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러판화집
알브레히트 뒤러 지음, 강승주 옮김 / 현대지성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2005년 6월 29일 읽고 쓰다

 

뒤러의 판화를 처음 본 것은 [뒤마클럽]에서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퍼즐을 맞추어가듯 게임하는 식의 그 소설에서
뒤러의 판화는 호기심 혹은 두려움으로 다가왔던 것 같다.

뒤러는 15세기 독일의 화가이자, 판화가이자, 미술평론가.
독일의 르네상스를 마련했다고 알려지는 인물이고
고딕미술을 확립시키는데 일조했고 [묵시록] [아담과 이브]등
종교적 색채-시대적 상황때문이었겠지만-를 띤
작품들을 많이 남겼다.
[뒤러판화집]은 뒤러의 목판화와 동판화 중 유명한 300여점을
추려 정리한 것.

벗뜨, 이 판화집의 번역은 꽝이다.
"그가 1492년 이전에 바젤에 오래 체재했을 가능성은 목판화를 위해
그린 225점이 넘는 소묘를 그가 진짜 그렸다는 것을 신뢰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난제를 감소시켰다."

이런 어처구니없는 문장이라니.
우리말에 대한 이해,라는 것이 있는 것일까?
뒤러 판화에 대한 감동 자체를 그대로 깍아버리는 듯하다.
책의 구성도, 300점이 넘는 판화 작품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이
앞의 몇 장에 다 실리고,
정작 판화에는 번호밖에 붙여있지 않아 이해하기 불편했다.

그래도,뒤러의 판화는
인간이 어디까지 상상하고 그릴 수 있는가에 대해
그 한계를 뛰어넘게 한다.
판화가 이토록 섬세하게 표현되다니.
특히 동판화의 경우, 거의 회화(소묘)와 흡사하다.

판화집 맨 마지막 부분에 뒤러가 인체의 원근법, 혹은
사물의 원근법에 대해 고심한 흔적이 있는 판화도 인상적.

모..어쨌든 내가 좋아하는 로코코 양식과는 거리가 머나
뒤러의 그림은 뭐랄까....
신에게 다가가고 싶어하나 가까이 할 수 없는 인간의 나약함과
고딕 미술 사회에서의 고지식하리만큼의 답답함과
인간의 치부 혹은 잔인한 내면을 살짝 들춰낸 쓰라림을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나는 뒤러의 판화를 볼 때마다
무섭다.

개인적으론, 1512년에서 1518년 사이에 그려진 그림 중
[개선문]을 추천. 보는 순간 절로 탄성이 터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