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진 "어머니는 말할 수 있을까?"

 

딸에게는 어머니가 없다. 여성에게는 어머니가 없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모성 혹은 어머니란 기본적으로 남성의 호칭이고 담론이다. 마리아와 예수. 이 모자 커플은 서구 기독교에서 뿐만 아니라 이미 보편화된 모성의 영구 정형이다. 이상적인 모성애의 대상은 남성일뿐이다. 이에 대한 가장 적실한 사례는 여아 낙태일 것이다. 딸은 자식의 범주에 속하지 않기 떄문에 수백만 명의 어머니(여성이 아니라)들은 '어미의 본능'마저 거부하며 자발적으로 아이를 죽일 수 있다. 자녀는 성별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다.

그렇게 태어난 아들은 아버지의 질서를 따르기 위해 어머니를 죽이고 버린다. "난 엄마처럼 살지 않을 거야." 이는 성별화된 구호이다. 아들은 어머니에 대해서도 아버지에 대해서도 이런 다짐이 필요없다. 현대 교육을 받고 아들 사회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딸도 어머니를 죽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버리지는 못한다. 라깡의 말대로 버리지 못한 어머니의 시체를 껴안고 울며불며 사막을 헤매는 것. 이것이 딸들의 인생이다. 몇 년 전 내가 쓴 일기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나 자신이 누구인가를 묻기보다는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싶다. 그러나 어머니를 만난 순간 나는 길을 잃었다." (35)

 

'생계 부양자 남성 / 가사 노동자 여성'이라는 성 역할 모델은 극히 일부 중산층만의 전형일 뿐, 대부분의 가족에서 여성은 생계 부양자이자 가사 노동자다. (38)

 

어머니와 딸의 분열과 이간을 통해서 작동하는 남성 체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사건은 어머니와 딸의 연대이다. 그리고 아버지와 아들의 대립은 모녀 연대에 버금가는, 남성 연대를 파괴하는 체제 전복적 행위다. (43)

 

어머니의 노동이 여성에 대한 통제와 착취라는 것은 새삼스럽지 않다. 한국 사회가 전체 예산의 4분의 1을 국방비에 쓰면서도 이 정도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여성들의 가족 내 무보수 노동으로 사회 복지 비용을 대체했기 떄문이다. 우리는 이러한 현실을 문화, 미풍 양속, 전통으로 정당화한다. 군비 축소 ,반전 반핵, 평화 통일 운동은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한 도전과 파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46)

 

아들이 원하는 변화무쌍하며 한없는 요구. 이것이 어머니론의 핵심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어머니는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아들의 입장에서 어머니는 자기 요구대로 맞춰져야 하지만, 근본적으로 변화해서는 안 된다.  (51)

 

오늘날 자본주의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운 인간은 없다. 어머니 억압의 역사는 자본의 역사보다 20배는 더 오래되었다. 그러는 동안 어머니는 어머니에 대해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어머니는 언어가 없다. 어머니는 자신에게 부과된 희망과 스스로가 원하는 희망을 구별하지 못한다.

그다지 대단한 언어는 아니지만, 나는 이 글을 쓰면서 내게 '언어 있음'에 대해 어떤 쾌락을 느꼈다. 그런 점에서 (물론 그들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겠지만) 내게 언어를 가르쳐 준 아버지들에게 감사하며, 그들 아버지 언어의 역사적 맥락을 설명하고 상대화시켜준 여성 지식인들에게 감사한다. 앞으로 딸들은 아버지의 검은 잉크를 엎지르고 어머니의 젖으로 만든 흰색 잉크로 어머니 / 아버지에 대해 다시 써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제 아들은 어머니에 대해 말하는 것을 그만 두어야 한다. 딸은 어머니를 자신에게 투사하지 말고 스스로 욕망하는 대로 살아야 한다. 사회는 여성을 어머니로부터 분리시키고, '성스러운' 어머니의 일을 남성에게도 부과해야 한다. (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거에 가르친 학생들이 보내온 편지에서 직장이나 안정이 보장되지 않는 미래와 덧없고 불충실한 현재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에 떨면서도 그들이 미에 대한 추구라는 주제로 글을 쓰고 있다는 소식을 들으면 그 미풍의 여신을 엿보게 된다. (85)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 . . "잘못된 사물의 형태"와 투쟁하려는 본능적인 충동. (84)

그것은 나보코프가 독자들이 소설을 읽는 행위 속에서 맛보기를 기대했던 등뼈가 욱신거리도록 흥분되는 마음이었다. 그런 느낌이 바로 나보코프가 말하는 좋은 독자와 평범한 독자를 구분하고 있었다. (49)

