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기름, 뜻밖의 살인자
데이비드 길레스피 지음, 이주만 옮김 / 북로그컴퍼니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우리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지방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포화 지방, 단일불포화 지방, 다가불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 이렇게 세종류로 나뉜다. 포화 지방이니 불포화 지방이니 하는 말도 그렇거니와 트랜스 지방이란 말은 하도 들어서 귀에 못이 박힐 지경이다. 상온에서도 수개월 동안 변질되지 않는 지방을 포화지방이라고 하는데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갖고 있는 지방이 대부분 포화 지방이라고 한다. 상온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고 올리브유에 주로 들어 있는 것이 단일불포화 지방이고, 동물에서는 생산되지 않는 까닭에 음식으로 소량 섭취해야 한다는 것이 다가불포화 지방이다. 다가불포화 지방은 카놀라유나 해바라기유, 콩기름. 포도씨유, 미강유등과 같이 주로 씨앗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인데 놀라운 것은 상온에 노출되면 단시간에 변질된다는 점이다. 올리브유 역시 식물성 기름이지만 씨앗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과육에서 짜낸다는 차이를 보인다. 그런 까닭인지 책에서는 식물성 기름중에 그나마 올리브유가 가장 좋다는 말도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가 가장 많이 들어왔을지도 모를 트랜스 지방은 뭘까? 간단하게 말하자면 인위적으로 변형된 불포화 지방으로 우리 몸에는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 트랜스 지방이 동물성 기름에는 극소량이 들어 있지만 경화 공정을 거친 식물성 기름에는 다량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식물성 기름을 먹고 싶지 않아도 마켓에 가면 온통 식물성 기름만 보인다. 솔직히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그 나름대로의 성분을 따져가며 먹는다는게 그리 쉽지는 않을 것이다. 이건 이래서 좋고, 저건 저래서 나쁘다며 내놓는 단어 자체가 쉽게 이해되지도 않거니와 들어도 잘 모르니 이래서 좋으니 먹으라 하면 먹고 저래서 나쁘니 먹지마라 하면 안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보면 우리가 왜 식물성 기름만을 고집하며 먹어야하는지 생각할 여력도 그다지 많지 않다는 말이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식물성 기름을 먹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궁금했던 사람, 몇이나 될까? 결론이야 늘 한결같다. 우리의 건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거다! 가축을 키우는 것보다 식물의 씨앗에서 화학적으로 기름을 짜내는 것이 훨씬 싸게 먹히기 때문이란다. 이익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시대를 살면서 이익을 포기하라는 말은 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류의 책을 볼 때마다 나는 무척이나 화가 난다. 그렇다면 식물성 기름이 만연하기 전에 좀 더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는 없었는가 해서 하는 말이다. 늘 이렇게 논쟁을 불러오는 주제를 가만히 살펴보면 모든 것이 만연된 후에야, 다시 말해서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힘겨운 상황을 겪고 난 뒤에야 말이 나오니 한심한 일이다. 그래서 어쩌라는 건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어쩌라는 건지.

 

책속에서 말하고 있는 식물성 기름을 피하는 장보기 법칙은 정말 끝내준다. 성분표와 친해져라, 그 많은 기름을 용도에 맞게 구분해서 써라, 빵을 살 때도 어떤 기름을 썼는지 알아보고 사라, 소고기는 사료가 아닌 목초를 먹인 것인지를 따져봐야 한다, 일단 가공되어 포장된 제품과는 될수록 멀어져야 한다 등등등... 이제 왠만한 사람은 다 안다. 냉동 감자튀김은 피해야 하고 피자와 고기 파이등과 같은 냉동 제품도 되도록 먹지 말아야 하고, 설탕 함량을 항상 따져봐야 한다는 것쯤은. 저자의 말이 아니라도 뭐가 되었든 적당히 먹는 게 좋다는 것쯤은 말안해도 알 사람은 다 안다. 그렇게 따진다면 마켓의 진열대에서 보이는 제품들의 영양성분표 읽는 방법은 솔직히 있으나 마나다. 이 책뿐만이 아니라 이런 류의 책들이 이미 경고를 내린 성분들이 그 안에 즐비하게 써있는 까닭이다. 각설하고 결론은 정말 간단하다. 나라가 앞장서서 국민의 건강을 챙겨줄리 없으니 내가 키우고 내가 길러서 그것으로 직접 요리를 해먹는 방법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조미료까지도 본인이 직접 만들어야 한다는 건 말할 필요도 없다. 말이니까 쉽다!!! 기업이란게 어차피 적은 비용 들여서 많은 이득을 얻어야 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또 그들에게 의지한채 버텨나가는 것이 국가의 속성이다보니 그들이 사람들의 건강까지 챙겨주길 원하는 건 무리수라는 걸 인정하라는 말처럼 들려 뒷맛이 씁쓸하다. 우리 건강을 돌봐야 할 잭임이 있는 사람들이 당당하게 기업편을 들고 있다는 말에도 그다지 화가 나지 않는 이유는 뭘까?

 

일전에 읽었던 <탄수화물이 인류를 멸망시킨다>, <식량은 왜 사라지는가>, <우유의 역습>과 같은 책들이 떠오른다. 어디 이 책들뿐일까? 이런 주제를 다룬 책들은 찾아보면 더 많을 것이다. 우리의 주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가 오히려 성인병의 원인이라는 말이 상당히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만든다. 하지만 먹든 안먹든 한번쯤은 집고 넘어가야 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그렇다고해서 식물성 기름을 안먹을수는 없을테니까. 아주 오래전에 굴지의 라면회사가 '소고기 우지 파동'을 겪으며 라면 판매를 중단했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그 사건이 일어난 지 8년만에 법정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었다. 그때가 1989년이니 상당히 오래전의 일인데도 어제일처럼 기억이 난다. 이 책을 읽고나서야 아하! 하고 무릎을 쳤다. 결국 기업들간의 싸움에 소비자만 손해를 본 꼴이다. 내 가족을 병들게 하는 식물성 기름의 진실 이라는 책표지의 말을 허투루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우리에게 왜 이런 책들이 다가오는지에 대해 한번쯤은 생각해보아야만 한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