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와 예술의 확장
피종호 엮음 / 아카넷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힘들게 마지막 책장을 덮었다.

지식의 지평을 넓히기에 배경지식이 부족했던 걸까...

쏟아져나오는 철학적, 기호학적 개념에 잠시 길을 잃기도 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굉장히 유익하고 유용한 독서였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지만 늘 주변에 존재하고 생명을 연장시켜주는 공기(산소)의 존재처럼 디지털은 이미 현대문명과 그 안에 살아가는 인간의 일상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공기처럼 삶을 감싸고있다. 

디지털은 분명 없는 듯 존재하면서 현대문명의 생명을 연장하고 무한히 증폭시켜주는 존재가 아닐까?

 

그런면에서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디지털의 존재를 인식하고, 사고하고, 고찰하게 된다.

혼란스럽지만 정말 많이 배웠다.

 

이 책은 디지털미디어가 가져온 문화와 예술 형식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13개의 개별적인 글을 묶은 것이다.

특히 이 책을 선택했던 것은 외국학자의 글을 번역한 것이 아니라 한국학자들이 직접 쓰고 엮은 글이기 때문.

(위르겐 뮐러의 글이 있지만, 오히려 몇 한국학자가 국어로 쓴 글보다 번역이 무난하다)

재미있게 술술 읽히는 글이 있는가 하면 씹어도 씹어도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는 글이 있다.

다양한 저자의 역량과 글솜씨를 맛보며 글 읽는 재미도 좋았다. 

 

아무튼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디지털 군중이자 디지털 대중, 디지털 소비자, 그리고 디지털 수용자로서

디지털이 문화와 예술에 끼친 영향과 변화에 민감한 문화/예술인으로서

학자들의 관련 연구를 응원하고 또 소비해 줄 의무와 책임을 느낀다.

물론 그런 의무감에서만 글을 읽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지적 도전을 즐기는 자들이라면 마다하지 않으리라.

 

내 배경 지식이나 독서 범위를 넘어선 글을 읽고 또 읽고 소화하는 과정은 마치 등산을 하는 것과 같다. 

새로운 개념과 지식의 고개를 힘겹게 넘고 넘어 조금씩 정상을 향해서 나아가고 미련없이 하산한 기분.

그 산이 너무나 매력적이고 푸근할 때, 그리고 또 다른 수많은 등산로가 나를 유혹할 때

그 산은 또 오르기 마련이다.

산을 정복하기 위해 오르는 게 아니듯, 책이나 지식도 정복하기 위해 읽는 것은 아니다.

산을 오르는 과정, 책을 읽는 과정 그 자체가 즐거움이자 학습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각설하고....
보다 자세한 책 소개와 소감은 http://blog.naver.com/jinirock78/47865141
 

 

2008년 2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