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되는 집들의 비밀 - 부와 운을 부르는 공간과 삶에 관한 이야기
정희숙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간과 삶이 연관이 있을까 생각해봤다. 또 집 정리와 잘 되는 집은 관계가 있는지 궁금하여 읽고 싶었다.

 이 책은 총 5천여 가구, 1만 명 이상의 사람을 만나 정리 노하우를 쌓았다는 공간 미학 대표이자 한국정리컨설팅협회장이신 정희숙 대표님이 쓰셨다.


 단순히 물건을 정리하는 일뿐만 아니라 우리가 두 발을 딛고 사는 공간을 더 효율적이고 조화롭게 활용하기 위한 법, 부와 운을 끌어당기는 다양한 공간 활용법들이 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집 정리라 함은 내게 있어 단순히 물건을 버리는 일로만 생각했다. 워낙 버리기 싫어하는 우리 집 신랑 때문에 물건이 쌓여 있어 내게 있어 정리라 함은 일차적으로 버리는 일이라 생각했다. 현재 쓰고 있지 않으면서 미래에 쓸지도 모른다는 그 불확실성 때문에 물건은 쌓이고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정리라는 것은 버리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에 어떤 물건을 들여놓을 것인지도 고민해야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잘 버리는 사람들은 삶의 문제를 만났을 때 심사숙고하더라도 결국엔 좋은 결정을 내린다고 한다.

 

 물건이 정리되면 마음도 정리된다는 말에 공감한다. 특히 작년에 이사했을 땐 전에 살던 집에서의 물건들 위치가 이사하면서 바뀌어 짐들이 며칠간 늘어져 있다가 정리가 되었을 땐 내 마음도 정리되는 기분을 느껴봤다.

 또 정리라 함은 어느 날 날 잡아 크게 한판 벌여놓고 버릴 것 버려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느긋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하루 5~10분 정도 시간을 들여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다고 하다. 정리도 습관으로 만들어 지속적으로 한다면 심리적으로 안정도 느끼고 가벼운 마음이 들 것이다.


 정리가 잘 되면 평수만 넓어야만 공간이 넓은 게 아닌 평수가 작더라도 공간을 더 넓게 쓸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집 안의 침실부터 옷장, 벽, 가구 등 저자가 직접 컨설팅 했던 사례들을 들며 좁은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고 숨겨진 죽은 공간들을 깨워 공간에 생명과 새로운 삶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말해준다.


 이 책을 읽으며 물건을 무조건 들이는 것보다 물건을 볼 줄 아는 안목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표면적인 가치나 유행에 따르는 것보다 나만의 이야기가 될 어떤 장소에서든 빛이 날 수 있는 물건을 고를 줄 아는 안목을 길러야겠다는 생각을 말이다. 또 '공간'이라는 자체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공간이 주는 가치에 대해 생각해 봤다.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이곳, 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어가야 하는 공간이기에 심리적으로 안정된 곳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시간으로 잘 채워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