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그림이 된 문학, 문학이 된 그림
글과 그림은 뗄레야 뗄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다. 옛그림속 글은 그림의 보조장치가 아니라 어엿이 그림속의 주인공이다. 글도 그림도 무게중심은 같다. 서로 보완해주고 평행을 유지해주는 팽팽한 관계다.
옛그림 감상법
한 때 오주석의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1 2, 한국미의 특강, 그림속에 노닐다'를 읽고 반했었다. 글도 글이지만 고리타분하다고만 생각했던 우리글과 그림을 읽는 법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주는 글이 뜻밖에 우리 그림속에 숨은 재미와 맛깔까지 느끼게 해주고 다시 쳐다보게 만들어주었었다.
관심을 가지지 않는것의 이면에는 무관심이. 알게 되는 것의 이면에는 관심이 있다. 어느순간 작은 매개로 해서 보이게 될때가 있는데, 관심과 무관심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 제대로 맛을 알려면 보는법 읽는법을 약간만 습득하면 생각외로 쉽고 재미있어 진다.
옛그림은
그림의 대각선의 길이 1 ~ 1.5배 떨어진 거리에서 천천히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쓰다듬듯이
뒷사람은 오히려 진하게
옛그림 감상의 절대법칙인양 적용하다보니 어느새 나도 모르게 그렇게 감상하고 모르던 옛그림의 재미에 빠져, 용인 호암미술관에 가서 '송하맹호도'를 찾아 보고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영화로 제작되었던 취화선의 주인공 장승업의 그림을 보며 시대의 변화와 큰 화폭에 그려진 옛그림의 또 다른 맛을 읽을수 있었다.
'그림 문학에 취하다'는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림과 문학이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담기게되는지를 읽는 재미를 준다. 우리그림이 작다고 우습게 볼것이 아니라 그속에 담긴 글과 그림의 의미를 음미하며 그림에 가까이 다가가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