심, 동정과 비난, 애틋함등 인간이 지닐 수 있는 감정을 가지고 Dream을 바라봅니다. 자칫하면 위대한 신의 여정으로 마무리 될 이야기가 인간의 시선을 따라가며 진행되기에 좀 더 가깝고, 또 즐겁게 느껴졌습니다.

미국 만화'책'을 본 것은 Sin City이후로 두 번째인데, 무척 독특했어요. 눈이 아플 정도로 가득한 원색, 각각의 톤을 직선만을 고집하지 않고 원과 곡선, 부채꼴등 장면에 맞게 넣은 것도 한국, 일본 만화만 줄기차게 보았던 제겐 무척 신선했습니다. 각 화의 시작부분에 배경처럼 숨어있는 부제와 원작자의 이름을 찾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이제 힘도 되찾고, 여행(?)을 계속하기로 마음먹은 꿈 아저씨가 이번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다음 권을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왓치맨 Watchmen 1 시공그래픽노블
Alan Moore 지음, 정지욱 옮김 / 시공사(만화)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시공사 (이름은 그럴싸하지만 결론은 만화책인)그래픽노블 시리즈 첫 번째 왓치맨입니다.

냉전이(거의?) 끝난 20세기. 은퇴한 슈퍼 히어로중 하나인 '코미디언'이 변사체로 발견된다. 역시 슈퍼 히어로중 하나인 '로어샤크'는 누군가가 슈퍼 히어로만을 노리고 살인을 저지른다고 의심하기 시작하고, 경고와 조사를 겸해 예전 동료를 하나씩 찾아간다.
슈퍼 히어로들이 대량 등장하고(맨시리즈를 좋아하는 L군), 휴고상의 이름에도 조금 혹했고, 무엇보다 유일하게 읽었던 그래픽 노블인 꿈아저씨 시리즈를 무척 좋아해서 무턱대고 사서 읽었는데, 사부의 말따라 우울하고, 우울하고, 무척 우울한 ㅠㅠ 책이었습니다.

'슈퍼 히어로' 라는 것은 미국의 고유한 특성이라 생각됩니다. 언젠가 후배 하나와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등은 왜 미국에서만 있을까? 라는 대화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미국은 역사가 짧아서 어떤 일이 있을 때 딱히 갖다붙일 위인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 전국적으로 사용 가능한 엄마친구아들이 없다는 것)이 제 주장이었습니다. 당시에는 깊히 생각하지 않고 꺼낸 한 마디였는데, 지금 다시 생각해봐도 딱히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전형적인 슈퍼 히어로물이 특출난 힘을 가진 슈퍼 히어로가 절대악을 상정하고 그에 대항하는 이야기라면, 왓치맨은 그 전형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있습니다. 왓치맨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악당이 사라진 세계에서 히어로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입니다. 그렇게에 아무도 꺼내지 않았던 '그들은 어째서 웃긴 쫄바지에 가면을 쓰고 정의의 사도를 자처하는가'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눈에 보이는 정확한 목표가 있을 때, 사람은, 사람이 모인 집단은 목표를 향하여 똑바로 나아갑니다. 물론 그 안에는 '우리가 과연 바른 길로 나아가는가?'를 고민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지만, 뚜렷한 목표와 그에 반하는 세력 앞에서는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왓치맨은 슈퍼 히어로라는 가면 속에 숨어있던 인간을 끄집어냄으로써, 귀를 닫고 무시하던 이야기를 눈 앞에 펼쳐 놓습니다.

그렇게 숨겨놓았던 이야기, 꺼내고 싶지 않던 이야기를 꺼내놓다보니 읽는 내내 무척 우울했습니다. 한 술 더 떠서 그림도 어둡고, 배경도 어둡고, 사람들도 어둡고...... 그래도 무척 재미있게 봤습니다. 밝고 경쾌한 즐거움이 아니었고, 예상하고 있던 즐거움과는 달랐지만, 슈퍼 히어로라는 비현실적인 소재를 다루면서도 현실을 멋지게 녹여낸 것도 좋았고, 그들의 다양한 과거와 경험을 그림과 글을 멋지게 섞어낸 것도 좋았고, 그 차가운 시대의 분위기를 강렬한 색에 담아낸 것도 좋았어요.

덧. 내용과는 관계없는 아쉬운 점
왓치맨의 사각형사각형사각형 톤은 조금 심심했다.
신명조체에 OTL 을 외쳤음. 차라리 굴림체를 쓰지 ㅠㅠ
신문지 종이가 좀 안타까웠다. 매끈한 종이에서 반짝이던 원색이 조금 옅어진 것 같아서 말이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lfie 2008-07-21 17: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L군 라뷰 >ㅁ<
 
원티드
마크 밀러 지음, J.G 존스 그림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평범한 샐러리맨이었던 웨슬리 깁슨은 어느 날 자신의 앞으로 거액의 유산이 남아있으며, 유산을 상속해준 아버지가 알고보니 악당중의 악당이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따분하고 심심하고 타성적인 일상을 보내던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훌륭한 악당(...)이 되기 위하여 노력한다는 이야기.
로 주제는 저렇게 OTL 가업도 훌륭히 이어받을 수 있으니, 열심히 일한 그대, 때려치우고 싶으면 용감하게 때려치워라?! 인 것 같습니다.

