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정혜

얼마간의 기대를 하고 본 영화였기에 아쉬움과 반가움이 반반이었다. 소설다운 격한 반전을 기대한 건 아니었다. 그러나 책장을 넘기듯 천천히 일상을 이동하는 카메라의 시선을 따라가 보니 이 작품이 영화가 아닌 소설이었다면 과연 어땠을까 싶었다. 그리 별다를 것 없는 일상을 들여다보며 다소 불쾌감을 느꼈는데 그것은 나의 삶이고 주위 어느 누군가의 삶이었기 때문이었고 그것들이 새삼 적나라하게 나열되고 이야기된다는 것에 낯설었기 때문이었을 게다.



여자가 되는 이유.

를 떠올렸다. 감독이 말하기를 제목에 붙은 여자, 라는 수식어는 딱히 이유가 없었다지만. 지루하다시피 나열되는 주인공의 행동을 보자니 어떤 경험을 떠올렸다. 빙글빙글 돌다가 멈추면 주위가 반대 방향으로 되었던 기억을 말이다. 달팽이관 같은 전정기관이 우리 몸의 위치 감각이나 평형감각을 담당한다면, 정혜라는 주인공은 어떤 경로로 인해 그게 손상되었을지 모르겠다고. 그리하여 비틀비틀 세상과 소통하려 하지만 그녀에게 진심으로 손 내밀려는 사람은 드물어 보인다. 같이 일하는 우체국 직원들의 관심사는 남편 몰래 피는 담배나 소소한 맥주 안주거리 같은 삶이고, 또한 그에 안주하려는 삶이다. 그래서 옛 연인이나 친척이나 동료들에게 혹은 구둣가게 점원에게 그녀는 ‘이상한 사람’이 돼버린다. 아마 그게 제목에 여자가 들어가는 당위인지도 모르겠다. 감독은 캐릭터에 여성성을 부여하는 것뿐 아니라 지병처럼 늘상 마음 한 언저리가 아픈 사람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진부한 상징이지만.

칼은 본래의 효용도 있지만 상해의 용도로도 쓰인다. 상처에 쉽게 노출되는 인간은 동류의 인간을 쉽게 알아본다. 그것은 정혜가 술집에서 데려온 남자를 위로하는 장면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남자가 과도를 바로 잡지 못해 안타까워하듯 그녀 역시 칼날에 쉽게 베이는 존재이기도 하다.

이야기는 일상적이었다가 역시 일상으로 환원된다. 중간 중간 삽입되는 회상 장면은 심리의 원인을 캐내려기보다는 슬쩍 보여주는데 그친다. 아마 그것은 주인공에게 극복되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는 게 아니라 의식 깊숙이 있는 떼내지 못하는 또 하나의 그녀이며, 그런 점에서 긍정을 암시하는 듯 보이는 결말도 옛폭행의 앙금을 쉽게 상쇄하진 못할 것 같다.

하지만 아마 주인공이 어느 날 사과칼을 들고 다시 삼촌을 찾아가더라도 지금 그녀는 남자를 식사에 초대하고 싶어하고, 홈쇼핑에서 김치를 배달해 먹는 그런 사람일 것이다. 비록 사회의 편견에 적극적으로 맞서지도 못하며, 강한 메시지도 불쑥 내밀지 않지만 삶을 긍정하고 싶어하는 ‘여자, 정혜’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참 착한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