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일부 굳이 읽을 필요조차 없는 부분도 있지만 (저자가 제안하는 독서술은 그런 부분을 기꺼이 건너 뛰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많은 부분을 공감할 수 있었다; 최신의 첨단 정보는 이미 나와 있는 책 속에 있지 않다. 최신 연구 논문과 연구자의 머리 속에 있다. 과거 지知의 총체마저도 고전이 아니라 최신 보고서 속에서만 존재한다. 고전이란 시대를 초월하여 독자층을 계속 유지하는 것만이 진짜다. 이 부분이 특히 와 닿았던 이유는, 지금 내가 내 분야에서 조차 최신 정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밖에도 계속해서, 공부한 것과 책을 집필하는 것을 입력과 출력의 비율로 비교한 것이나, 지적 욕구를 실용적인 지적 욕구와 순수한 지적 욕구로 구분하는 것이나, 목적으로서의 독서와 수단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구분, 제너럴리스트다운 스페셜리스트, 회화적 책 읽기와 음악적 책 읽기의 비교도 쉽게 저자와 공감할 수 있었다.
책 읽기에 대한 사견私見을 덧붙이자면, 나는 다치바나처럼 책을 읽진 않는다. 혹 놓치는 것이 있을까 한줄 한줄 꼼꼼히 읽는다. 저자가 말하는 ‘취미로서의 독서’이고 ‘음악적 책 읽기’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게 읽다가 중간 중간 밑줄도 치고, 종이 구석을 접기도 한다. 다 읽고 나면 밑줄과 접힌 부분만 다시 훑으면서 정리를 해보고 서평도 써본다. 아, 서평에 대한 저자의 주장 중에도 공감되는 부분이 있다. 책에 대한 진정한 평가는 개인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므로 당연히 읽는 사람 스스로에게 맡기는 것이 가장 나은 방법이다. 그러니 쓸데없는 신변잡기와 수사修辭는 자제하고 정보만을 압축하라는 것! 맞다. 그래서 내가 쓰는 서평은 나 스스로를 위한 서평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압축한 정보가 그 누군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다행이고...^^
마지막으로 공감한 것 하나 더, 앞으로 우리는 정보의 바다에서 정보 신진대사체로 살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 이용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근데, 어떻게? 답은 속독! (좀더 자세한 것은 직접 책에서 찾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