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5년 10월 10일 읽고 쓰다

 

어떤 사람을 두고 자신의 필생의 사랑이라고 말하는 것은 다 살아보고 나서야 가능한 일이다.

9p

 

주사위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방향으로 구르지만, 우리는 미친 듯이 필연성의 패턴을 그려보려고 한다.

15p

 

우리에게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일에는 우리가 부여하는 의미 외에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두려움

16p

 

우리가 만나고 못 만나는 것은 결국 우연일 뿐이라고, 그녀와 함께 하는 삶의 절대적 필연성을 느끼지 않게 되는 순간, 즉 그녀에 대한 사랑이 끝나는 순간이기도 할 것이다.

17p

 

가장 매력적인 사람은 곧바로 우리에게 입맞춤을 허락하는 사람이나 절대 우리에게 입맙춤을 허용하지 않는 사람이 아니라 수줍어 하며 그 양 극단 사이로 우리를 이끄는 사람이므로.

36p

 

거기서 모든 고민이 생기는 것 같아요. 불균형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서, 자신이 인생에서 뭘 원하는 지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39p

 

나는 순간적으로 그녀의 어떤 면들은 알고 싶지 않다는 욕망을 느꼈다. 그런 면들이 내가 처음 그녀를 보았을 때부터 내 상상 속에서 구축되어온 아름다운 이미지를 거스르지 않도록.

89p

 

말다툼은 차이의 정당성을 깨닫는 것이 아니라, 상대가 자신의 관점을 수용하도록 강제하려는 실력 행사로 전락했다.

104p

 

사랑은 사랑이 만들어내지 않는 이름을 들고 우리를 찾아온다.

151p

 

나는 주어진 이름을 가진 너를 발견했다. 그러나 나는 너에게 새로운 이름을 줌으로써, 너라는 존재가 나에게 주는 의미와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의미 사이의 차이를 표시하고자 한다.

151~152p

 

본질적으로 우리는사랑을 받기 전에는 온전하게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

161p

 

상대방에게 무엇때문에 나를 사랑하게 되었느냐고 묻지 않는 것은 예의에 속한다. 개인적인 바람을 이야기하자면, 어떤 면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사실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다. 속성이나 특질을 넘어선 존재론적 지위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다.

209p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라캉의 "내가 생각하는 곳에 나는 없고, 내가 없는 곳에서 나는 생각한다"로 변형되었다.

247p

 

세계가 내 영혼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 내가 거기 살든 ㅅㄹ지 않든, 행복하든 불행하든, 살아 있든 죽었든 관계없이 움직여가는 독립된 실체임을 일깨워주었다. 세상이 내 기분에 따라서 표정을 바꾸어주기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세상은 내 행복에 기꺼이 편의를 제공했지만 이제 클로이가 떠났다고 해서 무너져 내리지는 않았다.

270p

 

이제 나를 괴롭히는 것은 그녀의 부재가 아니라, 내가 그녀의 부재에 무관심해진다는 것이었다. 망각은 내가 한때 그렇게 귀중하게 여겼던 것의 죽음, 상실, 그것에 대한 배신을 일때워주는 것이었다.

271p

 

 

 

"내가 다시 한번 빠지기 시작했다는 것" 라는 말로 글은 끝을 맺는다.

 

유명세에 비해 조금 늦게 읽은 알래 드 보통의 책.

내가 읽은 책이 17쇄 발행되는 책으로 올해 6월에 찍은 책인데

왜 이런 모양새인지 알 수가 없다.

그의 또다른 책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은 역시

생각의 나무 답게 참 이쁜 책이 되었다.

원서인 [On Love]은 페이퍼백이어도 빨간 표지에 참 이쁘던데

이 책은 정말, 너무 안 이쁘다.

책의 내용이 좋지 않았다면 쳐다보지도 않았다.

이렇게 책이 넘쳐나는 시대에 책의 디자인을 신경쓰는 일은 당연한

일일텐데. 모..지미의 그 유명한 작품들도 청미래 출판사의

손에 들어가니 완전 이상한 책이 되어버렸다.

중국에서 나온 책보다도 디자인이 더 허술하다.

글자체나 레이아웃도 별로.

너무 구닥다리같은 느낌이다.

이래선 팔릴 책도 덜 팔리게 된다고.

 

알랭 드 보통.

멋져~~~~~~!!! 이 책은 그가 스물 다섯 살때 쓴 책이라 한다.

나보다 한 살 더 많을 때 낸 책이라니..ㅜㅜ

(뭐 하고 살았나 하는 생각이 바로 뇌리에 스쳤다.)

 

남녀가 만나서 첫눈에 사랑에 빠지고 사랑을 해 나가고

그 사랑이 스러지는 과정을 거쳐 다른 사람을 만나게 되는

사랑에 대한 전 과정을 철학적, 심리학적으로 분석해나가면서

풀어가는 내용이다.

동감되는 부분이 많아서 참 재미있었다.

특히 내가 원하는 모습의 그 사람이면 좋겠다.라는 부분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지금 내가 번역을 하고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번역투의 몇몇 문장이 눈에 거슬리고, 미국식 농담이나 비유를

그대로 옮겨와서 잠시 무슨 의미일까 고민한 대목이 있었다.

내가 그 힘든 과정을 알아서 욕하면 안되지만

사람이 참 간사하게도,

내가 쓴 글은 칭찬만 받았으면 좋겠지만

술술 읽히지 않는 글은 마구마구 비난하게 된다.

전혀, 조금의 여유조차 봐주지 않고.

 

그래도 이렇게 감동받게끔 씌여졌다는 것은

물론 원서가 좋았겠지만 그걸 번역한 사람의 공도 상당했겠지.

나중에 시간이 되면 원서를 읽고 싶다.

작가는 어떤 단어를 쓰고 어떻게 풀어나갔는지 궁금하다.

우리말로 받아들이는 것과 영어로 받아들이는 것에도

차이는 존재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