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 뇌인지과학이 밝힌 인류 생존의 열쇠 서가명강 시리즈 25
이인아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의 시리즈 25번째 책이다.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이토록 아름다운 수학이라면>을 읽고 서가명강 시리즈에 좋은 인상이 있다.


 서울대 뇌인지 과학과 이인아 교수의 뇌가 학습하고 기억하는 근본적인 이유와 원리,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에 대한 내용들이 있다.



 뇌의 학습은

뇌인지 과학이라는 학문분야에서

오랫동안 탐구해온 주제이다.

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p19




 학습하고 기억하는 것은 평소에 우리는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기억하기 때문에 생존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지 못한다.


 1부에서는 생존을 위해서 학습과 기억은 중요하다고 말한다.

 일화 기억, 재인, 절차적 기억들은 생존과 관련된 중요한 키워드들이다.


 2부와 3부에서 기억의 종류에 따라 관여하는 뇌 영역에 대해 다룬다.

 특히 3부에서는 해마에 대해 깊고 다양하게 설명을 한다.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고령화되면서 극단적인 예가 아닌 주변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치매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너무 과한 기억도 병이라는 내용을 보니 뇌도 적절한 것 이상이 되면 일반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든다. 뇌의 학습과 기억에도 적절선이 무너지지 않도록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는 것. 중요한 일이다.


 해마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두 가지의 조건으로 이끌어 내가 기억하고 싶을 때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다니 참 신기하다.

 장소세포, 가상현실, 메타버스의 역할들 모두 해마가 하는 일이라니 해마가 고장 나면 이런 역할들을 할 수 없다는 생각하니 끔찍하다.


 해마는 한 번 손상되면 복구되지 않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뇌세포가 죽으면 대체할 세포가 생겨나지 않고 매우 제한적으로 새로운 세포가 생기는 영역이 발견되긴 하지만 새로운 세포가 생긴다고 죽은 세포가 가지고 있던 기억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한번 사멸하면 대체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렇다는 걸 알고 나니 뇌를 더 소중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으로 영화로 나왔던 주인공들의 뇌의 학습과 기억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인공지능에 대해 이야기한다.



 나도 나이가 들어가면서 기억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걸 느낄 때가 있어 궁금했는데 나이가 들어 기억력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한 설명해 주는 부분도 있었다.

 지인들의 얼굴은 생각나지만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경우는 많이 느껴봤을 일이다. 친구들과 에피소드 일이 생각나지 않을 때도 있고. 이런 것들은 바로 해마를 비롯한 내측 측두엽의 세포들이 젊을 때처럼 잘 기능하지 않아서라고 한다. 그래서 해마와 내측 측두엽의 이런 영역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친구들도 많이 만나고 열심히 학습하고 기억하는 일을 나이가 들더라도 해야 한다고 한다. 뇌를 쓰지 않으면 굳어지는 걸 오래전 직접 경험해 봐서 나 또한 항상 뇌를 쓰려고 노력하는 데 나이를 먹을수록 더 써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뇌인지 과학이 알려주는 뇌 이야기.

 일상에서 어떤 행동할 때 어떤 기억을 쓰는지 이해하게 된다면 더 잘 활용하고 단련할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