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 서울대학교 최고의 ‘죽음’ 강의 서가명강 시리즈 1
유성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북스의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의 시리즈로 책이 그리 두껍지 않아 전에 '이토록 아름다운 수학이라면'을 읽고 이 시리즈들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이 책은 인터넷서점 장바구니에 오랫동안 담아놨던거라 이번에 구매하여 읽게 되었습니다.



유한한 삶을 살지 않고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죽음.

나이가 들어서인지 '죽음'에 관련 책도 몇 번 읽었는데, 이 책 역시 죽음에 관한 책입니다.


이 책을 쓰신 서울대 유성호교수님은 죽어야 만날 수 있는 남자라고 했네요.

서울대 의학과를 졸업했고 병리전문의를 취득했고, 법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합니다. 서울대 법의학교실 교수이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촉탁 부검의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법의학'이라는 분야를 저는 교수님의 약력을 보고 알게 되었어요.

이 책에서는 '법의학'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지는 않지만, 앞 부분에서 법의학에 대해 간단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의학이란 분야가 기초의학과 법의학으로 나뉜다는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총 3부로 구성되어 저자인 교수님께서 하는 일, 사회에서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 어떤 죽음이 좋은 죽음인지 이야기합니다.



법의학자는 확실한 증거로써만 진실을 추구한다.

그것이 말이 되는 이야기든,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든

서사에 관심을 두기보다

명확한 증거에 입각해서 추론하는 것이다.

경험으로 쌓인 느낌이라든지 감각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결정적 판단을 오롯이 백퍼센트

과학적 증거에 의한 것이어야 한다.

그것이 법의학이다.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p55




법의학이 어떻게 죽음의 비밀을 풀어나가는지 실제 사례들을 읽어보니, 방송으로 들어본 이야기도 있고, 기사로 본 내용도 있었는데, 사람이 한 일이라 생각하니 저는 섬뜩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했습니다.


죽음의 의미를 과학적으로 풀어보고, 죽음의 원인과 형태에서 법의학이 결정한 사망 종류는 나중에 다른 정보가 있으면 바뀔 수도 있다고 합니다. (128)



현대의 타자화된 죽음 때문에 죽음이 한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존중받지 못하고 

시스템 안에 매몰됨으로써 

매우 복잡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p147



1997년 '보라매병원 사건'이후 의사들은 보호자들에게 '병원에서 돌아가시는 것이 낫다' '연명 의료 하면 살 수 있다'고 강조하는 쪽으로 마음이 돌아서게 되었지만, 연명의료 행위가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해친다고 봐 연명의료는 강제 사항이 아닌 선택 사항으로 되었다고 합니다.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삶을 정리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죽음 이후를 시작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p216




인간다운 죽음이란

일방적으로 병원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선택을 행사하는 것을 뜻하는데

이러한 선택을 현명하게 할 수 있도록 이것저것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것이

병원 본연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p224





죽음의 순간이 언제 오든,

나는 이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을까?

저자는 '정리'와 '종결'은 죽기 전에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삶의 과업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요즘엔 좀 더 살고자 병원으로 가서 다시 집으로 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집 안의 일마저 정리가 안 된 채로 세상을 떠날지도 모릅니다.

지금까지 내 인생 내가 만들어 왔듯, 마지막 삶에 있어서 물질적 심리적 정리를 꼭 하고, 나의 책임, 권리, 귀속 등도 잘 마쳐야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며 나의 삶의 의미, 가치에 대해 되새겨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