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 - 발달신경생리학자가 들여다본 아이들의 수 세계
안승철 지음 / 궁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초등학교 1학년인 조카가 책제목을 읽고 표지를 보더니 "어 틀렸네" 한다. "어떻게 알았어"  어른들은 표지를 자세히 보지 않는데, 호기심 많은 아이들은 그냥 보지 않는다. 2x4=8 이잖아. 더하기는 맞는거 아냐하고 묻는다. 

엄마들은 답답하다.
어휴 저 쉬운것도 못풀어 하며 속이 터진다. 저자의 말처럼 올챙이적 모르는 이야기다. 동화책을 읽어주면 어느날 아이는 동화책을 읽는다. 아직 글자와 조합은 하지 못하지만 좋아해서 반복해 듣다보니 외우게 된것이다. 이렇게 글자와 가까와 지듯이 '수'도 하나의 말처럼 수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로 받아들인다.  너 아직도 이것도 못하니? 아이들은 어른이 어떻게 질문하는가에 따라 정확한 대답을 할 수도 있 고 안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수학을 잘하려면 독서가 중요하다. 
수학과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있어서 책읽듯이  Why수학, 과학 고학년책을 꺼내 보는 편이라. 무얼 하나  봤더니 Why수학 4학년 문제를 풀고 있었다. 구구단이 들어가지 않은 문제는 틀리지 않고 풀었다. 정말로 푼거야 했더니? " 어 쉬워" 한다. 처음 접하는 수학문제를 수학으로 본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책읽기로 읽어 내었다. 수학은 어려운것이 아니라 논리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질문 문장을 읽어내는 능력이 길러져 있다면 우리아이가 수학을 못하는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외울것은 외우고, 수학의 기본적인 약속을 유아들이 어떻게 받아 들이고 있는가를 안다면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학습방법으로 얼마든지 수학을 좋아하게 만들 수 있다.

미국사람들은 수학을 우리가 생각하는 그림, 음악을 할때 필요한 재능의 여부로 본다고 한다. 타고난 재능이 없다면 잘 할 수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노력을 잘 안하는 편이라고 한다. 책을 읽으면서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어떤 암시가 실재로 대상을 대할때 심상에 작용한다는 이야기다. 

아이들은 왜 수학을 좋아할까?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게 만들려면, 부모들이 기다려 주고, 좋은 선생의 태도를 배운다면 충분히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로 만들 수 있다. 책속에 아이들이 수를 어려워하는 것에 대한 예들이 잘 나와 있다. 좋은 부모가 된다는 것은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노력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더해질때 좋은 방법을 알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속에서>----------------------------------------------------------------------------
수와 연결된 마음속 심상끼리 비교
SNARC(반응에 있어서 공간과 수의 관계) 사람들의 마음속 수에 대한 심상의 형태와 관련된 재미있는 실험 하나를 살펴보자. 사람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수와 공간에 관한 최초의 보고는 1880년
에 갈턴이<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한 형태를 자연스럽게 연상하는 사람들에 대해 기술했다.

수학 걸음마 떼기
1. 지도만들기(mapping)
수량으로서의 수가 아닌, 기호로서의 수가 자리를 잡는 과정으로 실수와 시간을 필요로 한다.

2. 수를 나타내는 말 배우기
계단을 올라가며 하나, 둘, 셋, 넷을 배우거나 하나하면 할머니가, 둘 하면 두부장수식의 노래를 통해 배우기

3. 수 세기의 원칙
수를 나타내는 말을 배웠다면 적용해보아야 한다. 그게 바로 수세기다. 센다는 것은 이미 외우고 있는 수를 순서대로 물건에 적용하고 적용한것을 기억한 후 다음 수를 기억해내야 하는 과정이다.
일대일 대응-안정된 순서의 법칙-기수의 원칙

4. 수 세기의 발달
일상 생활속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이 좋다. 자연스럽게 수를 더하고 빼는 과정과 연결한다. 유아들은 일단 각각을 따로 센 다음 그 둘을 합쳐서 처음부터 다시 센다. 모두 세기(counting all)-이어 세기(counting on): 두 수를 처음부터 셀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안것이다. 어른이 하나, 둘, 셋 말하면 아이가 받아서 넷, 다섯, 여섯, 일곱이라고 세는 방식이다.

수를 세는 방법은 여러가지다. 더하기를 하는 방법도 빼기를 하는 방법도 아이마다 다르다. 어떤것이 옳다고 아이들에게 어른들이 아는 방법을 적용할 필요는 없다. 덜어내기, 세어 내려가기, 세어 올라가기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다. 두 자리수의 빼기를 쉽게 해주겠다고 세로식을 알려주면 아이들은 더 혼란스러워 한다. 아이들 나름의 방식으로 답에 접근하는 것을 격려하고 수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