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 할머니, 초강력 아빠팬티>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오메 할머니 꽃보다 아름다운 우리
오채 지음, 김유대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적 할머니는 하얀 머리에 비녀 쪽을 지고 장날이면 우리 집에 오셨다. "아이고, 내 새끼" 하시며 동전을 주곤 했다. 할머니는 팔십에 돌아가셨다. 그때 아버지가 많이 우셨던게 기억이 난다. 나의 첫번째 죽음을 알게 해준 사건이었다.


오메 할머니는 말끝마다 오메라는 말을 해서 오메 할머니로 불린다. '오메 할머니'는 이 집에 사는 봉지(강아지)의 눈에 비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시골에서 쓰러진 뒤 지팡이를 짚고 도시 아들네로 온 오메할머니가 봉지는 못마땅하다. 지금까지 구박만 하던 오메할머니가 좋을리 없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은지의 방에서 쫒겨 나 추운 거실에서 자야할 판이다.

봉지의 눈에 비친 사람들
강아지가 보는 주인남자와 주인여자, 그리고 손녀딸 은지, 오메 할머니의 친구 반지댁, 빡스댁이 이야기의 중심이다. 봉지와 할머니의 신경전은 오래 가지 않고 서로를 측은하게 여기게 된다. 예전같지 않은 봉지에게 이심전심의 마음이 가는 오메 할머니다.  
소설속의 화자는 봉지다. 봉지는 10살이 된 개다. 할머니랑 같이 늙어가는 처지다. 이빨도 아프고 몸도 아프고 예전 같지 않다. 주인 내외가 공장에 일하러 가고 손녀딸이 학교에 가고 나면 집에 남은 봉지와 오메 할머니는 낮에도 빛이 잘 들어오지 않는 반지하 방을 나와 공원을 산책하고 활보한다.

오메 할머니의 도시생활
박스를 주워 손자랑 어렵게 살아가는 박스댁, 부자지만 자식들이 돈만 바라는 외로운 반지댁. 오메 할머니는 시골에서 글을 배우고 쓰기를 배우다가 쓰러지는 바람에 다 배우지 못했다면서도 받침도 틀리고 서툰 글씨로 소리나는 대로 손녀딸 은지에게서 받은 노트에 일기를 쓴다. 생일 파티 안해준다고 서운해 하는 손녀딸 마음을 달래기 위해 밤새 바느질해 만든 닷짜꾸리 쌀 주머니, 학교로 마중나가 은지의 소원을 들어준 물결파마, 친구 생일파티 갔다가 서운해하며 돌아 온 손녀를 위해 벌인 이벤트 달고나 만들기, 그날 할머니의 일기장에는

"우리 은지 생일 빠띠.
은지는 무깰빠마를 했다.
나는 다짜꾸리를 만드러서 조오타.
내년에도 내가 사라이쓰믄
우리 손녀 생일을 겁나게 거시기허게 해 줘야제잉
어매가 보고 싶네잉.
헛간이서 내 손에 다짜꾸리를 쥐어 주던 우리 어매.
오메, 거시기허네잉."  p92 할머니의일기중에


할머니의 생일을 잊어버린 가족들에게 서운한 맘을 달래려고 쇼핑을 하고 진주목걸이를 큰 맘먹고 샀는데 돌아온 며느리의 반응에 할머니의 일기는 웃기면서도 마음을 울린다.

"써글, 내 돈 내가 쓰는디.
미여국도 안 끄려 준 매느리가 쌩 날리다.
은지 고년도 내 편 안 들고 어매편만 드렀다.
오메, 서운하다.
내 생일도 모리는 자식들 다 피로 업따.
써글, 기분이 영거시기하다.
그리도 진주 모꼬리는 겁나게 이뿌다."  p108 할머니의 일기


할머니의 마음을 몰라주는 주인여자에게 복수하는 봉지와 할머니의 짝짜쿵은 웃기면서도 슬프다. 사람은 나이가 먹을수록 아이가 된다고 한다. 그래서 세상의 할머니들은 손녀의 마음을 누구보다도 잘 알아주고 좋은것이라면 하나라도 더 주고 싶어한다.

요란스럽게 용감하고, 정의감 넘치는 오메 할머니, 자식에 대한 연민과 애처로움은 현대를 사는 모든 자식들에게 말을 전하는듯 하다. 화순 시골할머니의 구수한 사투리가 녹아든 이야기는 웃겼다가 눈물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