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났을 경우에 그 상황에서 말을 툭 내뱉으려는 것을 멈춘다는 것은 생각만큼 정말 쉽지 않은 건 사실입니다. 화난 상태에서 도움 되는 말을 찾기란 더 어렵고요.
그래서 누군가가 이런 노력은 내가 정말 간절하지 않으면 할 수 없다고 말했나 봅니다.
아이가 자랄수록 늘어나는 건 잔소리라는 게 요즘 더 느껴집니다.
내가 그렇게 듣기 싫어하던 잔소리를 내 아이에게는 하지 않아야겠다 하면서도 대화가 아닌 잔소리를 하고 있는 나를 보면 '이 정도밖에 안되는 엄마인가?'싶을 때도 있었는데 이 책을 보니 내가 먼저 질문을 잘 해야겠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질문의 형태를 바꿔 '결과'의 초첨에 맞추기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춰야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런 대화는 아이가 사춘기가 되었을 때에는 더 중요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이들은 부모가 말로 표현하지 않으면 잘 모른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가 가끔 "엄마는 평소에 할머니한테 사랑한다고 말했어?"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내가 어려선 동생들도 있었고, 언제나 모범을 보여야 했고, 혼나는 것도 더 많이 혼난 것 같은데, 사랑한다는 말이 나올까요? 사랑한다는 말은커녕 내가 가서 안기거나 안아준다고 오라 한 적도 없었고, 말로 표현조차 받아본 적도 없으니, 나는 우리 부모님이 나를 싫어한다고만 생각했었죠, 지금이야 물론 부모가 사랑하지 않는 자식 있냐며 이해하지만, 어려선 모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어 아이에게 말해주지 않으면 아이는 당연히 모를 수밖에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내 아이에게는 내가 받지 못했던 안아주고, 사랑한다는 말을 자주 표현하면서 치유되기도 합니다.
아이의 마음을 열 수 있는 비법이 이 책 속에 있지만, 나는 내가 먼저 화가 났을 때, 먼저 내뱉어버리기보다 내가 그 말을 뱉으면 아이에게 도움이 될 말인지 아닌지 생각을 먼저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에게 더는 상처주는 말을 하지 않기 위해, 먼저 한가지(화났을때 멈추기)부터 하고, 또 한 가지, 한가지 해 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