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공부하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 - 생각하는 방법부터 바꾸는 10가지 부모 언어
이시다 가쓰노리 지음, 최화연 옮김 / 지와인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아서 공부하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

알아서 공부하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요?

제목이 읽어보고 싶도록 저를 끌어당는 거 같습니다.

내 아이가 알아서 공부하기를 거의 대부분의 부모들이 바라는 게 아닐까 합니다.

 

 

일본 NHK, 후지TV 에서 공부법 화제가 되고, 265만이 열광했다는 콘텐츠.

아마존 자녀교육서 1위를 차지했다니 어떤 특별한 내용이 있을까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모든 아이가 공부를 좋아하게 되기를'이라는 타이틀을 모토로 삼고 있는 일본의 교육가 이시다 가쓰노리씨는 똑같이 공부해도 결과가 다른 이유를 알아내 사고력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차이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이해하기>

 

같은 환경과 조건에서 '잘 하는 사람'과 '못 하는 사람'으로 나뉘는 것.

왜 이런 나눔의 현상이 생기는 걸까?

이건 지금만 있는 일이 아닌 우리의 학창 시절에도 있던 일이지요.

 

좋은 부모들은 아이가 배움에서 어려움을 느낄 때 그 차이가 어디에서 오는지 이해하고 있고, 그 차이가 성장 과정에서 충분히 줄여질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습니다.(40)

 

우리가 공부를 잘하고자 하는 건 놀라운 영재가 되는 걸 목표로 하는 게 아니라 같은 노력을 해도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고자 하는 것입니다.(40)

 

선생님이 설명할 때 사용하는 단어를 알고 있었는지 아닌지가 이해도의 차이.

선생님의 설명을 집중해서 들었는지 아닌지도 차이의 원인.

글에 대한 이해력의 차이.

 

많은 학생들을 만난 저자는 고득점을 올리는 학생들을 관찰해보니 세 가지의 공통점이 있었다고 합니다.

 

1. 풍부한 어휘

2. 남의 이야기를 집중해서 듣고,

3. 능동적으로 자기 생각을 이야기한다는 것.

 

 

 

<'배움'에의 세 가지 유형>

 

유형1. 수업을 듣고 있어도 배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유형2. 수업에서만 배우고, 생각할 때와 하지 않을 때를 분리한다.

유형3. 깨어 있는 내내 배우는 사람

 

 세 가지 유형만 봐도 세 번째가 되길 바랄 것 같습니다.

이렇게 깨어 있는 내내 배우려면 아이가 내놓은 의견 부정하지 않기, 자기 생각을 이렇게도 표현하고, 저렇게도 표현하는 게 가능하다는 걸 느끼게 해야 한다고 합니다.(59)

 


정말로 공부 잘 하는 아이는

책상 밖에서 많은 것을 배웁니다.  p66

 

 

 


어른이라면 출퇴근길에, 점심시간에, 가족끼리 대화를 나눌 때, 심지어 휴일에 취미를 즐길 때나 카페에서 느긋한 시간을 보낼 때도 무언가를 생각하고 배운다니, 무언가를 생각하고 관찰하고 이해하면서 뇌는 계속 움직이고 있으니 이것이 잠을 자는 시간만 빼고 배우는 것이라고 하네요.

 

 

<알아서 공부하는 아이는 생각의 구조가 다르다>

 

 

집에서 부모가 어떻게 아이를 대하느냐도 매우 중요합니다.

완벽한 성인이 되기 전까지 아이는 부모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습니다.

•••

부모가 해야 할 일은

 내 아이의 특성을 파악하고, 두뇌 OS를 스스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81)

 


스스로 자기 생각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면 자연스럽게 공부를 잘하게 됩니다.

사고 능력은 후천적으로 반드시 길러잘 수 있습니다.

생각하지 않는 아이에 머물지 말고 생각하는 아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103

 


 2부에서 생각의 구조를 바꾸는 10가지 부모 언어를 안내합니다.

 좋은 질문을 받으면 좋은 방향으로 뇌가 움직이고, 잘못된 질문을 받으면 뇌가 멈춘다는 것.

부모의 좋은 질문에 자주 노출된 아이들이 결국 좋은 사고력을 갖게 된다고요.(119)

 

사고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왜 그럴까?" 라는 질문으로 자극을 주는 일이 필요하다고요.

직접 써 볼 수 있는 두뇌 OS 키우는 노트 코너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아무리 세상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건 '생각하는 힘' 을 길러야 한다는 것입니다. '생각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좋은 질문을 통하여 사고 구조를 바꿔주는 게 부모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저부터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언어 습관을 가지도록 하고, '방법'을 생각하게 하고 긍정적 '의문' 을 갖도록 하여 좋은 질문을 하도록 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