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문해력이 답이다 - 수학이 어려운 엄마들을 위한 단단한 수학 로드맵
박재찬(달리쌤)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위해서 학습에 관련된 책도 보다 보니 수학 학습에 관한 책들도 많이 나오네요.

 저도 몇 번 수학에 관련된 책들을 읽어봤지만, 이번에는 제목부터 색다릅니다.

 수학인데, 문해력이 답이라고 합니다.


이 책을 쓰신 박재찬 선생님은 교대에서 초등수학교육을 전공하고, 대학 1학년 때부터 초중고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코칭 해주며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수학을 가르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다고 합니다. 지금은 14년째 초등 담임교사로 근무하며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합니다.


 박재찬 선생님 성함이 낯익는 다 했더니 《하루 한 장 초등 교과서 글쓰기》를 읽으려고 저장해뒀었는데, 이 책을 쓰신 분이다. 글쓰기 관련 책도 《하루 한 장 초등 글쓰기 시리즈》, 《 하루 10분 문해력 글쓰기》등 책이 있다.


이 책은 문제 제대로 이해하기부터 서술형 문제 유형을 분석하고 수학 문해력을 키워주는 실천 학습법, 진짜 수학 잘하는 아이는 어떻게 공부하는지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는 지금은 우리 아이를 돌보기 위해 일을 하지 않고 있지만, 기간제 교사로 교실 속의 아이들을 몸소 체험해 본 바 글을 읽고 쓰는데 서툰 아이들이 있다. 그런데 이건 저학년에서만 있는 게 아닌 고학년에서도 있다는 것이다. 서툴다면 글을 읽고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는 아이들이 스마트폰과 패드 등 손에 너무 일찍 쥐게 되어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영어 독해, 일본어 독해하듯이 저자 박재찬 선생님은 수학도 독해를 잘 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맞는 말이라 생각한다. 수학이나 사회나 과학도 긴 지문을 읽었을 때 독해가 되지 않으면 무슨 말인지 모를 테니. 해독을 하기 위해서는 어휘를 알아야 하는데, 수학뿐만 아니라 어떤 과목이든 그 학년의 어휘를 정확히 알았을 때 어떤 과목이든 독해가 될 것이다.


 책에서 수학 어휘 설명 놀이를 말씀하셨는데, 초3 이상은 놀이를 하면 재미있게 개념을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거 같아 우리 귀염댕이도 초3이 되면 놀이식으로 해서 개념을 완전히 알도록 해 봐야겠다.


 사실 나도 학창 시절에 수학을 썩 잘 한 사람은 아니지만 내가 잘 하지 못했다고 해서 아이에게까지 전염시키고 싶은 생각은 없다. 잘하지 못했던 걸 정복하고 싶은 마음인지 나는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수학 관련 책도 읽으며 책꽂이에는 수학 분야의 책도 있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우리 아이는 수학이 좋다고 한다. 저학년 때야 학교 수업만 잘 들으면 다 따라가는 거 재미없겠나. 고학년 되어봐야 알겠지만 미리 4,5학년 되면 수학이 어려워진다고 말하여 미리 겁줄 필요 없다고 생각하여 재미있다고 좋다고 하는 수학에 초 치기 싫다.


 학교에서 근무할 때 받아쓰기나 수학 평가를 하면 아이들은 결과에 따라 얼굴색이 달라진다. 받아쓰기를 하나만 틀려도 엄마한테 혼난다며 울상이 되는 그런 아이들을 보며 나는 우리 아이에게 받아쓰기를 하든, 수학 시험을 보든 아이에게 틀려도 괜찮다고 말해줬었다.


 저학년 수학 평가, 받아쓰기가 얼마나 대단한 일이기에 아이에게 틀리면 안 된다는 강박까지 줘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도 틀리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우리 문화 때문에 아이들이 부모나 교사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한다고 책에서도 말한다. 나도 이런 문화 때문에 수포자가 일찍 생기고 비율이 점점 높아진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먼저 아이들에게 불안을 느끼게 하지 말아야 한다.

 제대로 읽어야 풀 수 있는 수학.

 저학년 수학 문제집도 서술형 문제가 나오는 것 보면 저학년에 맞게 내겠지만, 긴 지문이 간혹 있기도 하다. 언젠가 귀염댕이가 서술형 문제를 읽더니 "이게 무슨 말이야?" 한다. 그래서 "소리 내서 한 번 천천히 읽어봐." 했더니, 혼자 읽고서 "으응, 이 말이구나." 했다.



