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생물학 - 실험과 사유의 역사
미셸 모랑쥬 지음, 김광일.이정희 외 옮김 / 몸과마음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일단, 나는 생물학에 대해 문외한이다. 더군다나 분자생물학에 대해서는 여기저기서 주어들은 얄팍한 지식뿐이다. 그래서 고른 게 이 책인데, 책을 받아보니 체계적인 입문서는 아니고 분자생물학의 역사서였다. 알라딘의 정보가 부족했다. 뒤늦게 다른 인터넷 서점을 뒤져보니 그 쪽이 훨씬 자세했다. 알라딘!!! 더욱 분발하시길...^^

그렇다고 이 책의 내용이 부실하다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너무 많은 것을 말한다. 그러다 보니 하나하나의 설명이 단편적일 수밖에 없고 그게 문제다. 전공자들이야 전체 흐름을 정리해보고 새로운 역사관을 접한다는 이득이 있겠지만, 일반인들이 하나라도 제대로 건지기는 쉽지 않겠다. 사전 정보 없이 튀어나오는 수많은 전공 용어들에 대해서도 익히 알고있지 않다면 계속 흥미를 갖고 읽기에 좀 힘들겠다. 그나마 코돈, 리보솜, m-RNA, t-RNA, 효소-기질 등등은 책 맨 뒤 용어 해설이 따로 있지만, 그밖에도 만만치 않은 것이 많다. 그림도 하나 없다. 역사 서술이니까!!!

그만 투덜대고 나름대로 몇 가지를 정리해보자. 저자는, 학술지를 읽지않고 ‘스타들’과의 인터뷰에만 매달리는 과학사가들을 비판하면서, 전문 논문과 전기적 자료를 통해 분자생물학의 주요 발견과 기술을 균형 있게 소개한다. 또한 생화학과 유전학의 실험적 방법론에 머무르지 않고 이론적 사유체제도 동시에 다룬다. 역자가 말하길, 이러한 저자 특유의 과학사 접근 방식이 독자에게 어려움을 줄 수도 있지만, 분자생물학은 이론적 사유체제와 실험적 실천체제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이라고 부연한다. 분자생물학의 역사는 사유방식 변천의 역사이며 이러한 사유방식을 연구자들이 실험으로 증명해 나간 역사라는 것이다. 그래서 ‘실험과 사유의 역사’라는 부제를 역자가 붙였다.

하여튼, 어려움을 강요하는 수많은 실험과 사유 속에 가까스로 기억에 남는 것은, 분자생물학은 1940년대 생화학(단백질, 효소)과 유전학(유전자)이 접목되어 탄생했다라는 것. 1944년 에이버리가 형질전환 현상을 이용해 유전자가 단백질이 아닌 핵산(DNA)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최초로 암시했다는 것. 노벨상을 받은 모노와 자콥(저자와 같이 프랑스 사람이다)의 유전자 조절 기작 실험도 왓슨과 크릭의 이중나선 발견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 1958년 크릭은 모든 생명체의 정보가 DNA에서 RNA, 그리고 단백질로의 한 방향으로 발현된다는 '중심 도그마'를 주장했고 이것은 1977년 모자이크 유전자와 스플라이싱(RNA접합) 발견에 의해 그 진위가 흔들리게 되었다는 것. 음... 제대로 이해한 건지 모르겠다.

ps) 주註가 114페이지로 전체의 1/4에 달하는데, 참고 문헌이 많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대부분 단순한 책 제목의 나열임에 불과한 것을 굳이 널찍한 줄간으로 인쇄해서 페이지 수를 이렇게까지 늘릴 필요가 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