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 - 불완전한 과학에 대한 한 외과의사의 노트
아툴 가완디 지음, 김미화 옮김, 박재영 감수 / 동녘사이언스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과 의학 관련 대중적인 책들을 보면, 저자는 환자의 생명이 왔다갔다하는 긴박한 순간에 마치 신의 계시 같은 느낌(?)으로 결정을 내려서 결국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는 식의 자랑 아닌 자랑을 보게 된다. 이 책의 저자는 다르다. 그 동안 멋모르고 결정을 내려왔음을 솔직히 고백하며, 그 이유는 단순한 무지 때문일 수도, 의학자체의 불확실성 때문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신의 계시 따위는 없으며 그저 운이 좋았을 뿐이라는 것이다.

괘씸하다고? 하지만 이런 내막을 너무 잘 알고 있을 그조차도 어린 딸이 위중한 상황에서는 그저 담당 의사들이 판단을 내려주기를 바랄 뿐이었다는 대목에서, 욕은커녕 오히려 인간적 연민마저 느껴진다. 내가 그 경우라면 어떨까? 의사인 저자도 그럴진대 나는 더 별 수 없지않을까? 그렇다고 그렇게 불확실한 의학에 어린 자식의 생명을 맡겨야만 한다는 것인가? 획기적인 대안은 없을까? 숄다이스 병원 (p59) 같은 전문화/기계화가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의학 진단이라는 것이 누구 말마따나 ‘요리’와 같아서 그런 일반화는 불가능하단다. 결국 불확실성으로 되돌아 왔다.

‘나는 고백한다...’는 한글 제목이 꽤나 자극적이라 TV의 무슨 시사 고발 프로그램 같은 인상을 받겠지만 (솔직히 나는 그래서 구입했다), 그런 류의 호들갑은 없다. 차분하고 담담하게 의료 현장의 예기치 않은 곡절이나, 그 바닥의 근본적인 불확실성과 딜레마에 대한 우려를 담아낸다. 그래서 원제도 ‘Complications’이다. 솔직히 적당한 번역을 찾지는 못하겠지만, 적어도 ‘나는 고백한다...’는 상업적 제목 이상 또는 이하도 아니었을 듯 하다.

무슨 책이든 첫 장을 넘길 때는 설레이게 마련이다. 그러다가는 몇 장 넘기지 못하고 내일로 미루는 책이 있는가 하면, 잘 시간을 놓쳐가며 내쳐 읽게 되는 책이 있다. 제목이 어땠던지 간에 이 책은 분명 단 한번에 읽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