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야 페터 한트케의 ‘관객 모독’을 관람했다. 보기 전엔 일말의 기대감을 가졌고 보면서는 웃었으며 보고 나서는 작가의 머리통을 열어 보고 싶을 정도로 그가 신기했다. 달리 표현한다면 작품이 일종의 시처럼 내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굳이 말한다면 서정시라기 보단 무의미시 정도가 되겠지만. 

인간이 가진 오류라면 본질보단 형상 자체를 말하기 좋아한다는 점일 것이다. 천박한 발상이지만 나 또한 물세례를 자행한다는 그의 연극이 궁금해졌고 속사포처럼 객석을 향해 쏟아 놓는 말들이 다름 아닌 언어 자체라는 데 차별성을 느꼈을 것이다. 이까지가 나를 비롯한 관객이 느낀 신기함의 일차적인 해석이다. 작가는 시종일관 객석으로 웃음을 던졌으나 연극적인 것을, 혹은 더 나아가 인간(사회, 세상) 존재의 본질을 표현하며 조소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우선 등장인물은 무대 위 자리한 의자와도 같은 용도로 쓰인다. 인물은 단지 언어 자체를 설명하는 데 소용되는 도구일 뿐이고 캐릭터의 특성 또한 없다. 그러므로 형상화라는 문학(희곡)의 특성도 애시당초 기대할 수 없다. 연극이라면 있어야하는 희곡이나 배우와 관객의 구분이 모호한 것도 마찬가지다. 준비된 희곡은 없는 것으로 간주하며 그들은 관객이 배우이고 배우가 관객임을 관객에게 여러 차례 주입시킨다. 더구나 연극 중반부에선 관객을 배우로 동참시키기까지 한다. 여기까지 본다면 희곡이 가지는 특성이나 여러 제약들이 무너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인물들은 무엇을 연기하는 것인가. 다름 아니라 인물들은 ‘말’을 가지고 논다. 말 자체를 띄어 쓰거나 붙여서 언어유희를 하기도 하고, 영어 불어, 독어, 일어, 중국어 같은 여러 언어들을 무의미하게 반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언어의 기본적인 특성인 의미 전달은 배제된다. 그러나 연극에서 나름의 플롯을 전하려는 시도를 보이기는 한다. 그것이 극중극이다.

이 과정에서 독자의 동참이 이루어진다. 관객은 극중 인물을 죽이기도 하고 그 살해 방법을 연출 감독과 상의하기도 한다. 하지만 극중극에서조차 연극은 관객을 배제시킨다. 왜냐하면 연극의 대사와 플롯의 전개는 전혀 합치되지 않으며, 무리하게 연극의 구성 단계를 따르더라도 플롯 자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줄거리 따로 대사 따로다. 연극적인 것을 기대하고 왔다가는 관객들은 우롱당한다. 관객은 등장인물들에 의해 조종당하며(갑작스럽게 지명되어 무대로 올라가 창피를 당하기도 하고 관객 전체를 일으켜 세워 욕을 하라고 요구받기도 한다.) 이에 동조하며 쾌감을 느낀다. 따라서 관객은 이미 철저히 모독당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작가는 이에 그치지 않고 서슴치 않고 육두문자를 날리며 물세례까지 준비한다. 이유인즉 관객과 인물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다. 적지 않은 물을 털어내고 객석을 나서는 관객들은 받은 모욕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전달 받은 메시지는 모호하지만 뭐 그리 기분이 나쁘진 않다. 그러니 됐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이 관객이 받은 또 하나의 모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의미 전달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관객들이 웃는 이유는 언어유희 외에도 극중극에서 연출 과정에서 느닷없이 끼어드는 연출 감독의 공이 크다. 실은 관객으로선 그가 실제 연출 감독인지 등장인물인지도 확신할 수 없다. 인물로 포함시킨다면 그는 연극에서 유일하게 개성적인 캐릭터가 될 것이다. 그는 무식하지만 관객에게 웃음을 유발하고자 인물들에게 욕을 퍼붓고 무리한 연기를 요구하기도 하며 억지로 기승전결의 형식을 유도하고자 한다. 그는 스스로 웃음거리가 되어 세상에 존재하는 엄숙주의와 형식주의를 희화화하는 자처럼 보이기도 한다.

온갖 언어와 물세례의 난장판에서 허우적대며 관람당하는 기분은 생각외로 나쁘지 않다. 재치 있는 입담과 세상을 향해 고래고래 내지르는 욕설을 경험하고 싶다면 더욱 더 권한다. 다만 연출가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 여러 연기자를 동참시켜 참신함을 시도하는 것은 좋으나 지나치게 흥미 일변도로 내닫지만 말아주길 바랄 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05-12-26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지 않은 물을 털어내고 객석을 나서는 관객들은 받은 모욕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 이런 기분이 어떤것인지 상상이 가지 않는군요. 연극을 본지도 참 오랜시간이 지난것 같네요.
오랫만이네요. 잘 지내시죠? ^^

포로롱 2005-12-26 1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일상에서 시간내서 본다는 것도 힘들지요. 어찌보면 호사같기도 하고요. 잉크냄새님도 잘 지내셨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