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네이티브처럼 말하고 쓰는 법 - 원어민처럼 자연스러운 영어에는 원리가 있다
최정숙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을 제대로 된 영어 문장을 만들어내는 사람은 교포가 아니고서 영어 공부에 많은 시간 투자를 했어도 영어 문장구조에 맞춰 제대로 쓰는 사람이 있을까? 이건 내가 말하려고 하는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영어 문장 구조를 체계적으로 학습하지 않아서이고 지금까지 해온 방식에 문제가 있지는 않은지 의문을 가져봐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단 우리말과 영어의 문장구조 자체가 다름을 먼저 인지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영어 구조의 결정적인 차이를 설명한다. 이 책은 말하기와 쓰기를 위한 문장 테스트를 통해 독자가 먼저 문장을 만들어보고, 저자가 설명하는 걸 살펴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로 사용빈도가 높은 한국어의 부사절을 영어에서도 그대로 써버린다면 이건 한국식 영어가 된다. 그래서 이 부사절을 사물 주어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다. 또 위치나 상태 전환을 할 때는 동사가 아닌 전치사로 표현한다는 걸 보며 전치사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단어를 그대로 옮기기보다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분석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종속접속사가 부사절을 변형시킨다고 알고 있지만 원어민들은 종속접속사보다 대등 접속사 and로 분사 구문을 만드는 경우가 훨씬 많다고 한다. 사실 and는 '그리고'라는 뜻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러고 나서', '그것으로 인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우리말의 동사는 동작과 상태를 다 표현할 수 있지만 영어에서 동사는 동작이나 상황의 일시적인 발생을 의미하는 반면 형용사는 지속적인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각 장마다 말하기 부분과 쓰기 부분을 위해 스스로 말하고 써보고 저자가 풀어가는 설명을 읽으며 핵심 원리와 구조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 영어가 자연스럽게 습득되지 않은 이상 과거에 했던 방식에서 좀 다르게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부분은 결정적인 차이를 가져오는 핵심 원리와 구조를 문법적으로 설명하여 꼭 읽어봐야 할 부분이다.


그리고 문제를 써보고 설명을 읽다 보니 참으로 우리말은 한 단어라 그 단어만 쓰면 되는데 영어는 상황에 맞는 단어를 써야 하는 것이다. 가령, 우리는 알고 지내는 것은 알고 지낸다고 쓰면 되는데, 영어는 어쩌다 한 번씩 연락하면서 알고 지내는 것과 어렵게 애써서 연락하고 지내는 것, 예전에 몇 번 만나서 알고 지낼 때 등 영어 단어는 상황에 맞게 각각 다르게 써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단어를 많이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가 이런 다른 상황에 맞게 써야 하기 때문에 먼저 단어를 많이 알아야겠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


영어를 제대로 구사하고 싶다면 우리말과 다른 구조와 원리를 알고 꼭 알아야 하는 이론들의 규칙들이 담긴 이 책을 읽으면 토플이나 토익, SAT, 공무원 시험, 수능 영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