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희망 유재현 온더로드 6
유재현 지음 / 그린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느린 희망’의 의미는 책을 덮고서 절실히 느끼게 된다.  

느리다는 말과 희망이라는 말이 뭔가 조금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다가, 느려도 희망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괜찮은 것인지 생각하다가, 원래 희망이란 느린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후다닥 이뤄져 버린다면, 희망이 주는 끈끈한 기분 좋음을 별로 느낄 수 없을 것이고 내가 가지고 있던 마음이 희망이었다는 것을 모르지 않을까…… 물론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꼭 명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책을 읽기 전 내가 알고 있던 쿠바란... 체 게바라, 피델 카스트로, 목숨을 건 미국으로의 보트 탈출, 환락의 도시 아바나가 고작이었다고 하겠다.

책을 읽고 나서 새로이 내 머리 속에 남아있는 쿠바는 모든 나라가 가질 수 있는 명암을 다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밝음 쪽이 조금 더 많이 부각되는 그런 나라다. 쿠바의 모습을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해주는 것이 이 책의 첫 번째 미덕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가지고 있던 칙칙한 이미지가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조금씩 떨어져 나간다. 쿠바의 문제점과 더불어, 환경, 교육, 의료 등 우리나라가 보고 배워야 할 모범적인 사례들도 보여준다.

글쓴이의 감상과 더불어 쿠바에 대한 지식적인 정보도 조화롭게 들어가 있는 것이 두 번째 미덕이라 할 수 있겠다. 가끔 작가의 특이한 감상은 공감할 수 없음으로 인해 좀 지루한 감을 줄 때도 있지만 여행기란 부류의 책이 원래 그런 게 아닐까 싶다. 굳이 나와 같은 느낌만 있는 여행기는 오히려 더 지루할 듯......신선함이 떨어지니까.. 

이 책에는 사진이 많다. 세 번째 미덕이다. 그저 유명한 관광지의 풍경이 아니라 일상의 모습이 대부분이다. 이 들 사진에는 파란색이 많다. 눈이 시릴 정도다. 파란 하늘이 많이 나온다. 그래서인지 사진들이 풍기는 느낌은 비록 무너져 내릴듯한 건물 사진일지언정 비관적인 느낌이 거의 없다. 그다지 예쁘지만은 않은, 내가 몰랐던, 별로 관심도 없었던 쿠바의 자연이 책의 대면 페이지를 가로질러 펼쳐지면 그 자연을 맛보고 싶어진다. 그리고 사람들을 찍은 사진이 많다. 그 사람들은 나와 같은 사람들이다. 신기한 존재나 나와 다른 존재라는 느낌보다는 그냥 인간 대 인간으로 바라보게 되는 사진들이다. 나는 여행을 할 때 주로 건물이나 풍경을 찍곤 하는데, 이 책을 읽어가는 동안 가만히 사람들 사진들을 보고 있자니 여행을 하면서 내가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해 어떤 마음이었나 되돌아보게 된다. 곰곰 생각해보니 나에게 그들은 신기한 존재들이었을 뿐인 것 같다. 반면, 이 책에서의 사람들은 정말 사람들이었다. 세 번째 미덕 중에서도 미덕이 사진으로 이러한 느낌을 전하고 있다는 바로 이점이다.

덧붙여, 이 책을 읽다가 더 알고 싶어진 것들은...빔 벤더스의 부에나비스타 소셜클럽, 쿠바의 민속종교라는 산테리아 Santeria..

마지막으로 밑줄 긋고 싶은 곳은..

p.101

그래서 나는 알았지. 살사의 도인들은 말이야, 나이트 클럽이나 카바레에 죽치는 대신 초야에 터를 잡고 농사를 짓거나 밥을 짓다가 하루의 일과가 모두 끝나고 한가해진 밤에 이렇게 슬쩍 나타나 잠깐 즐기다가 밤하늘로 사라지는 법이라네.

, 내가 여인과 노인의 춤추는 사진을 찍지 못했던 것은 말이야, 그만 넋이 나가버려서 사진 따위가 한없이 초라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야. 난 지금도 그걸 후회하지 않고 있다네.

p.205

아바나. 그 문턱을 앞두고 줄곧 보아왔던 탓에 이제는 익숙하기 짝이 없는 선전판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시경계 표지판이다.

'어서 오세요. 서울입니다.'

이런 말인 셈인데, 정확하게는 이렇게 씌여 있다.

'모든 쿠바인들의 수도에 오셨습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짱구아빠 2006-08-28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쿠바인들 특유의 낙천적인 기질과 미국의 경제봉쇄정책에 따라 겉보기에 낭만이 넘쳐 보이나,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은 많아 보입니다. 하지만, 돈에 의하여 사람이 차별받지 아니하는 사회와 기계문명만이 만능이 아님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런지...
피델 카스트로의 건강이 악화된 후,동생인 라울이 통치를 하고 있는데,미국은 이참에 앓던 이를 뽑는다는 심정으로 암암리에 쿠바 전복을 획책하고 있는 듯 하더군요...

해적오리 2006-08-28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워낙 쿠바에 대한 칙칙한 이미지를 갖고 있었어서 그런지,, 교육 부분에 대한 투자와 남미 국가에서의 의료부분에서의 위치나 역할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서 놀랐었어요. 지금까지 너무 한 쪽으로 치우친 내용만 접해왔었구나 하는 생각도 들구요.
글쿠 미국은 왜 자꾸 남의 나라를 내 나라인양 들들볶고 그러는지... 지구상에서 악의 축이 존재한다면 그건 미국이 아닐까 싶어요..

짱구아빠 2006-08-28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이 쿠바를 잡아먹지 못해 안달인 거는 쿠바가 미국의 바로 턱밑에 있다는 지리적 위치 때문이죠.. 케네디 대통령 시절에 카스트로가 소련에서 미사일을 들여오려고 하다가 촉발된 미사일 위기나 미국의 망신살이 좌악 펼쳐졌던 피그만침공이 발생하게 된 것도
그런 지정학적 여건이 가장 주된 이유죠...
쿠바가 북한이나 이란처럼 핵을 갖고 미국한테 협박하면 미국인들이 느끼는 두려움은 상상을 초월할 겁니다. 그래서 틈만 나면 쿠바를 어찌해보려 안달복달하는 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