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 생각의나무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 서문에 보면, 카메론 디아즈가 <프리미어> 잡지와의 인터뷰 말미에 '도대체 E=mc2 가 뭐죠?' 라는 다분히 농담적인 질문을 던진 것을 보고 저자는 본책에 대한 구상을 시작했다고 되어있다. 어디 카메론 디아즈 뿐이랴!! 많은 일반인들이 아인쉬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해 그 존재는 알며 그 내용은 모르는 모순에 빠져있지 않은지?

그러나 다분히 대중매체에 의해 그 난해함이 과장되어 일부 일반인들에겐 그 내용을 모르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지고, 일부에겐 도전해볼 만한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본 사이트에서 검색을 해보니 '상대성 이론' 관련 한국어로 작성되거나 번역된 것만 30여 편의 책들이 나오던데, 적지않은 이 책들이, 바로 그 기특한 호기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제법 많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닌지 싶다.

초등학교~대학교까지 과학 교과서의 많은 정리, 이론, 법칙들 그 하나 하나의 의미와 배경, 그리고 역사에 대해 궁금증을 가진 적이 있는지? 누가 처음에 만들었고, 어떤 과정으로 수정 보완되고, 다른 누구에 의해 증명되고, 또 다른 누군가에 영향을 주었는지? 그래서 결국은 교과서에 인용될 만큼 공인된 것이 되었는 지까지 (그렇게 되지 못하고 사장된 이론들이 또 얼마나 많을 것인지도). 누구나 입시 공부에 바빠 그런 생각과 시도를 해볼 엄두가 쉽지 않았을 듯 싶다…

만약 그 하나 하나의 과학 이론과 법칙들이 생명을 갖고 나름의 역사가 있어 서로를 잉태하고 키워내서 위대한 하나의 공식으로 수렴되는 이야기가 있다면 훌륭한 전기 소설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상대성 이론의 ‘내용’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일반인들에게 이책은 그 내용과 더불어 그 잉태와 성장의 ‘역사’도 알려 준다. 또한 고맙게도(?) 우주가10^100년 뒤에 그 역사를 마감할 것이라는 ‘미래’까지도!!! 저자는 10^100 을 1,000,000... 이런 식으로 100 개의 ‘0’ 을 3줄에 걸쳐 다 표시했다. 우주에 비하면 인간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과 시간의 양이라는 게 얼마나 미미한지를 알려 주려는 듯이. 한편으론 그 인간의 한계를 초월해낸 위대한 공식에 대해 경의를 표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이책을 가볍게 읽고 난 뒤에 아쉬움이 남는다면,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 나 ‘파인만의 QED 강의’ 같은 책에 도전해 E=mc^2 이후의 새로운 지식을 맛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