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표본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컬처블룸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독특한 구조를 지닌 작품이다. 미나토 가나에(湊かなえ)의 <인간표본(人間標本)>은 범죄를 단순히 추적하고 실마리를 찾아 해결해나가는 범죄스릴러가 아니라 하나의 엽기적인 살인사건을 놓고, 이와 관련된 각자의 시각에서 완전히 다른 사건으로 해석하게 만든다. 그래서 등장인물의 심리적 변화와 이유, 그리고 엄청난 반전과 충격을 경험하게 된다.


"미래의 문이 열렸다. 열지 말았어야 할 문이......" 나비연구가 사사키 시로는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처음으로 나비를 채집하고, 표본을 만들었던 순간으로 돌아간다. '인간표본'을 언급하면서 퇴출당한 천재적 화가인 아버지의 권유가 있었던 그 당시다. 평생 나비만 생각하고 연구하는 삶을 이어가던 시로의 수기 형태로 <인간표본>은 시작된다. 아름다운 소년을 나비와 함께 표본으로 만드는 과정, 제작의도, 촬영기법 등을 담담하게 전하는 출발부터 뭔가 당혹스러운 세상이 펼쳐진다. 


화가인 할아버지, 나비연구가인 아버지, 그리고 중학생의 아들로 이어지는 삼대의 기이한 능력이랄까, 예술에 대한 광기가 <인간표본>을 뒤덮는다. 그리고 이 가족과 연결되는 또 다른 가족이 있다. 할아버지가 인생작으로 여겨질 만큼 걸작으로 남은 초상화의 주인공인 대학동기 할머니, 화가가 된 딸과 손녀. 마찬가지로 삼대는 각각의 세대를 걸치고 이어지는 묘한 인연을 갖고 있다. <인간표본>은 이들에 대한, 혹은 이들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로 읽힌다.



작품 제목에서 이미 밝혀지듯 인간을 곤충처럼 표본으로 만들어낸 엽기적인 사건이 '나비'라는 매개를 통해 진행되는 것도 몰입도를 높여 준다. 사원색을 식별할 수 있는 사람, 이원색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 사람, 또는 나비처럼 자외색을 볼 수 있는 제 3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는 사람. 서로 다르게 보이는 세상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한다는 것은 분명 쉽지 않을 일일 터. 그래서 예술로나마 전달하고 기록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될 지 작품을 탐독하고서도 제대로 분간되지 않는다. <인간표본>의 결말 이후에도 뭔가 개운치않은 여운이랄까, 묘한 감정이 여전히 남는다. 미나토 가나에가 자신있게 말했던 '작가로 살아 온 15년 동안 가장 재미있는 작품'으로 인정되는 이유도 되겠다.



"나비의 왕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일찍이 본 적 없는, 아름답고 잔혹한,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 이야기를 선사합니다.

당신 눈에 비치는 세상은, 타인이 보는 세상과 똑같을까요?"


책머리에 <인간표본>으로 이끌었던 작가의 말을 어렴풋이 다시 떠올리게 된다. 한가지 더. 옮긴이의 말에서 소개되는 사이트(kadobun.jp/special/minato-kanae/ningen-hyouhon)를 한번 찾아보는 것을 권한다. 출판사에서 만든 특별페이지인데 <인간표본> 작품 소개와 함께 등장했던 나비들의 사진과 이야기도 함께 올려져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셔가의 몰락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아구스틴 코모토 그림, 이봄이랑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택이 내뿜는 공포...명작과 일러스트의 만남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셔가의 몰락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아구스틴 코모토 그림, 이봄이랑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스 클럽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애드거 엘런 포의 명작 <어셔가의 몰락>이 사실보다 직관적으로 다가오는 일러스트와 더해지면서 더욱 확장된 공포를 만들어 낸다. 문학동네가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시리즈로 출간한 <어셔가의 몰락>. 아구스틴 코모토의 일러스트가 표현하는 어셔 주택과 등장인물은 명작의 분위기를 강하게 전달한다. 이유모를 어둡고 침침한, 그래서 이 음산한 저택을 어서 벗어나고 싶은 공포말이다.


"어셔가를 떠올릴 때 나를 그토록 불안하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나. 도저히 풀리지 않는 불가사의였다. 또한 내가 생각에 잠긴 동안 몰려들던 어두침침한 공상의 실체 역시 파악하지 못했다."


어셔가의 마지막 일원 로더릭 어셔로부터 초대를 받은 화자는 절친한 벗으로서 그와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저택으로 향한다. 자신의 심각한 신체적 질병, 즉 정신질환을 언급하며 도움을 구하는 로더릭의 편지 때문이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어셔가는 방계가 제대로 자리를 자은 적이 한 번도 없는, 그라니까 가문 전체가 직계혈족으로 구성돼있다.


