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리니지 1 - 애장판
신일숙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리니지'는꽤 재미있는 만화지만 큰 감동을 주는 만화는 아니다. 그 이유는 '아르미안의 네딸들' 이후로 보여지는 작가의 운명론/결정론적 세계관에 내가 동의 할수없기 때문이다. 지배자의 아들로 태어난 것만으로 자신도 지배자가 될 운명을 진 데포르쥬 왕자는, 예언을 통해서 미래의 여왕으로 결정되어졌기 때문에 여왕이 될수 밖에 없는 샤르휘나의 변용이다. 또한 빼어난 실력을 지녔음에도 농노의 자식이라는 신분제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그 열등감을 독재와 폭력이라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반왕 켄 라우헬은, 역시 빼어난 실력을 지녔으나 예언에서 여왕으로 결정 받지 못하여 결국비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레마누와 아주 흡사하다. A4는 내 초등 6년 시절인가에 처음 연재가 시작됬던거 같은데, 근 20 년에 가깝도록 바뀌지 않는 신일숙님의 운명론적 세계관. 너무나도 운명론/결정론적이기에 일숙님의 작품들은 현대물이 아닌 시대물에서 더 생생하게 느껴지는 것이리라.

내가 좋아하는 캐릭터들은 켄 라우헬이나 케레니스 같이 운명에 거역하는 캐릭터이다. 그들에게 운명이란 자신들의 의사에 관계없이 단지 사회가 그들에게 따르도록 강요하는 억지에 불가하다. 발생가능한 모든 일들이 이미 다 결정되어져 있다면 인간의 노력이나 의지가 다 무슨 소용인가!! 아아 슬프게도 운명에 도전하는 이런 등장 인물들은 운명에 도전한 댓가로 죽음을 맞는다. 데포르쥬쪽 기사들중 그나마 운명론에 맞서는 인물은 이실로테 정도랄까.

그녀는 안락한 왕녀의 삶을 버리고 남자에게 보호받지 않는 - 오히려 남자를 스스로 보호하는 - 강한 여성이 되지만, 작가는 '인나드릴의 여자들은 항상 사랑받는다. 이것은 절대 깨지지 않는다'라는 운명적 공식을 내세움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이실로테가 스스로의 능력과 마음으로 왕자의 사랑을 얻어내는 것이 아니라 인나드릴의 여자니까 이래도 저래도 끝내는 왕자로 부터 사랑받을수 밖에 없었던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했다. 케레니스가 죽을때 눈물을 흘린 사람은 아마도 나밖에 없었을 듯 싶다. 케레니스는 순정만화 공식에 따르자면 천하의 요부/악녀이지만, 내 생각엔 '리니지'에 등장하는 다른 여성 캐릭터들 -오웬, 이실로테, 가드리아-를 다 합친것 곱하기 100 배 보다도 더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라다이스 키스 Paradise Kiss 4
야자와 아이 지음 / 시공사(만화)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도데체 우리나라에선 언제 나올지? 일본에서 올해 8월에 나왔던데, 아마 번역하는데 시간이 걸리나 보다. 손 꼽아 기다릴 뿐이다.

야자와 아이님은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인물들에게 뭔가 특별한 상황을 주어서 재미를 끌어 내는데 탁월한것 같다.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보면 사실 어디에나 있을 수 있는 인물들이라 독자로 하여금 동질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면서도, 그 일상적인 인물들이 접하는 상황은 일반 독자가 평소 맛볼수 있는 상황이 아닌 아주 특수한 것들 뿐이라 (예: 유카리=모델, 죠지=디자이녀 등등), 흥미를 유발시킨다.

사실 이런식으로 인물 성격의 일상성을 상황의 특수성과 접합시키는 건 만화에선 매우 흔한 설정이지만, '파라키스'가 다른 만화의 아류가 되는 것을 피할수 있는 것은 전적으로 야자와 아이님의 그림체가 독특하기 때문이다. 비록 비비안 웨스트우드나 크리스티안 라크르와의 의상을 도용한 듯하지만 (뭐, 작가의 웨스트우드 사랑은 유별나긴 하다. 'Nana'를 보면 아예 노골적으로 '난 웨스트우드가 좋다'고 말하기 까지 하니까), 그래도 이러한 의상들이 등장인물의 성격과 꼭 맞아들어 가게 하면서 이야기의 전개까지 돕는 매개로 사용하니 패션을 다룬 만화에 이 이상의 금상첨화는 없을것 같다.

