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껍질 속의 우주 까치글방 187
스티븐 호킹 지음, 김동광 옮김 / 까치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는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양자론의 초석이 된 '광전효과'로 받았다. 그러나 정작 아인슈타인은 평생 양자론은 거부했다. 일반 상대론에 바탕을 둔 블랙홀의 스티븐 호킹도 매번 후보엔 오르지만 아직 노벨상을 받지는 못했다. 호킹 박사 스스로 말하길, 블랙홀 저온 스펙트럼을 누군가 발견만 한다면 (그러나 우주배경복사 2.7K에 묻혀 찾기가 결코 만만치 않다) 자신도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 한다 (매우 시니컬하게 들렸다).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도 '중성미자'와 'X-선 망원경' 등 천체물리학자들에게 돌아갔지만 일반 상대론은 역시 아니다. 100년이 막 넘은 노벨 물리학상 역사에 상대성 이론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수상한 사람은 없다고 한다 (1993년의 헐스와 테일러2세가 유일한 예외가 되겠다). 현대 물리학의 한 기둥이면서도 아직 확정적인 검증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라는 데, 뭔가 좀 아이러니하다.

서론이 긴 이유는, 정작 본 책에서는 할 말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익히 알고 있는 것이 없어 '선택적으로 기억'될 것도 없기 때문인데, 그거야 본인 탓이지 최신 이론물리 분야를 다룬 책 탓을 할 순 없는 노릇이다. 그래도 서평이라고 본 졸필을 읽고 있는 예비 독자를 위해, 그리고 책 읽는 데 투자한 시간과 노력이 아까워서라도, 책을 다시 들쳐보며 뭐라도 건져보자.

<제1장> 상대성 이론은 그 역사 만큼이나 다른 책에서도 충분히 잘 다뤄지고 있다. 본 책이라고 특별할 것은 없다. <제2장> 여기가 정수精髓일 듯 한데, 전작 <시간의 역사>에 비해 '허시간'을 좀 더 깊이 설명한다. <제3장> 책 제목인 '호두껍질' 우주가 언급되는 데 - 책 표지 그림 때문에 오해는 말길 - 호두껍질처럼 울퉁불퉁하고 약간 납작한 '허시간'의 역사로 '실시간'의 실재 우주를 대응시킨다는 얘기이다. <제4장> 양자역학, 상대론 등의 관점에서 미래 예측 가능성, 즉 '결정론'을 설명한다. <제5장> 일반상대론, 양자론, 양자중력이론에서 보건대...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는 얘긴지 아닌지 아직도 모르겠다. 난해한 문맥과 논리이다. <제6장> 제일 쉽게 읽힌다. 그 만큼 내용도 없다. 저자의 미래관觀을 엿보는 정도... <제7장> 'p-브레인 세계 이론'이라고 들어 봤는지? 이미 좀 알고 있다면 괜찮지만, '수학적 모형'과 '실재'를 연관시키기는 만만치 않을 듯... 마지막으로 <역자 후기> 본문 내용을 잘 정리했다...^^

결론은, 일반인에겐 너무 낯선 최신 이론을 너무 짧은 글에 (총 216 page이지만 그림을 빼면 반도 안될 듯) 압축하다 보니, 쉽게 썼다곤 하지만 오히려 논리가 비약하고 문맥이 난해해졌다. 어디 가서 우주에 대해 아는 척 좀 하고 싶으면 <시간의 역사>로도 충분할 듯하고, 혹 망신 당할까 싶어, 또는 자기 만족을 위해 더 알아야 겠다면, 초끈이론 그린의 <엘러건트 유니버스>를 주 교재로 하고 본 책은 참고 그림책쯤 하면 되겠다. 호킹 박사도 <엘러건트...>에 찬사를 보내고 있다. 대부분 과학대중서는 그저 그렇다며... 분명 <호두껍질...>도 그저 그런 책은 당연히 아닌데, '별점'을 매기기가 참 애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