짧 은 줄거리 소개에서 드러나듯, 만화책과 영화의 내용이 사뭇 달랐습니다. 영화는 몇몇 중요한 등장인물과, 깁슨가 아저씨들이 총을 매우 잘 쏜다는등의 기본적인 설정만 가져오고, 줄거리는 새로 짠 느낌이 들었습니다. 감상은 '졸리 언니 멋져 >ㅁ< 파파 불쌍해 ㅠㅁㅠ' 라는 두 문장으로 요약하고 다시 책으로 돌아가지요.

저도, 아우님도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었던 것이 처음부터 끝까지 끊이지 않은 욕과 욕과 욕의 향연이었습니다 ㅠㅠ 영화가 '좀 특출나게 총을 잘 쏘는 집단'으로 웨슬리와 그가 속한 집단을 규정한데 반해, 만화책에서는 그들을 '슈퍼 히어로에 대항하는 악당의 모임'이라는 전혀 다른 집단에 넣어두었습니다. 그렇기에 주인공인 웨슬리와 등장 인물들의 도덕 관념도 참 난감하고, 그들이 저지르는 사건도 참 난감하기만합니다.

영화를 보며 첫부분의 방직공장과 지나치게 뚜렷한 선악관념을 원작에선 뭐라고 표현했는지도 궁금했는데, 알고보니 배경부터 뜯어서 새로 만들었네요. 원작 그대로를 가져왔으면 조금 불편한 영화가 될 수 있었을 것을, 상당 부분을 뜯어고쳐서 그나마 편하게 볼 수 있는 블록버스터(?)로 만든 느낌이라, 그 심정이 조금쯤은 이해가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뜯어고친 영화쪽이 더 마음에 들어요. 호기심에 언젠가는 만화책도 보았을 것 같지만, 늦게 보면 볼 수록 영화의 경쾌함이 남아있었을텐데 아쉬운 마음입니다.

+ 사람들이 왜 인쇄때문에 OTL을 외쳤는지 절절이 이해했다 ㅠㅠ
+ 종이와 글자체는 시공사보다 이쪽이 20%정도 훌륭했음.
+ 그런데 왜 19금 안 붙은거지?
+ (까먹을 뻔 했네) 내용은 그렇다치고, 일러스트는 정말 멋졌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스노블 Nobless Club 6
노현진 지음 / 로크미디어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지겨운 고3을 끝낸 재원은 형이 구해준 컴퓨터를 통해 '데스노블'이라는 제목의 공포 소설을 읽기 시작한다. 아무 생각없이 한 두편 읽기 시작했으나 어느 순간 소설속의 일들이 눈 앞에 생생히 펼쳐지는 일을 경험하게 된다. 급기야는 소설속의 일이 현실에서도 일어나고 있으며, 자신이 데스노블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 그는 공포심에 휩싸이고, 그 공포에서 헤어나기 위해 데스노블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과연 재원은 스토커보다 끈질긴 데스노블에게서 무사히 벗아날 수 있을 것인가!
공포소설은 제 전공(?)이 아니어서, 읽기 전에도 난감했는데 읽고 나서 글쓰기도 무척 난감하네요 OTL

링의 주인공인 사다코덕에 매체 안의 어떤 것이 현실로 나타나는 일은 이제 크게 놀랄 일도 아닙니다. 직전에 읽었던 에비터젠의 유령에서도 수많은 인물이 서로의 세계를 오갔고, 공포 소설은 아니지만 오래 전에 읽은 소피의 세계에서도, 좀 더 예전으로 건너가면 그 유명한 피터팬에서도 팅커벨을 살리기 위해 슬쩍 현실의 독자에게 도움을 구합니다. 엘러리 퀸이 추리 소설의 답을 들려주기 직전에 독자들에게 띄우는 편지도 꽤 유명합니다.

- 까지가 2/3정도까지 읽었을 때 쓴 글이고,

2/3 정도까지 읽었을 때만 해도 이 소설이 허구와 현실이 섞이는 나름 고전적인;; 이야기를 '컴퓨터'와 '인터넷 소설'이라는 새롭지만 친근한 매체를 사용하여 풀어내려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끝까지 읽어보니 스님에 무당(?)에 부두교 주술사까지. 엑소시스트만 나오면 완벽하겠네요 ^^; 영적인 소재만이 아니라, 소설 안에서 얽히고 섥히는 부적절한 인간관계마저 지나치게 다양하고 많아서 정신 없었습니다. 아침 드라마에 나올 법 한 관계는 하나도 안 빼먹고 다 본 기분입니다 OTL

주인공이 왜 하필 고3 소년이냐부터 시작해서, 뭐랄까.. 특정 독자층을 겨냥하고 쓴 글을 읽은 기분이 들었고, 그 독자층 밖에 있는 저로선 그렇게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글은 아니었습니다 ㅠㅠ 집중해서 읽었지만, 공포소설임에도 딱히 무섭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그 많은 소재중에 몇 개만을 골라 집중적으로 썼다면 일상과 비일상이 섞여 오싹한 느낌을 자아냈을 법도 한데, 하려는 이야기에 비해 너무 많은 소재를 끌어왔기에 가끔 일상적인 이야기를 써놓아도 그 일상에 공감을 느끼기가 힘들었습니다.

이전 좌백님의 생사박을 읽었을 때, 한국 무협지를 읽지 않았기에 '대단하다'라는 감탄에 동의를 하지 못했는데, 데스노블도 그런 느낌입니다. 겨냥한 독자층(?)이 읽었을 때는 어떤 감상이 나올지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