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장 쓰기 오늘의 사상신서 155
이오덕 지음 / 한길사 / 1992년 3월
평점 :
품절


본 사이트에서 남편이 쓴 서평이라고 하나하나 읽어보던 와이프가 별 다른 말 없이 이 책을 넌지시 언급했다. 그 저의(?)는 충분히 짐작되나 명색이 국문학과 출신의 추천인지라 나도 별 군소리 없이 장바구니에 담았었다. 한편으론, 외곬으로 흐르던 나의 책읽기에 다른 방향을 보여줄 수 있겠다는 생각도 있었다.

책은 처음 예상과는 달리 상당히 실용적이었다. 구체적인 실례와 그 교정이 매우 풍부하다. 왠지 뜨끔하여, 멀리 갈 것도 없이 바로 이 사이트에서 지가 써놓은 독자 서평들을 다시 읽어보니 얼굴이 화끈해진다. <과학의 대중적 글쓰기의 모범>?!?! 이런... ‘—적’, ‘—의’가 남발하는군. 저자는 ‘—의’가 우리말이 아닌 일본말이라는 것을 알려주며 절대 쓰지 말자고 한다. 인터넷의 한 번역전문 사이트에서도, 가급적 ‘—의’를 줄이라는 TIP을 본 기억이 난다. 그러나 ‘—의’를 쓰면 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다. 가만, 이것도 축소지향적인 일본색인가?

이 글도 여기까지 쓰다가 다시 읽어보니, 만약 이오덕 선생이 봤더라면 거의 ‘X판’이라고 한바탕 호통을 쳤을 성싶다. 다시 써보자.

이 사이트에서 남편이 쓴 서평이라고 하나하나 읽어보던 집사람이 별 다른 말 없이 이 책을 넌지시 알려 주었다. 그 속뜻은 충분히 짐작되지만, 그래도 국문학과를 나온 사람이 권해주는 책이니까 나도 별 군소리 없이 장바구니에 담았다. 한편으로는, 내가 외곬으로 한 가지 책만 읽으니까 이번 참에 다른 쪽을 보는 것도 괜찮겠다라고 생각했다.

처음에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매우 쓸모 있는 책이었다. 잘못된 예를 하나하나 들고 그것을 고쳐준다. 왠지 뜨끔하여 ... (중략) ... 인터넷에 있는 어떤 번역전문 사이트에서도, 되도록이면 ‘—의’를 줄이라는 충고를 본 적이 있다. 그러나 ‘—의’를 쓰면 글을 짧게 쓸 수 있기 때문에 그 쓰고 싶은 마음을 뿌리치기 힘들다. 가만, 글을 짧게 쓰려는 것도 모든 것을 작게 하려는 일본 사람들 색깔 아닌가?

으.... 쓰기에도 10배는 더 힘들고, 읽기에도 좀 낯설다.

저자가 말하길, 삶이 말이 되고, 말이 글이 되어야 한다 했으니, 이미 우리의 삶이 중국식, 일본식, 영어식에 물들어 버린 지 오래라, 우리 글을 쓰는 것이 오히려 힘들고 낯설어졌나 보다. 아니면 삶과 말은 여전히 우리 모습이지만, 글 만큼은 현학적 (아차! ‘똑똑한 척 하려는’) 자세를 버리지 못하는 습성이 배어서 인지도 모르겠다. 흔히들 말하는 우리의 말과 글을 살리는 것이 우리네 정신과 문화를 되살리는 것이며...(어쩌고 저쩌고)... 까지는, 솔직히 말해 감정에 잘 와 닿지 않는다. 그런 흉내로 글을 마무리하고 싶지는 않고, 다만 글을 썼을 때 쓰는 사람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읽는 사람에게도 정확히 전달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결론을 내본다. <쉬운 ‘말’로 ‘글’을 쓰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심 2005-10-20 2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느낌에는 후자가 훨씬 읽기가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