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팬데믹 동화
신경진 지음 / 이정서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진 신작 소설 <팬데믹 동화>를 읽고...
신경진 작가의 <팬데믹 동화>를 미국에서 받아보고, 읽기는 한국에 와서 읽었다. 하루 평균 400~500Km를 자동차로 달리며 6박 7일에 걸쳐 세 곳의 국립공원과 뉴멕시코 산타페를 여행했던 탓에 막상 책을 여력도 기력도 없었다. 신경진 작가의 작품은 아주 오래 전 읽었던 세계문학상 수상작 <슬롯>을 포함해 2021년 작 <결혼하지 않는 도시>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팬데믹이야 우리가 근 3년에 걸쳐서 겪어온 전지구적 재앙이자 제약이요, 올가미였는데 여기에 '동화'라는 단순 판타지가 결합되면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제목에 제시된 두 단어의 일견 모순된 성격 때문에 호기심을 가지고 쉽게 빠져들 수 있었다. 소설의 전반부 1/3 정도를 읽었을 때 누구보다 날카로운 사회적 시각을 가진 작가가 팬데믹을 거치면서 로맨스 장르와 타협을 한 것일까하는 약간은 안타깝고 서운한 마음이 든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의무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삶을 구가하지만 남편과의 사별로 홀로 남겨진 선생님과 막노동판을 전전하며 힘겹게 살아가야 하는 고등학교 시절 제자의 만남이 연애로 흐르는 소위 '밀당'의 러브라인으로 귀착될 여지가 돌연 차단되면서 이야기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20대 청년과 그 나이 또래의 여성 캐릭터가 등장하면서 이들의 알콩달콩한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어마어마한 빚을 유산으로 상속받은 출발선이 마이너스인 고졸 청년과 비교적 유복하지만 가부장적 부모를 둔 중산층 대졸 여성의 연애는 한국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연애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다가 연민이라고는 받아본 일이 없는 자존감과 책임감이 모두 강한 남자 주인공의 어떤 선택으로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다.
지극히 현실적인 주인공인 현수는 동화를 믿지 않는다. 선생님과 연인의 진심어린 연민을 끝내 동정심이라고 해석한 현수의 선택은 안타깝다. 여기에 팬데믹에서 더욱 가속화되고 극단화된 자본의 무자비한 양극분해 맷돌은 일가친척이 사망하면서 저절로 유산이 불어나고, 투자가 두 세배의 이익을 거두는 사람과 평생 아무리 벌어도 다 갚기 힘든 부채에 허우적거리며 영원히 부채의 노예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람들로 사회를 갈라놓는다. 그래서 이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노동은 더욱 위험하고, 아슬아슬한 삶과 죽음의 경계를 하루 하루 조심스럽게 디딛는 데 바쳐진다.
신경진 작가가 이 소설을 요즘 유행하는 '수상한 편의점'류의 해피엔딩 판타지로 끌고가 독자와 쉽게 타협지 않은 것은 높이 평가하지만, 동화라는 제목을 내걸고 우리 사회가 가진 모순이 팬데믹으로 인해 몇 배 증폭되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은 우리의 마음의 습관을 교묘하게 비튼 트릭이자 멋진 반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기간에 넷플릭스나 왓챠에서 무수히 양산한 로맨틱코미디류에 철저히 중독된 사람으로서 "좀 살살하시지...이렇게까지 아프게 하십니까?"라고 농담 섞인 항의를 드리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인정하자. 현실은 늘 잔혹동화 아니던가!


"사랑은 불완전하다. 불완전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사랑에 이끌린다. 불완전함이 내포한 공백 속에서 사랑의 꿈이 자라난다. 그러나 사랑은 부조화의 혼란 속에서 태어나 심연의 어둠 속으로 추락한다. 세계가 붕괴되지도 않았다. 사라진 것은 오직 미완성의 사랑뿐이었다.P. 229 사랑은 불완전하다. 불완전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사랑에 이끌린다. 불완전함이 내포한 공백 속에서 사랑의 꿈이 자라난다. 그러나 사랑은 부조화의 혼란 속에서 태어나 심연의 어둠 속으로 추락한다. 세계가 붕괴되지도 않았다. 사라진 것은 오직 미완성의 사랑뿐이었다." (팬데믹 동화 p.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진원 옮김 / 김영사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명백한 오역 하나. p. 63.
인지적으로 바쁜 사람들은 이기적인 선택을 하고, 섹시한 언어를 사용하고...
여기서 섹시한 언어.. 이거 명백한 오역입니다. 원문은 `sexist`라고 되어있습니다. 옳은 번역은 `성차별주의적 언어`라고 해야 옳습니다. 단어의 뜻 자체로도, 문맥상으로도 확실히 그렇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자발적 진화 - 인류의 경이로운 미래상을 펼쳐 보여주는 신생물학의 거대담론
브루스 H. 립튼 & 스티브 베어맨 지음, 이균형 옮김 / 정신세계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브루스 립튼의 허구성을 폭로하는 사이트
https://www.metabunk.org/debunked-bruce-lipton-and-the-biology-of-belief.t10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자발적 진화 - 인류의 경이로운 미래상을 펼쳐 보여주는 신생물학의 거대담론
브루스 H. 립튼 & 스티브 베어맨 지음, 이균형 옮김 / 정신세계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이 바로 유사과학. 과학적 근거없이 일부 과학적 지식에 자신의 생각을 뒤섞어서 마치 거대한 이론체계를 세운 양...현혹, 혹은 미혹이라는 수식이 적합한 구라과학.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udrl32 2021-10-31 2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저장
 