모든 선택사항이 사라졌을 때 따라오는 무한한 자유의 가능성이 있다. 그것은 나보코프의 소설이나 생활 모두에 우리가 본능적으로 결부시키고 포착했던 것이다. 내 생각에는 바로 그러한 점이 나로 하여금 이 특별 모임을 구성하게 만든 동인인 것 같다. 나를 외부 세계와 이어주는 주된 끈은 대학이었다. 이제 그 끈을 끊었기 때문에 금방이라도 무가 될 것 같은 순간에 나는 허공 속의 바이올린이라도 발명해내어야 했다. 아니면 나는 무에 의해 삼켜질 것이었기 때문이다. (54)

[보바리 부인] 덕분에 대학에서 수년 동안 가르쳐도 하지 못했던 것을 하게 되었다. 이 소설로 우리는 친밀감을 공유하게 되었다.  (122)

앞에서 나는 밖의 현실로부터 우리 자신들을 보호하게 위해서 우리가 거실에 있었다고 말한 바 있다. 나는 또 이런 현실이 초조하고 지친 부모를 한순간도 그냥 내버려두지 않는 까다로운 아이처럼 우리를 짓누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현실은 우리를 기대치 않았던 공모관계로 몰아갔고 우리는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우리의 관계는 여러 다른 방법으로 개인적인 것이 되었다. 우리끼리의 비밀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아주 평범한 활동들도 새로운 활력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은 때때로 가장이나 허구의 성질을 갖게 되었다. 심지어 우리는 우리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지도 못했던 그런 모습들을 서로에게 드러내야만 했다. (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need to walk

and to think...

-탐정 프와로

 

*) 처음엔 히어링이 안 돼서 정말이지 "into think" 로 들렸다.

문법에 안 맞잖아.. 하면서 당황했었으나..

아침에 잠에서 깨면서 in 이 아니라 and 임을 깨우치게 되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95년 가을 마침내 대학 교수직을 사임한 이후 나는 그동안 이뤄보고 싶었던 꿈을 실현시켜 보기로 결심했다. 나는 문학공부에 전념할 수 있는 일곱 명의 가장 우수한 학생들을 골라내어 문학토론을 하기 위해 매주 목요일에 우리 집으로 초대하였다. 학생들은 모두 여자였다. 비록 무해한 문학작품을 토론한다고 해도 우리 집에서 비밀스럽게 남녀가 함께 만난다는 것은 너무나 위험했기 때문이었다. 끈덕진 남학생 한 명이 우리 모임에 들어올 수 없다고 그토록 누누이 설명해도 계속 참여하고 싶다고 고집을 부렸다. 그리하여 니마라는 그 남학생은 부과된 자료를 읽고 특별한 날에만 우리 집에 와서 읽고 있는 책에 대하여 함께 이야기하기로 타협을 보았다. (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5-04-09 0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테헤란에서 롤리타를......책이 정말 예쁘네요.^^

killjoy 2005-04-09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등이 예뻐서요~
 



톰보이: 쾌걸유혼(快傑幽魂) Tomboys: Feisty Girls and Spirited Women
감독: 줄리 애커렛, 크리스티안 맥이원/ 미국/ 2004/ 28분/ Beta/ 다큐멘터리

2004 영국 노샘프턴독립영화제
2004 브레틀보로여성영화제
2004 록키마운틴여성영화제

말괄량이가 어른이 되면 길들여지는가? <톰보이: 쾌걸유혼>은 모든 시대에 존재했던 위대한 말괄량이의 이야기를 통해 고대의 신화를 탐구한다. 감독 크리스티안 맥이원과 줄리 애커렛이 함께 만든 다큐멘터리인 <톰보이: 쾌걸유혼>은 12세에서 90세에 이르는 다양한 나이대의 톰보이들의 삶과 정신을 치하하고 있다. 정치자금개혁을 촉구하며 도보로 미대륙 횡단운동을 벌였던 독특한 정치 활동가 도리스 해덕(Doris Haddock, ‘그랜디 디’로 알려지기도 했다)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년 제이 질레스피에(Jay Gillespie). 그리고 메사추세츠 노샘프턴 소방서에서 일하는 15년 고참이자 독신모인 트래이시 드리스콜(Tracy Driscoll), 레즈비언 예술가 낸시 브룩스 브로디(Nancy Brooks Brody)가 바로 그들이다. 성 정체성을 탐구하는 다양한 방식은 매우 어린 나이부터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데, 말괄량이는 반항적인 소녀와 위대한 여성과의 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여성학 연구의 선두주자인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의 해설이 더해져 영화는 말괄량이를 둘러싼 모든 것을 밝혀준다.

