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ㅣ 마호로 역 시리즈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12월
평점 :
품절
'럭키 스트라이크'를 피우는 다다, '말보로 멘솔'의 교텐. 두 남자의 아주 특별하고도 평범한,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엄청나면서도 소소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일본에서 무려 150만 부(시리즈 누적) 판매 기록을 올리며 선풍적인 인기를 누린 미우라 시온(三浦しをん)의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まほろ駅前多田便利軒)>이다. '문제적 주인공' 두 남자의 우정과 심부름집을 둘러싼 사건이 그려진다.
배경이 되는 마호로(まほろ)시는 도쿄 인근의 중소도시 정도로 추정된다. 일본소설에서 마호로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자주 등장하는 의미라고도 한다.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에서는 마치다(町田)역 배경이 주로 소개되면서 발빠른 일본답게 JR마치다역 앞에는 마호로 데크까지 조성됐다. 또 책에서는 심부름집을 뜻하는 '벤리야(便利屋/べんりや)'에서 '가게, 점포'의 '야(屋)' 대신 '집'의 '켄(軒)'이 쓰였다.

자동차 영업사원 출신의 다다는 마호로 역 앞에서 작은 심부름집을 운영하고 있다. 사장 겸 직원, 1인 회사다. 버스회사가 운행시간을 속이고 있다고 의심하는 의뢰인으로부터 정류소에서 운행시각을 점검해달라는 의뢰를 받은 다다. 하루 종일 체크했지만 버스 운행시간은 정확했다. 일을 마무리할 즈음 어라, 또 다른 의뢰인이 보호를 맡긴 치와와가 사라졌음을 알게 되고 당황한다. 강아지를 찾아 나선 다다는 강아지를 품에 안은 교텐을 발견하게 되고, 두 남자의 '불편한 동거'는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뭐, 여행도 하고 울고 웃고 그러겠지."
"여행요? 어디로요?"
"아주아주 먼 곳, 사람마음속만큼이나 먼 곳..."
연초 병문안 심부름을 갔던 다다가 소네다 할머니로부터 들은 이야기다. 주위에서는 '기쿠씨의 예언'이라고 했다. 다다는 이 예언대로 본의아니게 '사람 마음 속으로'의 여행을 교텐과 함께 떠난다. 돌아가라고 말하고 싶어도, 교텐에게는 돌아갈 곳이 없다. 그런 사람에게 어떤 말을 해야 좋을까. '나 좀 따라다니지 마'라고 말하자니 스토커에게 시달리는 여자같고, '얼른 일거리라도 찾아보는 게 어때?'라고 말하자니 엄마 같다. 그래서 다다의 심부름집에 교텐은 눌러앉게 된다.
지역 밀착형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는 다다와 갑자기 굴러 들어온 수수께끼투성이 교텐 그리고 새 주인을 찾아야 할 치와와에게는 달리 돌아갈 곳이 없었다. 태어나서 자란 동네, 도쿄 교외에 위치한 인구 30만 명의 마호로 시 이외에는. 할 말은 많지만, 꾹 참고 작업에 임하는 것이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는 사람의 경영마인드라고 다다는 생각한다. 물론 '천방지축' 교텐은 그렇지 않다.

가슴 깊은 곳, 누구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아픈 기억을 지닌 다다. 원래대로 회복될 리 없는 잘린 손가락을 붙이고 살아가고 있는 교텐. 두 남자는 완전히 다르지만 비슷한 상처와 교감의 접점이 있다. 그래서 둘은 말 하지 않아도 서로를 안다. 그럼에도 다다는 늘 눈치가 없고, 교텐은 늘 제멋대로다.
분명 생각없이 행동하는 것 같지만 교텐의 어록은 뭔가 깊은 뜻을 담고 있다. 주인이 버린 치와와의 새 주인을 결정할 때 던진 "누군가한테 필요한 존재라는 건 누군가의 희망이 된다는 의미야"라거나, 마호로 역 뒷골목 여성을 스토커로부터 구해내기 위한 작전을 펼치면서 "바퀴벌레는 냉장고 밑에서 완전히 기어 나왔을 때 탁 때려 잡아야 하는 거야!"라는 말이 그렇다.
창고 정리, 개집 수리, 등하굣길 바래다주기, 가구 재배치 등 잡다한 모든 일이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의 업무 영역이다. 그런데 위험한 아르바이트에 빠진 초등학생을 구해주고, 부모님을 살해한 여고생과 친구의 사연을 해결하는 등 심각한 형사사건에도 어쩔 수 없이 개입하는 용감한 두 남자다.

교텐이 주문한 두 개의 가도마쓰(門松/새해에 문 앞에 세우는 대나무와 소나무 줄기로 된 장식)처럼 다시 심부름집의 두 기둥이 되는 다다와 교텐-물론 교텐은 후불로 주문했고, 다다는 늦게 발견하면서 잠시 분노하지만-이 새로운 모험 또는 일상을 기대하게 하면서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은 마무리 된다.
"너무 오래 여행하면 돌아갈 곳을 잃어버려."
소네다 할머니는 연말 다시 다다에게 당부한다. "이제 그만 여행이 끝나길 기대하며 종착점에 도착하지만, 그곳에는 언제나 새로운 여행이 기다리고 있다. 잃어버린 것은 완전히 되돌아오지 않는다. 다시 얻었다고 생각한 순간에는 기억이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행복은 다시 살아나게 된다." 다다가 교텐을 만난 한 해의 교훈이다. "행복은 모양을 바꾸어가며 다양한 모습으로 그것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몇 번이고 살며시 찾아온다"는 다다의 말에 공감한다. 두 남자의 우정과 행복을 향한 발걸음이 경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