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은 그 집에서 죽었다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사람풍경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사람이 사람 그려 사람 하나 죽게 됐네

사람이 사람이면 설마 사람 죽게 하랴

사람아 사람을 살려라 사람이 살게

 

사랑... 결론적으로 말해보자면 사랑은 진부하다. 거기다가 고루하기까지 하다. 그래서 사랑은 이미 우리에게 식상한 그 어떤 것처럼 비치곤 한다. 그래서 지금 우리곁에 머무는 사랑이 너무 쉬운 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한다. 하나더 보태자면 사랑은 지독하게도 이기적이며 개인적이다. 언제부터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다. 혼자하는 사랑이 오히려 더 아름답게 보인다는 말이 하고 싶어질 때가 종종 있다. 사랑은 정말이지 지독하게도 자기위주의 감정일 뿐이다. '너를 위해서' 라고 말을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결국엔 '사실은 나를 위한거야' 라는 속내가 엿보인다. 가끔은 처절하다는 표현으로 다가오는 사랑.. 몸서리칠 정도로 슬프고 끔찍하다, 는 뜻도 함께 안고 있는 그 말처럼 사랑은 정말이지 슬프고 끔찍한 명제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애써 포장한다. 아름답다고. 아름다운 거라고. 아름다워야 하는 거라고. 그래서 우리는 그렇게 보여지도록 노력하며 산다. 아름다워야 하는 것이 사랑이기 때문에. 김형경의 글은 읽는 중간중간에 내 속을 후벼팔듯이 들이대는 무언가가 있다. 그래서일 것이다. 그녀의 글에 쉽게 무너지는 이유가. 모두가 포장을 풀어헤치지 못한 사랑의 겉모습만 바라보며 미소지을 때 과감하게 '아름답다'는 포장지를 찢어버리고 그 안에 든 것의 실체를 바라보라고 소리치고 싶어한다. 그렇게 해야만 한다고. 그래야만 당신안의 사랑이 비로소 제 모습을 갖추지 않겠느냐고. 사랑한다는 말을 수도없이 들으며 사는 세상이 지금이다. 그래서 그 사랑이 넘쳐나는 세상속에 우리가 산다. 처음 보았을 때부터 '이 남자구나' 했던 남자 세중에게 어떤 '느낌'을 부여했던 것도 연희 자신이었다. 그래놓고는 그 함정에 빠져 허우적거렸다. 아름다운 사랑을 꿈꿨다. 환상적인 그 어떤 것이 있을거라고 기대했다. 사랑은 그렇게 처음부터 서로를 향한 환상에서부터 시작되어졌다. 그 환상이 깨지기까지의 시간은 그다지 오래 걸리지 않았다. 무작정 떠났던 그 여행길에서 눈에 갇히고서야 마주했던 그 사랑은 결국 '그 집' 에서만 허용되어지던 아주 짧은 환상의 세계였다. 눈이 그치고 '그 집'을 나와야 했을 때 그들의 사랑은 포장지가 벗겨지고 마침내는 자신이 그토록이나 보고 싶어했던 사랑의 허상을 보게 되지만, 작가의 말처럼 사랑은 그 집에서 죽은 게 아니었다. 사랑은 비로소 그 집에서 완성되었다, 라고 나는 말해주고 싶었다.

 

"생각나? 그때 그 산속에서는 다르게 말했던 거. 현실의 법칙에 맞추어 살 줄 몰랐고, 현실에 적응하는 노예성의 시기를 거치지 못했으며, 그리하여 현실에 살기 위해 필요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말했던 거."

"그동안 나도 생각이 좀 달라졌어. 그들이 몽상가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패배자는 아니라는 거, 몽상가들이 이 세상에 대해 갖는 긍정적이고 고유한 기능이 있다는 거, 그런 것을 믿고 싶어졌어."