진지한 의견, 고민, 혹은 정교한 구성은 없는 만화지만, 입시에 찌든 -혹은 찌들었던 경험이 있는- 우리 나라 독자들에게 이 정도의 공감을 주는게 어딘가? 만화 -크게 말해서 도서시장 전체- 는 독자에게 어느 정도의 만족감을 주어야할 의무가 있다고 볼때, 파라키스는 별4개를 받을 가치가 충분히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백의 피오렌티나 15
미토미 토가와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흠 아래분도 쓰셨듯이 레오10 세가 되는 죠바니는 루터를 파문해서 교회의 분열을 일으키는 정말 수치스런 업적을 남긴 교황이다. 뭐 역사를 재해석 하는건 작가맘이니까 죠바니를 등장인물중 가장 생생하고 가장 사랑스런 캐릭터로 그려냈지만, 그래도 실제 역사를 생각하면, 역사의 재해석이 지나쳤다는 느낌.... 다 빈치는 또 다른 의미에서 작가의 역사의 재해석의 희생자라 생각 된다.

작가는 개인의 선호하는 미켈란젤로를 띄워주기위해 다 빈치를 약간 정신나간 한물간 화가 정도로 묘사했는데, 다 빈치 없이는 미켈란젤로도 있을 수 없었을 것이다. 원래 학문이라는게 -미술도 포함해서- 어느날 갑자기 생겨나는게 아니고 전 세대에서 이뤄진 업적을 바탕으로 다음 세대에서 그것을 발전/심화 시키거나 아니면 전 세대에의 업적에 대한 반발로 전혀 다른 방향으로 추구하는 게 아닌가? 그냥 무조건 다 빈치는 미켈란젤로에 비해서 별로 였다는 식으로 표현하는건 말도 않된다고 생각한다. 나도 개인적으론 미켈란젤로의 작품들에 더 끌리지만서 어쨋거나 다 빈치에 대한 작가의 해석은 그의 업적에 비해 너무했다.

그래도 16세기 르네상스 이탈리아를 진실한 애정을 가지고 정말 열심히도 조사한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art history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미켈란젤로가 동성애자였다는데는 거의 동의하니까 그가 죠바니에게 연정을 품었다 가정한것도 별로 무리 없어 보인다. 사족으로 라파엘로가 1518년에 그린 '레오 10세와 두 추기경의 초상'을 보면 죠반니가 실제로는 두리뭉실하게 생긴것이 꽃미남과는 거리가 먼것이 '순백의..'에서 미켈란젤로가 일부로 추하게 그린 초상화에 가깝다. 그래도 르네상스 미술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써 이시기의 예술가들을 그려낸 작가에게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 하우스 Full House 14
원수연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원수연님 그림은 너무 예쁘다. 배경 그림 맡은 어시분도 대단하다. 정말 공들여서 그린다는게 역력하다. 하지만 군데군데 어디선가 본듯한 이미지가 많다. 예전 내 고딩시절에 장국영 사진집을 모으곤 했는데 작가분 역시 장국영 팬이었는지 라이더의 포즈라던가 심지어 구도와 소품까지 유사한게 많다. 또 패션지 보그에서도 이래저래 차용한 - 심지어 헤어스타일까지 똑같이 배껴낸- 이미지가 많다. 원래 이미지라는게 차용을 통해서 재생산 되는거지만 그래도 자신만의 이미지를 창출해서 그것으로 독자를 즐겁게 한다면 좋을텐데....

하지만 풀하우스의 정말 심각한 문제는 시각적 이미지의 copying 이 아니라, 영국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의 전달이라고 생각한다. 설마 풀하우스읽고 영국 사람들은 이러저러 하다던가 영국 문화는 이러저러 하다고 단정지을 독자는 많지 않을 거라 생각하지만, 만약 유럽/영국 사회에 대한 전반적 지식이나 이해가 없는 사람이 읽으면 한 방향으로 호도 되는 -중하류층의 시각이 거의 배제된 상류 유럽사회- 느낌임을 지을수 없다. 영국이라고 해서 잘사는 사람만 있는건 아니지 않는가!

작가분이 한국의 특수한 사회상을 영국이라는 사회에 투영하였기에 나타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생각하는데, 특히 한국적 순결 이데올로기를 영국 사회에서도 그대로 투입시키건 정말 너무했다. 뭐 순정만화니 어쩌겠는가?라고 한다면 할말없다. 순정만화독자들이 영국 사회를 공부하자는 포부로 풀하우스를 읽는 것도 아닐텐데. 그래도 '순정만화에서 뭘 바라나?'이런 질문을 원수연님이뛰어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