감정의 도서관 - 인간의 의식 진화에 관한 다큐멘터리
니콜라스 험프리 지음, 김은정 옮김, 멜 칼먼 그림 / 이제이북스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나는 쉽고, 그림이 있으면 더 좋고, 문어가 아닌 구어로 씌여있는 책을 좋아한다.
쉽게 읽히고, 이해가 쉽기 때문이다.
내가 현재 읽고 있는 책이 그런 책이다.

<감정의 도서관>이라는 제목을 단 이 책의 원래 제목은 The Inner Eye(내면의 눈)이다. 인간의식의 진화적 기원을 추적하려는 저자의 문제의식이 잘 드러나있는 좋은 책으로 1986년에 영국에서 출판된 책이다.
나는 이 책이 이름이 별로 없는 작은 출판사인 이제이북스에서 2003년에 번역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고 언제 절판이 될지, 품절이 될지 노심초사하면서 주문을 하였다. 이 책과 같이 주문한 책은 마음맹(盲) 즉 Mindblindness인데 두권 다 번역이 있고, 아직 절판이 되지 않은 것만해도 감사한 마음으로 샀다.

오늘 이 책을 읽다가 일부 내용을 책에서 소개한 그림과 함께 올렸는데 페친들의 관심이 이 책에 쏠렸다.(기대하지 못했다) 그래서 인터넷 서점에서 구할 수 있는지 그동안 품절이나 절판이 되지 않았는지 궁금해서 검색을 해보곤 경악을 금치 못했다. 별 5개 중에 별 2개에다가 내용이 없다는 식의 평이 단 하나 올라가 있었다. 아마 내가 책의 저자나 내용을 잘 몰랐다면 이 책 절대로 사지 않았을 것이다. 니컬러스 험프리는 다른 책에서 이미 접했던 저자이고 그의 문제의식이나 학문의 깊이에 매우 탄복했던 사람이다. 그런데 이 책에 대한 평가를 보고는 어이가 없었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이 책을 거의 안읽은 것과 다름없다. 20여장을 읽다 말았으니 말이다. 그나마 읽은 20여장조차도 정독을 했다고 볼 수 없다. 통독을 했다는 말인데, 그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후루룩 책장을 넘기며 스쳐지나갔다고나 할까? 
....
<감정의 도서관> 뭔가 그럴 듯한 책 제목에 한 껏 기대감이 부풀어 올랐고, 부제로 딸린 '인간의 의식 진화에 관한 다큐멘터리'라는 말이 나를 이끌었으나 책은 나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이 책에는 다윈을 비롯하여, 플라톤, 화이트헤드 등의 진화론자와 철학자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거장들이 거론되기는 하지만 지은이가 이들의 이론과 대중성을 결합시키는데는 실패했다고 본다. 유아스럽고 한편으로는 유치해보이는 귀여운 그림까지 곁들이며 심각한 이들의 이론을 곁가지로 집어넣었지만 진지함과 재미남 어느 한쪽도 만족시키지 못한 책이 아닌가 한다."

결국 책은 안읽었지만 쉬워보이기 때문에, 더구나 그림까지 있기 때문에 그냥 '싫고' 유치해 보인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런 분이 딱 한 분이겠지만, 나는 쉽기 때문에 내용이 없을 거라는 편견은 극히 위험하다고 본다. 과학적 저술이나 인문학적 저술 모두 쉽게 쓰고 쉽게 읽히는 게 좋다. 자기도 무슨 소릴하는지 모르면서 지껄이거나 무엇을 읽는지 모르면서 읽는 사람들만큼 불쌍한 사람도 없다. 

http://en.wikipedia.org/wiki/Nicholas_Humphrey


'내면의 눈'은 한 가지. 오직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진화되어왔을 것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자신과 똑같은 다른 사람의 행위를 읽을 수 있게끔 진화되었다. 그리고 의식이 있음으로 해서 우리는 모든 사물을 읽는 데 우리의 마음을 척도로 삼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p.1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