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세부터 10대까지 뇌가 변하는 동안 부모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려서부터 잘 애착이 형성이 되어야 뇌도 건강하고, 유·소아기에 부모와의 관계가 건강한 사춘기 뇌 발달의 방향을 결정한다고 한다.
모든 사춘기 아이들이 방문을 쾅 닫고 들어가지 않는다고 한다.
나를 생각해보면, 창피하지만 나는 문을 쾅 닫고 들어간 사람 중의 한 사람이다.
그러고 보면 애착이 잘 형성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아동기 시절 또한 부모 관계가 그리 좋지 않았기에 사춘기엔 말도 잘 하지 않았고, 혼자 있으려고 했다. 우리 부모라고 자식과 관계가 좋지 않고 싶었겠나, 그 때는 지금처럼 부모교육이나 정보도 흔치 않던 때이고, 우리 부모 또한 잘하고 싶고, 자식 잘 되라고 했던 거라고 지금은 이해한다.
나의 이런 일을 생각하면, 내 아이에게는 문 닫고 들어가게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밥을 먹을 때 우리 아이는 밥을 잘 먹지 않고 반찬만 먹을 때가 있어 밥도 먹으라고 밥을 먹으면서 몇 번씩 말해야 한 두 번 먹는 거라, 어느 날에도 "고기만 먹지 말고 밥도 같이 먹어" 라고 말을 하였더니, "이제 그만 말해, 내가 알아서 먹을게." 하는 것이다. 같은 말도 여러 번 하면 잔소리가 되고 듣기 싫은데 우리 아이에게도 싫었던지 10살도 안된 아이 입에서 알아서 먹겠다는 말을 들으니, 초딩이 된 지도 1년이 넘었는데, 아직도 난 유아취급을 한 게 아니었나 생각해봤다. 낳은 지 엊그제 같은 느낌만 들고, 뭐든지 다 해 줘야만 할 거 같은데, 이제 스스로 알아서 하겠다니, 나도 한 발짝은 물러나야 할 때가 되었나보다.
그리고 10대 아이들에게는 말을 잘 들어주고, "그렇구나", "힘들구나", "알았어. 조금 기다려 줄게." 등 이런 소통 대화를 해야 한다(66)고 한다.
10대가 되기 전 미리 연습해야 할까?^^
엄마 아빠는 "네 곁에 있어" "네 생각에 전부 동의하지는 않지만, 엄마아빠는 늘 네 편에서 생각"라는 태도를 보여 주고, "힘들 때는 언제든 엄마아빠와 상의해 줘."라는 메시지를 틈틈이 주면서 아이의 생각과 감정, 행동의 흐름을 잘 관찰해 주어야 한다(93)고 한다.
자녀를 '어떻게' 대하는가가 중요하다고 한다.. '쟤가 왜 저러지?'가 아니라 '나한테 어떤 말을 하고 싶은 걸까?' '내가 어떻게 반응하면 아이가 좀 더 편안해질까?'이것을 고민해 보라(104)고 한다.
이 말이 맞는 것 같다. 그런데 막상 닥치면 정말 왜 저러는 거야? 정상인가? 할 듯 싶긴 하다.
이상해 보인다면, 아픈 것이 아니라 그냥 청소년기의 특징 때문일 수도 있다. 괜한 걱정과 접근으로 아이와의 관계에 벽을 쌓지 않았으면 한다. 하지만 뇌도 아플 수 있다. 마음이 아플 수 있고, 누구나 아플 수 있고, 부끄러운 것도 아니고 누구의 탓도 아닌. 아이가 아프다면, 부모가 먼저 알아차려 주어야. 아픈 아이가 기댈 곳은 부모이다.(295)
영아기에 아이가 짜증내고 떼쓰고 할 때 받아줘야 하는 시기가 있듯, 10대 사춘기 아이에게도 마찬가지로 받아줘야 한다고 한다. 다 큰 아이가 이런 행동을 하면 정말 받아줄 수 있을까 싶다. 하지만 무조건 받아줘야 하는 건 아니라고 한다. 일일이 따라다니며 말하지 않아야 하고, 도움이 필요한 어린이는 아니기에 믿어 주는 만큼 책임감과 함께 자라나야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