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노블 Nobless Club 6
노현진 지음 / 로크미디어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지겨운 고3을 끝낸 재원은 형이 구해준 컴퓨터를 통해 '데스노블'이라는 제목의 공포 소설을 읽기 시작한다. 아무 생각없이 한 두편 읽기 시작했으나 어느 순간 소설속의 일들이 눈 앞에 생생히 펼쳐지는 일을 경험하게 된다. 급기야는 소설속의 일이 현실에서도 일어나고 있으며, 자신이 데스노블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 그는 공포심에 휩싸이고, 그 공포에서 헤어나기 위해 데스노블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과연 재원은 스토커보다 끈질긴 데스노블에게서 무사히 벗아날 수 있을 것인가!
공포소설은 제 전공(?)이 아니어서, 읽기 전에도 난감했는데 읽고 나서 글쓰기도 무척 난감하네요 OTL

링의 주인공인 사다코덕에 매체 안의 어떤 것이 현실로 나타나는 일은 이제 크게 놀랄 일도 아닙니다. 직전에 읽었던 에비터젠의 유령에서도 수많은 인물이 서로의 세계를 오갔고, 공포 소설은 아니지만 오래 전에 읽은 소피의 세계에서도, 좀 더 예전으로 건너가면 그 유명한 피터팬에서도 팅커벨을 살리기 위해 슬쩍 현실의 독자에게 도움을 구합니다. 엘러리 퀸이 추리 소설의 답을 들려주기 직전에 독자들에게 띄우는 편지도 꽤 유명합니다.

- 까지가 2/3정도까지 읽었을 때 쓴 글이고,

2/3 정도까지 읽었을 때만 해도 이 소설이 허구와 현실이 섞이는 나름 고전적인;; 이야기를 '컴퓨터'와 '인터넷 소설'이라는 새롭지만 친근한 매체를 사용하여 풀어내려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끝까지 읽어보니 스님에 무당(?)에 부두교 주술사까지. 엑소시스트만 나오면 완벽하겠네요 ^^; 영적인 소재만이 아니라, 소설 안에서 얽히고 섥히는 부적절한 인간관계마저 지나치게 다양하고 많아서 정신 없었습니다. 아침 드라마에 나올 법 한 관계는 하나도 안 빼먹고 다 본 기분입니다 OTL

주인공이 왜 하필 고3 소년이냐부터 시작해서, 뭐랄까.. 특정 독자층을 겨냥하고 쓴 글을 읽은 기분이 들었고, 그 독자층 밖에 있는 저로선 그렇게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글은 아니었습니다 ㅠㅠ 집중해서 읽었지만, 공포소설임에도 딱히 무섭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그 많은 소재중에 몇 개만을 골라 집중적으로 썼다면 일상과 비일상이 섞여 오싹한 느낌을 자아냈을 법도 한데, 하려는 이야기에 비해 너무 많은 소재를 끌어왔기에 가끔 일상적인 이야기를 써놓아도 그 일상에 공감을 느끼기가 힘들었습니다.

이전 좌백님의 생사박을 읽었을 때, 한국 무협지를 읽지 않았기에 '대단하다'라는 감탄에 동의를 하지 못했는데, 데스노블도 그런 느낌입니다. 겨냥한 독자층(?)이 읽었을 때는 어떤 감상이 나올지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