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비시선 156
함민복 지음 / 창비 / 199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읽은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와 마찬가지로 쉽게 술술 읽다가도 숨이 턱턱막혀 책을 덮는다. 솔직히 고백하자. 나는 시를 읽을 줄 모른다. 나는 여전히 '시집을 읽는 적정 속도'를 알지 못한다. 다만 미술관에서 '그림을 읽는 적정 속도'란 없듯이, 그저 마음을 울리는 작품 앞에서 온 몸을 베베 꼬며 자위하듯 괴로워하며 시를 읽을 뿐이다. 

그렇게 읽고 난 함민복의 세번째 시집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는 '무서운 은유'로 나를 위협하고 위로한다. 시 속의 '가난'과 '부조리'의 은유가 너무 사실적이어서 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듯 눈 앞에 흑백 활동사진이 펼쳐진다.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의 '시 버전'이라고 해도 좋다. 자전적이라 필연적으로 자조적인 이 시집은 궁상맞고 못났다. 그럼에도 '모든 경계에서 꽃을 피우는' 그 순박함과 인간애, 삶의 의지가 못내 따뜻하다. 

분명, 시인에게 '700원을 적선한' 의미 이상은 있었다.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중략)

눈물이 메말라

달빛과 그림자의 경계로 서지 못하는 날

꽃철책이 시들고

나와 세계의 모든 경계가 무너지리라 

- '꽃' 중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