이렇게 소리 내서 읽으면

신기하게도 이해되지 않던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온다.

초등 수학 문해력이 답이다 p157



 신기하게도 우리 아이는 혼자 소리 내서 읽고 혼자 알아차린 경험을 했다.

 우리 집엔 한쪽 벽면에 칠판이 붙어 있어 아이는 배워온 것을 설명하며 나에게 가르친다. 나는 할 일도 많고, 바쁜데 가만히 앉아서 들으라 하면 어느 땐 귀찮지만, 나는 앉아서 모르는 척 "그런데요, 선생님 이건 왜 이렇게 되는 건가요?" 하며 한마디로 선생님 놀이를 하는 것이다.

 이건 아이가 직접 선생님이 되어 가르치는 것인데, 상대방을 가르칠 땐 75%까지 기억을 할 수 있고 서로 가르치면 90%까지 기억할 수 있다고 국립 행동과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했다고 한다. 이런 효과를 모르고 나는 내가 교실에 있을 때도 문제 다 푼 사람은 어려워하는 친구 가르쳐주기를 많이 했었다.



 이 책에서 배운 하나는 서술형 문제를 풀어서 맞혔지만, 정답을 맞혔어도 풀이를 읽으라는 것이다. 풀이 부분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술형 문제에 대한 대비가 된다고 한다. 서술형 문제를 맞으면 그냥 넘어갔었는데 앞으로는 우리 귀염댕이에게도 서술형 문제를 맞히더라도 풀이를 읽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본 책과 또 하나의 책 부록이 있다.

 초등 필수 수학 서술형 문제집 따로 마련되어 4~6학년의 수학 교과 단원에서 서술형 문제와 설명형 문제, 제시형 문제, 문제 만들기 유형 문제, 오개념/오류 수정형 문제들 5가지 유형을 분석하여 수학 문해력을 키워줄 수 있도록 실천 학습법이 있어 4학년 이상의 학생들이 풀어본다면 좋을 것 같다.


최근 책이 많은 집에 살고 있는 아이일수록 문해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한다. 아무래도 뒹굴뒹굴하는 공간에 책이 있다면 보게 되지 않을까?

 4년 전에 이사하면서 거실에 TV를 두지 않기로 신랑과 합의했다. 책은 내 돈 내고 산 책은 몇 권 안되는데, 아이 사촌 언니들로부터 책을 많이 물려받아 책이 늘어나서 사실 둘 곳이 마땅찮아 거실에 두 자고 했다. 베란다에 두면 꺼내보겠는가? 책을 둘 곳 없어 거실에 두고 아이 책상도 사서 애초부터 거실에 두었다. 내가 TV를 보지 않으니 아이도 굳이 찾지 않고 어린아이였을 때부터 보여주지 않아 친구들이 말하지 않으면 어떤 프로가 있는 줄도 모른다. 책장과 책상이 거실에 있다 보니 책이 간혹 거실 바닥에 널브러져 있고, 소파에 있고 내 성격상 널브러져 있는 걸 좋아하지 않는데, 언젠가부터 포기했다. 잘 치우고 정리해두면 아이는 책을 보지 않고, 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책을 주워 보고, 소파에 둔 국어사전을 심심한 듯 읽고 있는 걸 보고 바닥이고 소파에 있는 책을 일부러 치우지 않기로 했다.

 자주 있는 공간에서 환경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아이가 책을 볼 수도 있고 안 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수학.

 수학은 왜 배우는 걸까?

 지금은 마냥 좋아 수학자가 되고 싶다고 하지만, 어느 날 수학은 왜 하는 거야?라고 물어오는 날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수학은 왜 배우는지 명쾌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수학은 어느 날 갑자기 잘하게 되는 과목도 아니고, 쉬운 과목도 아니다.

수학은 배우는 것보다 배우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라고 한다.

엄마인 나부터 수학이란 과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아이가 더 자라 내년부터는 진짜 수학을 하게 되면 어떻게 도와줄 지 감을 잡을 수 있도록 내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을 읽으니 박재찬 선생님의 다른 책들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수학은 시험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우리들의 삶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이다.

초등 수학 문해력이 답이다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