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 한 권으로 독파하는 우리 도시 속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 30개 도시로 읽는 시리즈
함규진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님이신 함규진 교수님께서 쓰셨다. 한국사 뿐만 아니라 세계사, 사상사까지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지식을 유려하게 풀어내시고, 방송, 저술, 온라인 강의 등으로 역사의 재미를 대중에게 전파하고 계신다고 한다.

 30개 떠날 도시를 지도에서 표시해 준다.

 서울을 시작으로 닝안까지이다.

 한국사라면 의례 삼국시대부터 시대순으로만 생각했는데, 이 책은 틀에 박힌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도시 속에 숨어 있는 역사를 이야기로 풀어낸다. 도시와 역사에 관심이 있다보니 재미있게 읽었다.


 7개구로 시작된 서울의 각 구마다 사연이 있는 이야기 - 속으로 빠져들지 않을 수 없었다.

 정조 임금의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는 수원, 나의 본관이기도 해서 나는 늘 수원에 관심이 많다.

 최근 5월에는 공주에 다녀와 공주에서 해설을 들었던 내용들이 이 책에도 있어 기억을 상기하며 읽었다.

 온조는 직산에 도읍을 정하지 않고 왜 굳이 웅진까지 갔는지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생각해 보지 않고 몰랐을 것이다.

 제주를 여행할 때는 제주의 명소만 찾으려고 했는데, 제주도의 고난과 갈등이 있었던 역사 현장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다보니 한 도시의 숨은 역사를 다 파헤치듯 설명해 주면서도 현대의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어떻게 적용해야하는지도 말해준다.

 단둥시 부분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한국사에는 나오지 않는 부분이 있고, 들어본 적 없는 말해주지 않은 역사를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모든 도시들에 다 관심이 가지만 특히 지안시에 관심이 갔다. 퉁화 일대가 고구려와 발해 땅이었고, 정확하지도 않고 그렇지 못한 이 지안이 국내성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닝안시의 발해 상경 유적지에 관련된 부분이 관심이 갔다. 발해사가 한국사인지 중국사인지 두 나라 학자들 사이에서 치열한 공방전이 거듭 벌어지고 있고, 상경 유적지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시도가 진행중이라는데 우리는 이런 일들을 전문가의 일이라고만 생각할 것이 아닌 우리 국민 모두가 지속적으로 우리 역사에 대해 늘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발해란 무엇일까.

국뽕을 뒷받침해 줄 그럴듯한 재료일 뿐인가.

까마득한 옛날 사라졌으며 지금 우리의 생활,

문화와 거의 아무런 관련이 없는 옛이야기일 따름인가.

한국이나 중국이나, 정작 시민들은 그 의의를 잊은 채

각국 정부만이 자기 것으로 만들려고

기를 쓰는 것이 발해사의 현실이다.

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p6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