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의 비밀은 공부정서에 있습니다 - 스스로 해내는 아이로 만드는 정서 관리 원칙
정우열 지음 / 저녁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사교육의 1번지 대치동에는 학원이 많은 만큼 정신과도 많다고 들었다. 이 대치동에서 11 년째 소아청소년과 부모들을 상담해오고 있는 정우열 원장님의 공부 잘 하는 비결은 공부 정서에 있다는 이야기다.


우리집 초딩이도 4학년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공부란 걸 하기 시작했다. 공부라는 게 즐겁고 신나는 일이 되면 좋겠지만, 우리집 초딩이는 아직은 공부보다 더 놀고 싶어 하는 아이이다. 하지만 고학년이 되면 공부란 걸 더 해야 하니 나는 어릴 적 정서적인 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공부 정서에 좀 더 알아서 이해하고 적용하고 싶어 이 책을 읽고 싶었다.


대치동의 아이들을 사례로 학습 과정에 있어 공부 정서는 왜 중요한지 먼저 설명한다. 아이의 행동 이면의 감정, 정서적인 흐름들은 그 긴 흐름을 잘 살펴봐야 하고 엄마가 옆에서 꾸준히 함께해 주고. 아이에게 뭔가 해주려고 하기보다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할 때마다 아이가 이미 가지고 있는 정서를 잘 이해해 줘야 한다.


공부의 성과를 높이고 스스로 계획하고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아이로 만드는 방법도 제시한다. 상황을 예시를 들어 설명해 부모는 역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공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역할에 대해 생각도 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아이마다 다른 성격을 유형별로 불안한 아이, 예민한 아이, 의욕이 없는 아이, 자신감이 없는 아이, 승부욕이 너무 심한 아이로 나누어 아이 상태에 따라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지 대처법도 안내한다. 이런 성격은 따로 나타날 수도 있고, 겹쳐 나타날 수도 있어 부모가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정서를 이해하고 과정들을 잘 거쳐야 자아가 견고해지는데 자아가 견고해지지 않은 채 성인이 되면 그 후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니 저자인 원장님은 이 과정이 힘들더라도 꼭 거쳐야 된다고 강조한다.


아이들은 마음을 수용 받는 경험을 반복할 때 자신의 마음을 받아주는 존재를 믿고 신뢰한단다. 엄마는 수용해야 할 것과 통제할 것을 구분하고 아이 마음은 엄마가, 엄마 마음은 아이가 이해하려면 대화를 해야 한다고. 객관적인 정답에 집중하기보다는 엄마가 할 수 있는 선에서 구체적인 대화를 하면 된다고 말하며 정서적 대화법 세 가지를 안내한다.


'상위 1%의 비밀은 공부 정서에 있습니다'라는 공부와 관련된 정서적인 부분을 부모가 어떻게 함께 관리해 줄 수 있는지, 부모의 가치관과 관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어 공부 때문에 아이에게 화가 나는 부모라면 이 책을 읽어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