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벌판
응웬옥뜨 지음, 하재홍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끝없는 벌판>은 동명의 소설집에서 한글로 번역되어 단행본으로 출간된 베트남 소설이다. 

헝가리나 포루투갈 등의 비영어권 국가의 소설을 처음 읽었을 때의 그 신선한 충격.
내가 우물안 개구리처럼 영미문학(또는 일본과 한국문학)에만 심취해 있었던 것이 부끄럽기도 했었다. 

그리고 여기 또 한 권의 신선한 충격이 있다.
(신선한 충격...이 얼마나 진부하고 고리타분한 표현인가. 그래서 이 표현은 이 책에 더욱 잘 어울린다)

"사람들은 그렇게 자신의 눈과 귀, 개인의 경험만을 지나치게 신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말하고 싶었습니다.
우리는 '알고 있다'는 자신의 결론과 믿음에 정말 많이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한국 독자들에게 쓴 저자의 말 중에서)


책을 읽는 내내 한국 시골길마다 펄럭이던 '베트남 처녀와 결혼하세요'라는 현수막이 눈 앞에 아른거렸다.
(어떤 광고에는 '말 잘듣고 도망 안갑니다'라는 수식어까지 붙어 있었다)


내가 읽고 보아 온 세상은 어쩌면 고작 내가 최대한 펼칠 수 있는 고작 '한 뼘' 정도의 세상은 아닐까.
(어쩌면이 아니라 사실이 그렇다.)


담담하게 써내려간 이 짧은 소설은 생각만큼 '쉽게' '금방' 읽혀지지는 않는다.
그림처럼 눈 앞에 펼쳐지는 베트남 빈민가와 메콩 강가의 비린내와 물때가 책 읽는 속도를 자꾸 떨어뜨렸다.
그렇다고 책을 내려 놓을 수도 없어서 결국은 앉은 자리에서 끝까지 읽고 만다. 


번역글이지만 작가의 섬세하고 시적인 문체가 그대로 느껴졌다.
작가가 전하는 말처럼 '지독한 남부 베트남 사투리'를 이처럼 매끄럽게 옮겨놓은 번역가의 노고를 치하한다.

 
다만 마지막 페이지에서 갑자기 시점을 바꿔, 아니 시점을 혼용하여
'녀석'과 '딸'이라는 3인칭 명사를 '혼동'한 것이 매우 아쉽고 실망스럽다. 
작가의 문체적 의도를 파악해보려고 몇 번을 읽어보았지만 여전히 어색하고 조잡하다. 

젖은 눈물 없이 가슴으로 마른 눈물을 흘리며 읽었던 글인데,
마지막 몇 문단에서 갑자기 길을 잃고 헤매게 되어 짜증스럽고 서운했다. 


아무튼, 짧지만 강렬하고, 담담하지만 치명적인, 여운이 크게 남는 글이다. 


 

2008년 7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