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만찬, 재미있는 돈의 역사, 똑똑한 논리 탈무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재미있는 돈의 역사 두레아이들 교양서 2
벳시 마에스트로 글, 줄리오 마에스트로 그림, 이문희 옮김 / 두레아이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옛날에는 돈이 없었대
어떻게 했어?
어떻게 했을까?
물물교환을 했지


그러자 "물물교환이 뭐야? 고모" 하고 물어 왔다.초등학교 1학년 조카는 생갱한 단어에 대한 질문을 바로 해왔다. 이럴테면 니가 가지고 있는 물건과 고모가 가지고 있는 것을 서로 바꾸는거지. 그러면 고모 컴퓨터와 아빠컴퓨터중에 어떤게 더 비싸? 하고 물었다. 마침 노트북을 바꾸려고 가지고 간 날이었다. 고모컴퓨터가 좀 더 비싸했더니 그럼 횡재네.

이처럼 요즘 아이들의 경제관념은 달라지고 있다. 저축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 저축하는 날이 있고, 물건을 사기위해서 돈을 지불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렇다면 돈의 역사를 알아볼까하고 호기심을 유도하고 책여행을 떠나야 한다.

옛날에는 돈도 없었고, 돈을 쓸떼가 없었다. 물건을 살 수 있는 가게도 없었으니까. 수천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사람들의 사는 방식이 바뀌었고 사람 수가 늘어나면서 필요한 것들이 많아지고 농사를 지으면서 다양한 직업이 등장하고 쓰고 남은 것들을 팔기 시작했다 서로에게 필요한것들을 교환을 통해서 얻을 수 있었다.

복잡해지면서 거래를 쉽게 할 목적으로 사람들은 특정한 물건을 돈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중 에 소금, 금, 은이 돈으로 사용되었다. 이외에 찻잎, 조개껍질, 깃털, 동물이빨, 담배, 담요 등이 두루 쓰이던 물건이다. 조금 지루해지면 질문을 하고 찾기식으로 책읽기를 할 수 있다.

종이돈이 최초로 인쇄된 유럽국가는?
엽전을 왜 엽전이라고 불렀을까? 
우리나라 최초의 종이 돈 이름은?
근대적인 화폐의 이름은?

세계적으로 돈이 시작된 역사와 우리나라 돈의 역사가 알기쉽게 그림과 함께 구성되어 있다. 나라별 주화 모양을 볼 수 있고, 주화에 들어간 각기 다른 그림모양, 마르코폴로의 중국여행을 통해 종이 돈이 유럽에 들어오게 되는 이야기 들이 들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