공격적인 여성들과의 인터뷰 사이사이에 가족사진, 홈비디오, 기록필름을 엮어가며 각 여성의 여행을 탐구하고 있는 이 다큐멘터리의 여정에서 관객들은 ‘톰보이’의 의미가 무엇인지, 계급, 인종, 성지향성이 우리를 어떻게 규정하는지에 대해 질문해 볼 기회를 가질 것이다. 나무 위의 집과 비밀 동굴에서 생활하는 톰보이들의 이야기, 농구나 무예를 통해 유포되는 스테레오타입에 완강히 저항하는 소녀들의 이야기, 항상 소년이 되고 싶었거나 적어도 ‘소녀’로서의 소녀가 되고 싶지는 않았던 여성들의 이야기는 가슴에 절절히 와닿는다.

감독의 변 : 나는,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특별한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드는데 전념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은 세계를 진보하는 것으로 보고, 또 이 진보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하고자 한다. - 줄리 애커렛

내가 <톰보이: 쾌걸유혼>을 만든 목적은 이 영화를 보는 모든 소녀들의 꿈을 풍성하게 해주는 것이다. 우리는 관객들에게, 미국 여성들의 삶은 학교와 TV에서 강요하는 모습보다 훨씬 다양하고 풍성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경험이라는 것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분명히 말해주고 싶었다. - 크리스티안 맥이원

줄리 애커렛 Julie Akeret
메사추세츠에서 활동하는 독립영화감독. 콜롬비아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 20년 간 사운드 에디터, 편집 조감독, 감독, 프로듀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뉴욕 보건위생부의 한 상주예술가에 대한 다큐인 <이건 그냥 쓰레기가 아니야 Not Just Garbage>(1986)는 뉴욕시 문화부에서 시사회를 가진 후 1986년 USA 영화제에서 최고 다큐멘터리상을, 1986년 국립 교육영화제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 호주의 철학자이자 동물보호운동가인 피터 싱어(Peter Singer)에 관한 <동물의 권리를 위하여 In defense of Animals>(1990)는 뉴욕 공립극장에서 시사회를 가진 후 1989년 버밍엄 국제영화제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 한편, 한 메사추세츠 고등학교의 게이&레즈비언 민권보장 투쟁을 그린 <공감대를 찾아서 Looking for Common Ground>(1997)는 여러 방송사를 통해 방영되었다. 최근에는 메사추세츠 문화위원회로부터 미디어 장학기금을 받았다. 최근의 작품으로는, 비참한 상황에 처한 슬럼가 청춘들의 자존감을 음악을 통해 전달하는 용감하고 통찰력 있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날 위해 노래해주는 사람 Someone Sang for Me>이 있다.

크리스티안 맥이원 Christian McEwen
캠프리지, UC 버클리 대학에서 수학. 현재 작가, 편집자, 그리고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 <톰보이: 쾌걸유혼>은 그녀의 시집, 「조의 여자들; 말괄량이의 대모험, 진실한 용기, 삶 Jo's Girls: Tomboy Tales of High Adventure, True Grit, and Real Life」(Beacon Press, 1997)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알파벳 나무: 자연의 글쓰기 가이드 The Alphabet of the Trees: A Guide to Nature Writing」(Teachers & Writers Collaborative, 2000) 및 4권의 에디터로 활동했으며 그녀의 문학작품은 그란타(Granta), 아메리칸 보이스(The American Voice) 등에 게재되었다. 「계급의 벽장 밖으로: 레즈비언의 발언 Out of the Class Closet: Lesbians Speak」과 「내 어머니의 딸: 여자들의 이야기 My Mother's Daughter: Stories by Women」등의 시집을 출간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 람다 문학상, 시인 문예기금을 수상했고, 야도 아트 콜로니, 맥도웰 콜로니, 버지니아 예술센터로부터 장학금을 수여받았다.

*) 결정적으로 표를 못 구했다.. 매진.. - _-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5-04-06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재밌겠는데요.^^

killjoy 2005-04-06 2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시부터 현장 판매를 한다니, 가서 줄서야겠어요. ^^;

killjoy 2005-04-21 1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중에서 캐롤 길리건이라는 여성학자의 코멘트가 인상적이었다. 톰보이들은 저항자들이라고. 그러면서 마지막으로 한 말이 "Don't be alone."이었다. 돌이켜보면 뚜렷하게 기억나는 톰보이들을 많이 있다. 국민학교때부터 어느 졸업사진을 들여다보아도 몇 명은 있으리라. 혼자 버티다가 투항해야 했던 수많은 톰보이들을 생각해본다.

killjoy 2005-07-21 0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해보면 내가 처음 만난 톰보이는 바로 엄마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