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표본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다 / 2025년 10월
평점 :
*컬처블룸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독특한 구조를 지닌 작품이다. 미나토 가나에(湊かなえ)의 <인간표본(人間標本)>은 범죄를 단순히 추적하고 실마리를 찾아 해결해나가는 범죄스릴러가 아니라 하나의 엽기적인 살인사건을 놓고, 이와 관련된 각자의 시각에서 완전히 다른 사건으로 해석하게 만든다. 그래서 등장인물의 심리적 변화와 이유, 그리고 엄청난 반전과 충격을 경험하게 된다.
"미래의 문이 열렸다. 열지 말았어야 할 문이......" 나비연구가 사사키 시로는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처음으로 나비를 채집하고, 표본을 만들었던 순간으로 돌아간다. '인간표본'을 언급하면서 퇴출당한 천재적 화가인 아버지의 권유가 있었던 그 당시다. 평생 나비만 생각하고 연구하는 삶을 이어가던 시로의 수기 형태로 <인간표본>은 시작된다. 아름다운 소년을 나비와 함께 표본으로 만드는 과정, 제작의도, 촬영기법 등을 담담하게 전하는 출발부터 뭔가 당혹스러운 세상이 펼쳐진다.
화가인 할아버지, 나비연구가인 아버지, 그리고 중학생의 아들로 이어지는 삼대의 기이한 능력이랄까, 예술에 대한 광기가 <인간표본>을 뒤덮는다. 그리고 이 가족과 연결되는 또 다른 가족이 있다. 할아버지가 인생작으로 여겨질 만큼 걸작으로 남은 초상화의 주인공인 대학동기 할머니, 화가가 된 딸과 손녀. 마찬가지로 삼대는 각각의 세대를 걸치고 이어지는 묘한 인연을 갖고 있다. <인간표본>은 이들에 대한, 혹은 이들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로 읽힌다.

작품 제목에서 이미 밝혀지듯 인간을 곤충처럼 표본으로 만들어낸 엽기적인 사건이 '나비'라는 매개를 통해 진행되는 것도 몰입도를 높여 준다. 사원색을 식별할 수 있는 사람, 이원색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 사람, 또는 나비처럼 자외색을 볼 수 있는 제 3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는 사람. 서로 다르게 보이는 세상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한다는 것은 분명 쉽지 않을 일일 터. 그래서 예술로나마 전달하고 기록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될 지 작품을 탐독하고서도 제대로 분간되지 않는다. <인간표본>의 결말 이후에도 뭔가 개운치않은 여운이랄까, 묘한 감정이 여전히 남는다. 미나토 가나에가 자신있게 말했던 '작가로 살아 온 15년 동안 가장 재미있는 작품'으로 인정되는 이유도 되겠다.

"나비의 왕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일찍이 본 적 없는, 아름답고 잔혹한,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 이야기를 선사합니다.
당신 눈에 비치는 세상은, 타인이 보는 세상과 똑같을까요?"
책머리에 <인간표본>으로 이끌었던 작가의 말을 어렴풋이 다시 떠올리게 된다. 한가지 더. 옮긴이의 말에서 소개되는 사이트(kadobun.jp/special/minato-kanae/ningen-hyouhon)를 한번 찾아보는 것을 권한다. 출판사에서 만든 특별페이지인데 <인간표본> 작품 소개와 함께 등장했던 나비들의 사진과 이야기도 함께 올려져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