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까치글방 142
스티븐 호킹 지음 / 까치 / 199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외국에선 한 분야의 대가로 인정 받은 과학자의 대중 저술서가 왕성하게 출판되고 또 제법 판매도 되는 듯 하다. 본 책도 1988 초판 이래 전세계적으로 900만 부가 팔리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한편으론 책을 구입한 사람중의 단 2% 만이 끝까지 읽었다는 기록도 있다. 저자의 서술이 아무리 명료하고 기지에 넘친다고 해도, 쉽게 이해가 되어 끝까지 읽힐 것인가는 분명히 독자 개개인의 수준과 배경에 좌우될 것이다.

전혀 물리학적인 배경이 없는 독자라면, 결코 쉽지 않은 책임엔 분명하다. 기원전 아리스토 텔레스의 천구 개념에서부터 현대의 팽창하는 우주, 블랙홀, 인플레이션 우주, 무경계 제안 등으로 발전된 인간의 우주관을 엿보는 정도에 만족해야 할 듯 싶다. 하지만 그러기엔 본 책의 많은 부분들이 아깝게 된다. 장서용으로 책장에 꼽힌 채 먼지만 쌓이게 될까? (98%의 확률로..^^)

대학에서 교양으로 현대 물리학 정도까지의 배경을 갖는 독자이고, 그래서 뉴튼 고전 역학의 절대공간/절대시간 개념이 아인쉬타인 상대성 이론에선 상대공간/상대시간 개념으로 바뀐다는 어마 어마한(?) 사실을 이해하고 있다면 (시간 개념은 본 책의 후반부에선 다시 ‘허시간’ 으로 발전된다), 그리고 한가지 더, ‘시간’ 대 ‘공간’ 축으로 그려지는 도표들을 이해할 수 있다면, 본 책의 상당 부분을 이해하는데 큰 무리는 없을 듯하다. 게다가 지적 자극을 갈망하고 있기까지 한다면 더 많은 부분들까지 챙길 수 있을 듯 하다. 단, 여러 번 다시 읽을 각오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전공자들에게 어떨지 까지는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역자나 수많은 평론가들의 일치되는 관점은, 1980대 대중 과학서의 한 장을 장식한 책임엔 분명하다는 것이다.

본인의 경우를 말하면, 아직 한번 밖에 읽지 못했지만 마지막 책장을 넘기는 그 순간에 바로 다시 처음부터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소파에 누워서가 아니라 책상에 앉아서 밑줄도 그어 가면서 제대로 몇번이고 다시!!!! 아니면, 호킹 박사의 최근 저서 ‘호두껍질 속의 우주’ 나 본책에서 언급된 인물들, 예를 들면, 초끈 이론가인 그린의 ‘엘러건트 유니버스’, Big Bang 이론의 가모브, 양자전기학의 파인만 등의 저서가 너무 궁금해지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외국의 대중 과학 교양서는 참 많은데 우리네 것이 너무 없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젊은 예비 과학도들에게 기대를 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