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는 사물 - MIT 미디어 랩에서 제시하는 미래형 컴퓨터
닐 거센펠드 지음, 이구형 지음 / 나노미디어 / 1999년 12월
평점 :
품절
별점을 매기기가 참 애매하다. 처음 알라딘에서 책 소개를 봤을 때와 책을 받아서 읽기 시작했을 때,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나서의 느낌이 제각각 달라서 그렇다. 책 읽는 도중에도 각 장마다 느낌이 또 왔다 갔다 했다. 보통은 책 초반부쯤 읽고 나면 맘속에 별점이 정해지고 특별한 일 (내용이나 수준이 갑자기 곤두박질 치거나 하는) 없으면 그 별점이 끝까지 가는데, 이런 경우는 처음이다. 일단 중간 점수 [3]에서 시작해 보자.
사실, 원했던 것은 인공지능 관련 포괄적인 입문서였는데, 읽다 보니 그런 쪽은 아니었다. 이건 고른 사람이 잘못한 거니까 감점 요인은 아니고 [±0]. 저자는, 디지털 분야 세계 최고 권위 대학원인 MIT 미디어 랩 Physics & Media Gr.의 책임자이자 TTT 프로젝트의 공동책임자이다. 그와 그의 학생들은 기존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사고와 과감한 실천력을 보여준다. 이른바 ‘ALPHA GEEK‘라고 할 수 있겠다 [+1]. 그래서 그들이 ‘생각하는 사물’의 예로 제시하는 전자 잉크, 컴퓨터 첼로, 착용 컴퓨터, 개인용 제작기 (3차원 프린터), 스마트 머니 등은 꽤나 자극적이긴 하다. 하지만 일개 연구소의 업적과 전망이라는 점에서 좀 편협한 소재라는 느낌도 들었다 [-1].
여기까지는 ‘KNOW-WHAT’이었고, 다음은 ‘KNOW-WHY’다. 왜 이런 것들이 필요하냐고? 컴퓨터(비트)가 일상 속의 사물(원자)들 안으로 들어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으면 (심지어 사용하고 있다는 것조차 못 느끼게 -- 편재 컴퓨터 또는 표나지 않는 컴퓨터), 다루기 어렵고 사람을 초조하게 만든다고 컴퓨터에다가 총을 쏘아댈 일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차세대 인터페이스는 세상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 공감한다 [+1]. 여기서, 큰 맥락과 상관없는 시비거리 하나 ; ‘멀티미디어’, ‘가상현실’, ‘카오스’, ‘에이전트’, ‘신경망’, ‘퍼지 논리’ 등의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을 하면서 나름대로 용어 설명을 추가하는 듯하더니만, 은근스리 그만 둔 듯하여 못내 아쉽다. 후기에 보니 일부러 그랬으니까 세부적인 공부를 더 하라고 한다 [-1]. 하나 더 ; 튜링 머신과 양자 의식 등을 다룬 <비트의 신앙>장은 문맥이 좀 애매하다 [-1].
당연히 마지막은 ‘KNOW-HOW’이다. 액체 핵자기공명(NMR) 현상과 분자 생물학이 결합된 양자 컴퓨터가 그 답이다. 멋지다. 답을 제시할 수 있다니 [+1]. 그런데 그 설명을 이해하기는 정말 어렵다. 또 알아서 더 공부하란 얘긴가 보다 [-1]. <기업과의 협력>장은 미국적 상황에서의 얘기일 뿐이다 [-1]. 그러나 같은 미국적 상황이라도 <정보와 교육>장은 공감이 되고 부럽기까지 하다 [+1]. 마지막 장 <생각하는 사물>은 TTT 프로젝트에 관한 저자의 사견私見인데 공감할 만한 정도다 [±0].
[3+0+1-1+1-1-1+1-1-1+1+0] = [2]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