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노기술이 미래를 바꾼다 ㅣ 공학과의 새로운 만남 3
조영호 외 지음, 이인식 엮음 / 김영사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데시[d], 센티[c], 밀리[m] , 마이크로[μ], 나노[n], 피코[p], 펨토[f], 아토[a]. 10의 음의 지수쪽으로 가는 Unit Prefix들이다. 전기쪽에서는 피코나 펨토의 단위도 많이 쓰이지만 (pA, fF 등), 길이나 두께에서는 나노가 한계일 것이다. 이론물리에서 다루는 아원자 입자는 제쳐두고, 실질적인 원자 반지름이 0.1nm 수준임을 고려해보면 그렇다는 말이다.
다른 쪽은 잘 모르겠고, 바야흐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도 나노급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2003년 현재 양산되는 최고집적 DRAM 상황이, 최소 선폭은 0.1μm 즉, 100nm를 약간 넘는 수준까지, 두께는 수nm 까지 내려와 있다. 사실 두께는 문제가 아니고 폭을 100nm 이하로 줄이는 게 급선무이다. 이 책에서 차세대 대안 기술 몇 가지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자기메모리MRAM, 단전자트랜지스터SET,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등 미처 몰랐던 지식까지 덤으로 얻었다. (이건 내 밥벌이와도 관계가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나노 기술이 아우르는 범위가 전자소자뿐 만이 아니고 MEMS, 소재, 바이오 등까지 매우 넓고 이제 막 태동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사실 체계적인 소개서나 입문서를 여러 입맛에 딱 맞게 만들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이 책이 시도한 내용은 적절했다고 본다. 파인만, 드렉슬러부터 시작되는 나노기술의 원류와 국내 산/학계 여러 전문가들의 설명과 진단,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래상과 경고까지... 여러 교수들의 글에서 계속 반복되는 추상적 개념과 막연한 추측들이 좀 아쉽기도 했지만 그 또한 현 시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이리라.
ps) 여러 저자들 중 낯익은 이름들도 많이 보여 반가웠는데, 특히 모모대학 모교수님 이름이 더 그랬다. 학부1학년 때 일반물리학 F를 받았거든...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