<어셔가의 몰락>이 주는 공포는 이야기의 전개 혹은 등장인물의 기괴함보다 '어셔가의 주택' 그 자체에서 비롯된다. 작품에서 소개하는 건물의 실제하는 특징은 '지극히 고색이 짙다'는 것. 변색된 외벽, 거미줄처럼 엮어진 이끼, 낡은 돌벽 등 광범위한 부식을 드러내고 있지만 반대로 제 기능을 완벽히 유지하고 있는 부조화를 간직한 채 서있는 주택이다.


바로 이 건물-어셔 가문의 저택-이 로더릭의 정신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이 감지된다. 저택의 회색 벽과 작은 탑들, 그리고 그것들 모두가 내려다보고 있는 어둑한 호수의 모양새가 어셔 가문의 마지막 일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텅 빈 눈 같은 창문들'이라는 건물에 대한 화자의 첫인상은 저택과 저택 안에 존재하는 로더릭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이미 굴복해버린 상태에서 서서히 무너지는 그런 과정.


"이곳에 들어온 자, 정복자가 되었음이라;

용을 해치운 자, 방패를 얻으리라.


작품에 등장하는 '유령 들린 궁전'이라는 시, 그리고 가장의 작품인 '광기의 회합'은 <어셔가의 몰락>과 절묘히 맞아떨어지면서 저택과 인간의 붕괴를 친절히 설명해준다. 역시 적확히 삽입된 일러스트는 이 과정을 보다 강렬하게 느끼게 해준다. 명작과 일러스트의 절묘한 융합이 즐거운 문학동네의 <어셔가의 몰락>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어가 도망쳤다 - 2025 서점대상 수상작
아오야마 미치코 지음, 민경욱 옮김 / 해피북스투유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부러 무너뜨린 실제와 허구의 경계. 그 속에 사람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어가 도망쳤다 - 2025 서점대상 수상작
아오야마 미치코 지음, 민경욱 옮김 / 해피북스투유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스 클럽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일본 도쿄의 번화가 긴자. 엄청난 인파와 교통량으로 유명한 그곳은 주말이면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을 통제하는 '보행자 천국'이 주어진다. '천국의 시간' 동안 벌어지는 사람사는 이야기, 바로 아오야마 미치코(青山美智子)<인어가 도망쳤다(人魚げた)>.



 

"내 인어가 사라져서....도망쳤어. 이곳으로."

 

유럽 귀족이나 입을 듯한 복장인 화려한 장식이 달린 재킷에 새파란 바지, 긴 검정 부츠를 입은 왕자가 '천국의 시간'에 나타났다. 그의 목적은 바로 정해진 시간 내에 사랑하는 인어를 찾기 위함이다. 안데르센 동화에서 툭 튀어나온듯 왕자는 당황하는 사람들 사이를 자유롭게 헤집고 다닌다. 도망친 인어를 좇아서. 아마도 인어찾기에 나선 왕자에게 주어진 시간은 '보행자 천국의 시간'과 같으리라. 자유롭게 열린 천국. 형형색색의 보행자들이 넘쳐나는 거리말이다.

 


<인어가 도망쳤다>'사랑은 어리석어', '거리는 풍요로워', '거짓말은 멀리', '꿈은 조용히', '당신은 확실히' 등 다섯 편이 에피소드로 이어진다. 모든 등장인물은 인지하건 못하건 간에 서로 얽혀있다. 무엇이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가상인지 모호한 설정은 책의 매력이다. 어쩌면 우리 삶도 작가의 고민과 닿아있을 지도 모른다.

 

"연기는 말이야. 괜객석에서 제일 잘 보이지. 무대에 선 우리는 잘 몰라."

 

책은 '모든 사람은 저마다 다른 역사와 드라마를 품고 있다. 그리고 스스로 결정하고 확신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주위의 시선과 세간의 평가에 휘둘려 정작 자신을 잊고 사는 건 아닌지, 무엇이 소중한 지를 다시금 떠올리게 하는 귀중한 작품이다.

 

원작에서는 인어공주가 거품이 된 뒤 곧바로 사라지지 않고 '공기의 요정'이 되어 300년 동안 사람들에게 바람을 보내고 꽃향기를 흩뿌리며 모두가 기운을 차릴 수 있도록 도와 비로소 영원한 영혼을 얻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물거품으로 끝나버린 슬픈 사랑이야기에 더욱 관심을 둔다는 것도 <인어가 도망쳤다>가 남기는 여운으로 읽힌다.

 

긴자 한복판에서 일어나는 일상에 스며든 허구가 마냥 신비롭지만은 않은 이유는 바로 현실의 세계와 별반 다름없이 흘러가기 때문이다. <인어가 도망쳤다>의 매력, 실제와 가상을 허물어 억지로 구분하지 않도록 만드는데 있다. "지금 세계는 진짜 현실일까. 내 책도 정말 내가 쓴 걸까 의심될 때가 있다"는 작가의 말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