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그 한마디가 아이 뇌를 변형시킨다 - 습관적으로 화내고 후회하는 부모를 위한 지침서
도모다 아케미 지음, 조사연 옮김 / 미스터제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을 봤을 때,

'내가 하는 말이 아이 뇌를 손상시킬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퍼뜩 들며 뇌를 변형시킨다니 무서운 말이듯 다가왔습니다.


'화내지 말아야지.' 반성하며 '내가 이러고도 엄마될 자격이 있나.' 하며 어느 땐 엄마를 안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정도로 자책하기도 하고, 또 화를 반복적으로 내곤 하는 저같은 엄마들을 위한 지침서에요.


《부모의 그 한마디가 아이 뇌를 변형시킨다》의 저자 도모다 아케미는 일본 후쿠이대학교 마음발달연구센터 겨수 겸 부센터장으로 소아신경과 의사이면서 미일과학기술협력사업의 '뇌 연구' 분야 일본 측 대표를 맡고 있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고 합니다.


총 4부로 아이의 뇌가 성장하는 과정부터 아이를 어떻게 키우고 있는지, 아이 뇌를 자라게 하는 법, 육아고민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되어 아이 두뇌에 트라우마를 만들지 않도록 부모들에게 알려줍니다.


아이가 좀 자라 이제 초등 입학을 앞두고 있는데,

태어나서 기쁜 날이 날마다 마냥 기쁜 날이 아니었고, 병상에 있었던 엄마가 그리웠고, 산후우울증으로 무기력해지며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힘들다 힘들다 하는데도 시간은 흘러가고, 아이는 자라며 어느 땐 7년이란 시간이 어떻게 흘러갔지? 합니다.

그 때 책을 좀 일찍 만났더라면 좋았을 걸 하지만 지금이라도 이렇게 읽을 수 있게 되어 내 육아는 어떤지 살펴보며 반성하고, 배울 수 있다는 데에 감사합니다.




양육자가 부모이든 아니든 영 유아기에 따뜻하고 사랑이 넘치는 관계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면 '애착장애' 원인이 되고, 아이가 경험하는대로 '뇌 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뇌가 성장하는 기간에는 소중한 사람과 기쁘고 즐거운 교감을 자주 가져야 하고 흥미롭고 다양한 외부자극을 많이 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멀트리트먼트의 다섯 가지 유형

1. 신체적 멀트리트먼트

2. 심리적 멀트리트먼트

3, 부모간의 가정 내 폭력

4. 방임

5. 성적 멀트리트먼트

부모의 그 한마디가 아이 뇌를 변형시킨다 p30



 멀트리트먼트로 인한 아이의 뇌 반응을 사진으로 정확히 볼 수 있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들이 위축되기도 하고, 그 부분만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하는 것이 보입니다.

신체폭력보다 언어폭력이 더 심각하다니........


저도 아이를 때린 적은 없지만 야단치면서 심한 말을 한 적이 있는데,

이 부분을 읽을 땐 정말 많이 반성했습니다. 상처 입었을 아이를 생각하니 마음이 아프면서 그 순간엔 내가 왜 그랬을까 합니다.


이런 부적절한 양육이 아이의 뇌를 변형시킨다고 합니다.

이렇게 상처를 입었지만 회복시키는 방법은 있다고 합니다.


성장 중인 아이의 뇌는 매우 유연하므로 회복력도 어른의 뇌보다 뛰어나

멀트리트먼트는 특수한 경우가 아닌 어느 가정에나 존재한다고 합니다.

내가 아이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점검하여 아이가 조금이라도 뇌가 더 말랑말랑할 때에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는 연구를 통해 부모의 뇌 역시 육아 스트레스가 쌓이면 전전두엽 활동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부모의 그 한마디가 아이 뇌를 변형시킨다 p150


지금 시대엔 거의 '나홀로 육아'이기 때문에 저 역시 어려움과 막막함, 불안, 고민 들을 나눌 상대가 없어 더 힘들어했던 것 같습니다.

저도 완벽한 부모가 되려고 했던 적이 있었지만, 아이의 나이에 맞춰 아이가 5살일 땐 육아나이도 5살, 6살일 땐 육아나이도 6살로 맞춰 아이가 성장해가며 나도 같이 성장하자는 토대로 지나치게 고민하지 않으려니 조금 편해졌습니다.



양육 본능은 스킨십을 통해 족발돼 점차 커진다.

자녀와의 유대감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도 스킨십이다.

부모의 그 한마디가 아이 뇌를 변형시킨다 p138



양육을 잘 하고 있는지 불안하다면 스킨십을 늘려보라고 합니다. 기분이 진정되고 자녀 사랑이 더 깊어지고 말로 칭찬하는 것이 잘 되지 않는다면 말 대신 자주 아이를 안아주고 보듬어주면 따뜻한 품 안에서 아이는 단단한 부모의 사랑을 느낄 것이라고 합니다. (139)



4부에서 질문과 코멘트 형식으로 된 부분에서는 칭찬, 스킨십, 자기긍정감이란 단어가 많이 나옵니다.



아이가 하는 일이 서툴러보이더라도 그 나이에 맞는 아이 눈높이에서 바라보며 내가 여유있는 마음으로 아이를 칭찬하고, 스킨십을 늘린다면 자기긍정감이 자라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127)



유치원을 졸업하고 날마다 함께 있는 날 어느 땐 하루라도 조용히좀 넘어가자고 할 때가 있습니다. 이 책을 읽고나니, 아이가 아닌 나의 말과 행동을 먼저 바꾸는 태도를 가지고, 좀 더 칭찬해 주고, 더 안아줘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뒷부분엔 뇌과학 용어가 정리되어 어떤 기능들을 하는지 자세히 알 수 있어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