 

현실... 현실은 정말로 이율배반적이다. 명쾌하게 이것, 이라고 말할 수 없는 두 명제를 우리앞에 들이민다. 그래놓고는 선택이라는 과제를 낸다. 그 수많은 선택은 누군가 대신해줄 수도, 대신해주어도 안된다는 암묵적인 계시조차 보인다. 누구나 꿈을 가져야 하는 것처럼 말하지만 누구나 꿈을 꾸며 살지는 않는다. 누구나 꿈이 이루어질거라고 말하지만 누구나 그 꿈의 정상에 도달하는 건 아니다. 때로는 자신이 속한 현재를 거부하며 그보다 더 큰 꿈을 꾸며 살아가는 이도 있다. 그 어디에도 마음을 붙이지 못하면서.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래서가 아닐까 싶다. 어디에도 마음을 붙이지 못하는 까닭에 현재보다 더 큰 꿈을 꾸고, 더 먼 거리에 있는 꿈을 향해 달려가는거라고. 세중과 연희가 필연적으로 가야했던 '그 집'에는 세사람이 머물고 있었다. 저마다 다른 꿈을 안고서. 그런데 중요한 건 아무리 크고 먼 꿈을 향해 달려간다해도 지금 처한 현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는거였다. 연희와 세중이 눈속에 갇혀 홀린듯 제자리를 맴돌다 어쩔 수 없이 '그 집'에 머물러야 했던 것처럼 말이다. '그 집'에서 살았던 남자와 여자와 사내의 이야기는 어쩌면 지금 우리가 살아내고 있는 현실일런지도 모르겠다. 세사람 모두 외면하고 싶어하는 각각의 상처를 가슴에 품고 살았다. 믿음이 없어도 지속될 수 있는 관계속에는 차마 말하지 못하는 외로움이 숨어 있었다. 어느 순간 불현듯 믿음이라는 녀석이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살며시 고개를 내밀면 그때부터 외로움은 이름표를 바꾼다. 고통이라는 이름으로. 하지만 그 믿음조차도 자신이 만들어낸 것에 불과하다. 느닷없이 찾아온 두려움을 지독한 사랑의 몸짓으로 이겨냈다고 생각했지만 알 수 없는 자괴감으로 인해 연희와 세중은 생각한다. 차라리 '그 집'에서 죽고 싶다고. 그렇게 우리는 우리가 꿈꾸는 환상을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 것 같다. 비록 그것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라해도. 이야기를 마치기전에 십여년의 세월이 흘러 연희와 세중을 다시 만나게 해 준 작가에게 왠지 고마움을 느낀다. 우리가 늘 외면하고 싶어하는 자신만의 환상과 마주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준 것에 대해서. 그렇게해서 당당하게 현실을 인정할 수 있도록 두사람에게 용기를 불어넣어 준 것에 대해서. 또다시 스멀거리며 올라오는 환상을 향해 과감하게 마침표를 찍을 수 있었던 연희와 세중을 통해 작가는 내게 말한다. 현실은 현실일 뿐이라고. 그리고 또 환상은 환상일 뿐이라고. 그것을 인정해야만 한다고. 현실과 환상은 어쩌면 평행선을 달려가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영원히 서로를 버릴 수 없기에.

 

이 책이 오래전에 <성에>라는 제목으로 나왔었다는 말을 들었다. 그 책의 개정판이라고는 하지만 내가 <성에>를 읽지 못했기에 어떤 느낌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제목만으로는 무언가로 긁어내야만 사물이 보이는 한겨울 창문에 서린 성에처럼 사랑에 대한 환상을 깨뜨린다는 사실 자체가 조금은 거북스러웠을 거라는 느낌을 받았다. 아주 먼 곳이었다고 생각했었지만 돌아와 보니 그다지 먼 거리가 아니었다는 설정도 쉽게 지나쳐버릴 수 없었다.  눈속에 갇혀버린 외딴집, 그 집은 저마다의 가슴속에 하나씩은 품고 있을 자신만의 집이 아닐까 싶었다. 그곳에서 일어났던 일들은 이미 그곳에 머물렀던 사람의 일기를 통해 보여주고 있지만 특이하게도 작가는 자연과의 대화를 시도했다. 의인화시킨 자연의 목소리는 메아리처럼 되돌아오는 울림이 있었다. 자연속에 머무는 생명체의 목소리를 통해 인간의 속성을 들여다보고 있었다는 말이다. 인간이 인간위주로 정해놓은 수많은 틀을 깨지 않는 한, 인간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 찾지 못한채 포장지속에 갇혀 살아야 할 것만 같았다. 일기를 통해 보여지는 세사람의 과거와 연희와 세중이라는 연인을 통해 보여주는 현재는 그다지 멀리 있는 게 아니었다. 사랑은 정말 환상일까?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