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클래식 - 천재 음악가들의 아주 사적인 음악 세계
오수현 지음 / 블랙피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소개를 볼 때 김대진(한예종 총장), 피아니스트 김정원님이 강력 추천한다는 문구만 보고 이 책을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김대진 총장님이나 김정원님은 음악을 하는 사람이라면 음악계의 거목, 음악계의 일인자라는 것을 알기에 더 관심이 갔습니다.


 이 책을 쓴 오수현님은 음대출신으로 기자로 생활하고 있다고 하니 글 또한 독자 입장에서 쉽게 썼지 않았을까 생각되었습니다.

 하이든부터 라흐마니노프까지 16명의 음악가의 삶의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클래식에 대해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도움이 될 부분에 대하여 클래식 Q&A를 10개 항목을 마련하여 한층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각 작곡가의 삶을 시대순으로 나열하기 보다 이 책은 작곡가에 맞는 키워드를 선정하여 인물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작품에 대해 QR코드를 연결하여 음악도 들어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음악가들의 이야기책도 조금 읽어봤지만 이 책은 정말 술술 잘 읽힙니다. 클래식대해 모른다해도 쉽게 잘 읽히는 책을 읽으면 즐겁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가장 관심있게 읽었던 부분 말러와 에릭 사티, 라흐마니노프 부분이었습니다. 에릭 사티와 라흐마니노프에 대한 책은 따로 읽어보지 않아 더 관심을 가지고 읽었습니다.


 지휘하다가 한 시간만 자리를 비우겠다더니 결혼식을 올리고 왔다는 말러. 어찌 보면 괴짜 같기도 한 말러인데 무의식에 어머니가 혼재되어 있어 이를 분리하지 못하고 아내에게 아버지의 모습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했다는 걸 알고 변화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말러 뿐만 아니라 베토벤, 멘델스존, 리스트 등 보면 성인이 되어 나타난 행동들이 어린 시절의 영향이라 하는데 사실, 우리들도 어린 시절의 영향이 있다. 그러고보면 어린 시절에 보내는 일들이 중요하다고 느껴진다.



 단순한 음악을 많이 썼다는 에릭 사티의 음악은 뉴에이지 음악의 효시라고 평가를 받는다고 합니다. 즉흥적이고 감각적이며 때론 도발적이기도 한 사티는 백그라운드 뮤직, 즉 BGM을 추구해 음악에 귀기울지 않고 밥 먹고 차 마시는 건데 연주를 하면 대화를 멈추고 음악에 집중해 하던 대화를 계속하라고 화를 냈다고 합니다.


 작곡가들이 대체로 단신이었다는데 198센티미터로 장신인 라흐마니노프. 장신인 만큼 손도 커서 아무리 어려운 작품도 우아하고 매끄럽게 연주해내고 큰 체구에서 엄청난 울림을 냈다는 라흐마니노프는 피아노 협주곡을 4곡을 써 그 중 3번은 듣기에는 좋지만 연주자들에겐 가장 어려운 곡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협주곡과 교향곡을 써내다 볼셰비키 혁명으로 활동을 그만두고 미국으로 갔지만 평생 고국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한 달 여 전에 미국 시민권을 받았다는데 이들에게도 참 애석한 삶인 걸 보면 우리네와 별다를 바 없는 것 같습니다.


 각 작곡가들의 사적인 재미있는 이야기, 때로는 슬프기도 하고 동정이 가는 이런 이야기들을 읽으면 그 작곡가에 관심이 가서 음악도 찾아서 들어본다면 클래식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