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의 세계사
크리스 하먼 지음, 천경록 옮김 / 책갈피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6년 6월 25일 읽고 쓰다

 

낡은 정설이 도전받는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도 사람들이 더 많은 관념에 의문을 던지도록 추동하기에 충분했다.

....종교적 예언들과 갖가지 성경 해석의 불협화음 속에서 사람들은 그 모든 것에 대한 의구심을 공공연하게 드러낼 수 있음을 난생 처음 깨달았다.

-316p

 

계몽사상가들은 혁명가들이 아니었다. 그들은 상층 계급 인사들의 후에 의존하는 반대파 지식인들이었다. 그들의 희망은 사회 전복이 아니라 사회 개혁이었고, 그것은 사상의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달성된다는 것이었다.

-319p

 

그들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됐다"고 선언한 다음 비(非)백인들은 인간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331p

 

노예제가 자본주의의 성장을 낳은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성장이 노예제를 낳았다.

-334p

 

 

꽤나 오랜만에 사회과학서적을 읽었다.

8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양이라 읽는 도중 생각의 여로에서

헤매기도 했고 저자가 간략하게 넘어가는 부분이 참 많아서

지식이 부족을 여실히 느끼기도 했다.

많은 역사서가 승리한 사람, 그 지도자를 중심으로 서술된 데에 비해 이 책은 말그대로 '민중', 일반 사람들의 세계사를 다루고 있다. 유럽의 세계사책이 언제나 그러하듯이 서유럽 중심의 역사서술이긴 하지만 간간히 동양-그래봤자 중국-의 역사도 들어가 있다.

 

어떤 상황 혹은 사건이 뒷 사건의 배경이 될 때

그에 대한 설명이 좀 미약해서 고민하게 했다.

또, 산업자본주의가 성장하면서 노예제가 발달했고

그러한 노예제의 발달이 인종차별을 만들어냈다는 것이 새로웠다.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부분이었는데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제3세계, 아프리카 문화의 발전에 대해

다시금 생객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대학교 1,2학년때 수업때문에 읽은 것을 제외하곤

정말 오랜만이네, 이런 책.

홍세화씨가 말한 대로 '세상에 대한 무관심은 불의의 토양'이라고

생각하니까 능력부족이어도 찬찬히 이런 서적 읽어나가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