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머리로 이해하는 E=mc2 - F=ma부터 E=mc2까지의 여행
고중숙 지음 / 푸른나무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저자는, “수학 공식을 피하고 쉽게 말로만 설명하려다 보면 도리어 번잡해지고 실타래 처럼 얽혀서, 그 쉽게 한다는 방법이 더 어려워진다. 즉 차라리 필요한 수준의 수학을 정복하는 것이 노력의 총합에서도 이익이고 이해의 깊이도 깊어진다”고 주장한다. 필요한 수학 수준은 고등학교 이과 수학 (벡터, 미적분) 정도면 되고!!!

그러다 보니 어린 학생으로부터 물리와 관계없는 일반인들까지 폭 넓게 아우르지 못하고 그 대상이 매우 좁아지고 말았다. 똑똑한 고1에서 덜 똑똑한(?) 고3 정도가 될까? 같은 이유로, 책의 성격도 교과 참고서쯤 되어 버렸다. 국민학교 때 (명칭이 바뀐 걸 안다. 그 만큼 옛날이란 의미로 그냥 쓴다) 누구나 한 권쯤 가지고 있었을 텐데, 모든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쓰고 한 문장 마다 좀 더 자세한 설명 (구어체로!!)과 지루하지 않도록 가외加外 이야기 거리가 첨가된 ‘OO전과’라는 참고서가 있었다.

그러나 상대성이론에 대한 ‘OO전과’가 없었기에 이러한 시도도 의미는 있다고 본다. 관심 있는 고등학생에겐 좋다. 솔직히 본인도 이 책에서 전혀 건진 것이 없다면 거짓말이다. 하지만 서점에서 본문 내용을 대충 훑었더라면... 인터넷 서점의 약점이 바로 이거다. 그래서 다양하고 구체적인 독자 서평이 필요하겠다. 이왕 산 거, 막내 동생이나 줄까? 아니면, 갖고 있다가 가끔 들쳐 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듯 한데...

ps) 책의 초반부에 느닷없이 엉뚱한 얘기가 튀어나와 당황했었는데, 혹시나 하고 저자 프로필을 확인해보니..... 각설하고, 독일 수학자 힐베르트의 묘비에 쓰인 글 형식을 흉내내서 한 마디만 하면, “Science must be nonpolitical. Science will be nonpolitica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