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운 질서 - AI 이후의 생존 전략
헨리 키신저 외 지음, 이현 옮김 / 윌북 / 2025년 8월
평점 :
세계적 석학 헨리 키신저의 유작 <새로운 질서-AI 이후의 생전 전략>을 만났다. 20세기 말 정보화라는 큰 물결 이래 세상의 모든 분야를 뒤집어놓을 파도인 AI의 등장에 대한 현실적이고도, 본질적인 질문과 전략을 정리한 책이다. 미국 백악관에서 대통령 보좌관을 거쳐 국무장관을 지낸 키신저에 더해 구글 CEO였던 에릭 슈밋, 마이크로소프트 전 연구 책임자 크레이그 먼디가 공저자로 참여해 AI에 관한 사회적, 기술적 면에서 빠짐없이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했다.

"AI는 도구가 아니라 행위자다. 칼과 폭탄은 누구를 죽일지 스스로 결정하지 않는다. 반면 AI는 스스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인간을 대신하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유발 하라리 <넥서스> 가운데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AI에 대한 정의는 책의 서문을 열기에 충분하다. 짧은 문장안에서 AI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요구함과 동시에 인류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새로운 질서-AI 이후의 생전 전략>은 AI와 인류에 대한 각자의 정의, 그리고 이 둘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오늘날 AI가 위치한 좌표에 대한 인식을 거쳐 정치, 안보, 번영, 과학 등 4대 분야에서 도래할 미래를 설명한다. 마지막 '전략'편에서는 앞서 언급된 AI로 인한 변화-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에 대해 어떻게 대처 혹은 상호발전하는 것이 좋을 지 구체적인 답을 이끌어 낸다.

AI가 가져온 우리 일상에서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단순 검색기능이 아니라 문장과 이미지, 영상, 그래프 등 축적된 학습을 통해 사람보다 1억 2000만 배 빠른 속도로 정보를 처리한다. 준비하기도 전에 몰려온 변화지만 순응하면서 공생할 수 있을 것인지, 더욱 인간에 이롭게 될 것인지, 아니면 AI에 밀려나는 인간을 보게 될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책은 정리하고 있다. 인간이 가진 '존엄성'에 기인함으로써 인류에 관한 정의를 토대로 AI를 통한 인류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길을 모색한다.
앞으로의 AI시대는 윤리와 철학이 병행되는 AI, 제한된 정보와 개인적 가치에 따른 인간 판단의 오류를 돕는 AI가 인간 고유가 갖고 있는 의미를 더욱 심화시켜 줄 수 있을 지가 관건이 될 수 있다. AI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전망으로 기업, 국가에서 벌어질 수 있는 독점적 현상은 AI시대에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 떠올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은 결국 '회피'가 아닌 '공존'임을 <새로운 질서-AI 이후의 생전 전략>은 말한다.

"우리는 AI에 통치받을 것인가, 아니면 AI와 함께 공존할 것인가?"에 대한 정답은 이미 나와있다. 다만 우리 사회가 우리가 바라는 방향의 '새로운 질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의 문제가 남아있을 뿐이겠다. <새로운 질서-AI 이후의 생전 전략>은 이같은 시기에 매우 적절하고도 필요한 문제제기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야할 방향타가 되준다. 책이 우리에게 품고자 요구하는 '냉철한 낙관주의'를 '새롭고, 또 새롭게' 고민해야할 때다.(*)
*컬처블룸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